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WSJ "올해초 취임후 지출 예산,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9조원 증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워싱턴DC AP=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아들을 동반한 채 방문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왼쪽)와 이야기를 하고 있다. 2025.4.11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기 출범과 동시에 연방정부를상대로 대대적 구조조정에 나섰지만 오히려 나랏돈 지출은 지난해보다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전쟁의 여파로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한 상황을 고려하면 이자비용 증가로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WSJ)는 11일(현지시간) 미 재무부가 공개하는 일일 재무제표를 자체 분석한 결과 올해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현재까지 연방정부가 지출한 예산이 2조 달러에 육박한다고 전했다.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절이던 2024년초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1천540억 달러(약 219조원)나 지출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WSJ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가 "(구조조정으로) 1천500억 달러(약 213조원)를 삭감했다고 주장하지만 분석결과 이런 노력은 아직 최종결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2024회계연도 기준 전체 예산(6조8천억 달러·약 9천690조원)의 43%를 차지하는 사회보장과 공공의료보험인 메디케어(노령층 의료지원), 메디케이드(저소득층 의료지원) 관련 고정지출을 손대지 않은 점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당초 머스크는 부정수급이 심각하다고 주장하며 대폭 칼질을 추진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이에 트럼프 취임후 연방정부 사회보장 지출은 전년 동기보다 327억 달러(약 46조원) 늘었고,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지출도 290억 달러(약 41조원) 많아졌다고 이 매체는 집계했다.

갈수록 늘어가는 국가부채를 유지하기 위한 이자비용도 증가세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현재까지 미국 정부가 지출한 이자비용은 전년도 동기 대비 255억 달러(약 36조원) 가량 늘어났다. 국가부채 규모 증가와 금리 상승이 주된 배경으로 꼽힌다.

심지어 최소 2만5천명의 연방정부 직원을 해고했는데도 급여 관련 지출은 전년대비 280억 달러(약 40조원) 많아졌다.

DOGE의 압박에 희망퇴직을 받아들인 직원들에게 올해 9월까지 기존과 같은 임금을 지급하기로 한 것과 올해초 결정된 2%의 임금 인상, 법적 분쟁으로 해고된 직원 일부가 복직한 상황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미 국제개발처(USAID)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외원조를 대폭 삭감한 조처도 대법원이 제동을 걸면서 최근 전년도 수준으로 지출 수준이 회복됐다.

교통안전청(TSA) 출장 및 훈련 비용 등을 줄여 2천200만 달러(약 310억원)가량 지출을 줄인 것이나, 교육부를 폐지해 40억 달러(약 5조7천억원) 상당의 예산을 절감하는 등 소소한 성공사례가 있지만 연방정부 전체 지출의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투자은행 파이퍼 샌들러의 미국 정책 전문가 돈 슈나이더는 "DOGE가 연방지출에 미친 순(純)효과는 최소한 현재까지는 꽤 작은 수준이다"라면서 "이런 절약이 축적되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고, 일부 조처와 관련해 행정부가 법정에서 승소하는지에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82 “자동차 미국 생산에 시간 걸려”…트럼프, 이번엔 차 부품 관세 뒤집나 랭크뉴스 2025.04.15
43981 [속보]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 랭크뉴스 2025.04.15
43980 관식의 헌신적 사랑, 현실에서 가능할까... 오히려 자녀에겐 독 랭크뉴스 2025.04.15
43979 “여직원들 끌어안고” 폭로에…고창군의원 “사과했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3978 "외투기업 알맹이 빼먹기에 당했다"···464일째 고공농성 중인 두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5
43977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3976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몰락한 내란 정권의 ‘알박기’ 금도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5 [100세 과학] “디지털 치매는 오해”…스마트폰이 인지기능 보호한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4 “7세 고시는 학대, 아이 뇌 망가트려”··· 소아정신과 교수의 단호한 조언 랭크뉴스 2025.04.15
43973 中·日 투매설에 폭락한 美 국채… 일생일대 투자 기회? 랭크뉴스 2025.04.15
43972 트럼프 또 후퇴…"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1 “장제원 공소권 없음과 수사 중지는 달라”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 김재련 변호사[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5
43970 美, 5개국과 무역 협상 우선추진…韓도 포함 랭크뉴스 2025.04.15
43969 우크라, 생포 중국인 기자회견…트럼프 “곧 좋은 제안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8 당신의 걸음걸이는 안녕하십니까… 느려졌다면 파킨슨 의심 랭크뉴스 2025.04.15
43967 자동차 부품도 유예 조치?‥"나는 유연한 사람" 랭크뉴스 2025.04.15
43966 [단독] 20년 믿고 맡긴 경리의 배신... "회삿돈 22억으로 명품 사고 호화 여행" 랭크뉴스 2025.04.15
43965 구글, '유튜브 뮤직' 뺀 새 요금제 韓에도 출시하나…공정위와 협의 중 랭크뉴스 2025.04.15
43964 오락가락 반도체 관세 '일단 유예'에 美 증시 상승 마감 [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5
43963 [단독]단순 예산 편성착오에…지자체 수십억 예산 날아갈판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