메뉴 건너뛰기

아이폰 등 소비자가 폭등 우려 반영한 듯
WSJ “해당 지침 중국에 주로 적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노트북컴퓨터 등 주요 전자 제품을 제외했다. 관세 전쟁 확산 탓에 애플 아이폰 등 전자기기의 소비자 가격이 폭등할 것이라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가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서도 일정 정도 조정 여지를 남긴 행보로 분석된다. 전자제품 중 압도적으로 많은 품목이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어서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전날 밤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통해 총 20개 대상의 전자 제품에 대해 상호관세 면제를 발표했다. 면제 대상에는 스마트폰과 노트북컴퓨터 외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 대거 포함됐다.

애플의 스마트폰 아이폰. 연합뉴스

트럼프는 현재 중국에 125%, 그 외 국가에는 10%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하지만 이번 예외조치로 스마트폰 등에는 당분간 상호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애플과 삼성, TSMC 등이 이번 조치의 혜택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다 트럼프는 이미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대해서는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상태다. 이번 조치의 최대 수혜국이 중국이 될 수 있는 셈이다. 미국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면제된 기술 제품은 지난해 기준 미국의 대중국 중 약 1000억 달러를 차지, 전체 미국의 대중국 수입액 중 23%에 해당한다. 특히 애플의 경우 자사 제품의 8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대통령전용기에서 기자들을 만나 이번 조치와 향후 반도체 관세 부과 전망과 관련해 “월요일(14일)에 아주 구체적으로 알려주겠다. 하지만 우리가 많은 돈을 벌고 있는 건 사실이다. 국가적으로도 굉장히 많은 돈이 들어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WSJ는 “(이번 조치는) 기술 관련 제품의 즉각적인 비용 상승에 대한 일부 소비자의 우려를 완화할 수 있는 또 다른 조치”라며 “이번 주 초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모든 무역 파트너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이 지침이 주로 중국에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철강과 자동차 등에는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 또 반도체, 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 부과가 예정된 항목들도 상호관세 대상은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전자 제품에 대한 이번 예외 조치도 비슷한 성격으로 풀이된다. 다만 중국에 펜타닐 등을 이유로 상호관세와 별도로 부과된 기존의 ‘10%+10%’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트럼프가 향후 품목별 관세를 예고한 만큼, 이번 유예가 얼마나 지속할지는 불확실하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반도체, 칩, 스마트폰, 노트북과 같은 핵심 기술을 제조하는 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조만간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예정이다. 반도체에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이번에 면제된 많은 전자 제품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 제품이 미국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대통령이 긴급하게 조치할 수 있는 권한이다.

트럼프는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이후 불과 며칠 만에 중국 제외 90일간 적용 유예를 발표한 데 이어 이번엔 주요 수입품인 전자 제품에 대해서도 면제를 발표했다.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 이유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57 칠순 장기자랑, 머리 손질까지… 교직원 울린 '이사장 부부'의 갑질 랭크뉴스 2025.04.13
47856 김동연 “들러리 경선 유감… 개헌을 내란종식으로 덮어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4.13
47855 하락장에 CB 전환가 ‘뚝’… 투자자도 기업도 골머리 랭크뉴스 2025.04.13
47854 ‘의료 정상화’ 대선기획본부 출범한 의협 랭크뉴스 2025.04.13
47853 김경수 대선 출마 선언 “대통령실 옮겨 행정수도 이전 완성”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3
47852 민주당 "한덕수 출마설, 국민의힘·한 총리 염치 있나" 랭크뉴스 2025.04.13
47851 "올드 윤석열" "실패한 계엄 총리"… 민주 '한덕수 대망론' 때리기 랭크뉴스 2025.04.13
47850 책 팔아 대박난 삼프로TV, 다시 '상장 시계' 돌리나 랭크뉴스 2025.04.13
47849 현영 “오빠, 정치 그런 거하지 말고 호랑나비해” 랭크뉴스 2025.04.13
47848 점심 배달·공사 동원·강제 장기자랑…피해자만 30여명, 강원학원에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4.13
47847 대선 떠밀리는 한덕수 고민…"출마 너무 종용하는 형국 불편" 랭크뉴스 2025.04.13
47846 “트럼프 리딩방을 따라갈 수밖에 없는 현실” 7일간의 증시 대혼돈 [트럼프 쇼크] 랭크뉴스 2025.04.13
47845 지하 출입 허용, 법정 촬영은 불허…형평성 논란 랭크뉴스 2025.04.13
47844 미국 8대 사재기품에 ‘한국산 ○○○’ 포함…“1년치 쟁였다” 랭크뉴스 2025.04.13
47843 돌풍 동반한 봄비에 '벚꽃 엔딩'… 14일 아침 날씨 '쌀쌀' 랭크뉴스 2025.04.13
47842 ‘껌값’도 이제는 만만찮네…편의점 강타한 물가 고공행진 랭크뉴스 2025.04.13
47841 ‘2025판 스무트-홀리법’…트럼프는 왜 관세에 빠졌나 [트럼프 쇼크] 랭크뉴스 2025.04.13
47840 벚꽃 나들이 한창인데… 청계천서 ‘흉기 소지’ 중국인 검거 랭크뉴스 2025.04.13
47839 풀려난 명태균 “어떤 먹잇감 먼저 물고 뜯을까”···윤석열 부부 수사도 영향받나 랭크뉴스 2025.04.13
47838 최태원 “좋던 시절은 끝났다… 보호무역주의 수십년은 갈 것” 랭크뉴스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