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 의회 자문기관 보고서
“3년 내 대처 않으면 추격 불가”
FDA·CDC 등 직원 대대적 감축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손짓을 하는 모습. AP 연합뉴스

“3년 내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미국의 바이오 기술은 중국에 따라잡힐 것”

미국 정치권에서 중국 바이오 기술의 급성장을 경계해야 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중국이 국가 차원에서 생명공학(바이오테크)을 집중 육성하면서 미국을 제치고 글로벌 패권을 장악할 수 있다는 경고가 담겼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집권 이후 식품의약국(FDA) 등 정부 의료·보건 기관 인력 감축에 나서고 있어 신약 개발·승인 등 바이오 역량 약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 연방상원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회(NSCEB)는 지난 8일(현지시간)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중국이 20년간 생명공학 분야를 전략적 우선순위로 두면서 이 분야에서 빠르게 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향후 3년간 신속하게 대처하지 않는다면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중국에 추월당해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NSCEB는 2022년 미 국방수권법에 따라 설치된 초당적 입법 자문 기관으로, 바이오 관련 기술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분석한다. 상·하원의 구성원과 산업계, 학계 및 정부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이번 보고서는 2년간의 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거쳐 작성됐다.

NSCEB는 미국이 향후 5년간 최소 150억 달러(약 22조원)를 바이오테크에 투자해야 한다면서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만한 중국 기업들과의 협력도 중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중국을 견제하려면 한·일과 같은 전통적 동맹 등 파트너들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미국은 최근 중국의 빠르게 성장하는 생명공학·의약 부문을 경계해왔다. 미 하원은 지난해 9월 특정 중국 바이오 기업들을 안보 위협으로 규정해 제재하는 생물 보안법(Biosecure Act)을 통과시켰지만 법안은 상원에서 부결됐다.

중국은 약품 원료와 복제약품 등을 미국에 대규모로 수출하고 있다. 글로벌 빅파마들도 중국이 개발하고 임상시험까지 마친 약품들을 수입하거나 기술 판권을 사들이면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바이오 제약 기업들의 79%가 중국 기반 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국의 추월을 따돌리기 위해선 “미 정부가 민간 자본을 확보하고 규제를 간소화해 바이오 기업에 힘을 실어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 직원 1만명 해고… “신약 개발·허가 지연될 것”

이같은 우려에도 트럼프 정부는 지출 감축을 목표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벌이면서 FDA,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립보건원(NIH) 등의 직원 1만명 해고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FDA에서만 전체 직원의 20%가량인 3500명이 해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력 감축 대상에는 의약품과 백신, 의료기기 등을 감독하는 검사관이나 신제품의 신청서 기록 관리를 담당하는 직원, FDA 주요 부서의 고위 과학자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는 이번 감원이 의약품, 의료기기 등을 심사하는 규제 부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현지에선 “의사를 남기고 간호사, 검사실, 수술실 스태프를 다 해고한 꼴”이라는 질타가 이어졌다.

미국 메릴랜드주 실버스프링에 있는 FDA(식품의약국) 본부. 신화 연합뉴스

키움증권 허혜민 연구원은 “FDA 인력의 대대적인 해체가 FDA 의약품 심사 능력을 전방위적으로 악화시키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어 승인 관문은 확실히 좁아질 것”이라며 “충분한 인력이 있었다면 승인 가능했던 신약들이 거절·지연되거나 아예 개발 포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희귀질환 개발 기업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고 비항암제 신속 승인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신속 승인, 임상 보류, 복합제 등에서 FDA 심사위원들의 정책 자문 역할을 해오던 의약품평가연구센터(CDER) 산하 신약정책실 조직이 완전히 해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환자들에게 빠르게 치료법을 제공하기 위해 애썼던 FDA의 역량 약화가 우려되면서 의약품 및 의료기기 출시를 앞둔 기업들도 제품 출시 시기를 다시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43 [속보] 권성동 “한덕수 경선 안 나와… 출마설 언급 도움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4.15
44042 경찰 '근로자 사망' 아워홈 압수수색… 한 달 전 하청직원 끼임 사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4041 시신 지문으로 대출 '김천 오피스텔 살인범'에 무기징역 선고 랭크뉴스 2025.04.15
44040 김문수·홍준표도 '반명 빅텐트'…"이재명 이기기 위해 힘 합쳐야" 랭크뉴스 2025.04.15
44039 한동훈 “국민 관심 없는 ‘한덕수 차출론’, 테마주 주가조작 같아” 랭크뉴스 2025.04.15
44038 “이게 여진이 맞나요?”…만달레이 교민들은 지금 [미얀마 강진②/취재후] 랭크뉴스 2025.04.15
44037 최상목 “12조대 필수추경안 마련”…당초 발표보다 2조 증액 랭크뉴스 2025.04.15
44036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안해…출마설 언급 도움 안된다" 랭크뉴스 2025.04.15
44035 제주공항 활주로서 승객이 비상문 열어…에어서울 이륙포기(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4034 박찬대 "韓대행, 국회 무시·거부권 남발…안하무인격 전횡" 랭크뉴스 2025.04.15
44033 권성동 “한덕수 대행, 경선 출마 안해…출마설 언급 도움 안돼” 랭크뉴스 2025.04.15
44032 정치인 위 '상왕' 노릇 여론조작 브로커...고발해도 변한 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4031 정부, 12조원대 ‘필수추경’ 편성…AI 분야에만 1.8조 투입 랭크뉴스 2025.04.15
44030 국힘 경선, 이대로면 국민과 더 멀어지는 길로 [4월15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4.15
44029 김해서 승용차와 킥보드 충돌, 중학생 1명 숨져 랭크뉴스 2025.04.15
44028 "위험해서 안 만듭니다"…졸업앨범 사라지는 씁쓸한 현실, 왜 랭크뉴스 2025.04.15
44027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가처분' 논의…오전 재판관 평의 랭크뉴스 2025.04.15
44026 李 “검은돈 유혹받지 않았다”… 후원 계좌 개설 랭크뉴스 2025.04.15
44025 김동연 "남성 징병제, 2035년까지 모병제로 단계적 전환" 랭크뉴스 2025.04.15
44024 “니가 검사면 난 대통령” 욕 먹으며 1500명에게 전화 돌렸다 [김승현 논설위원이 간다]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