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법조팀 이준희 기자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자, 사실 다른 전직 대통령들은 첫 재판 때 모습이 영상자료로 남아있지 않습니까?

이렇게 법정 촬영을 허가하는 기준이 뭔지부터 짚어볼까요?

◀ 기자 ▶

대법원 규칙에는 구체적으로 나와 있지는 않습니다.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이게 전부인데요.

다만, 박근혜, 이명박 전 대통령 촬영 허가 때 재판장들이 이유를 들었는데, 국민 알권리와 역사적 의미입니다.

그렇게 보면 이번 사건, 촬영 허가가 안 나는 게 이상하긴 합니다.

헌법 수호 의무가 있는 현직 대통령이 헌정 질서를 문란하게 할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내란 혐의로 기소가 된 사건이잖아요.

윤 대통령이 받고 있는 혐의인 '내란 우두머리' 법정형은 사형과 무기징역, 무기금고밖에 없는 중대범죄입니다.

이미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이 민주주의에 헤아릴 수 없는 해악을 가했다고 판단해 재판관 전원일치로 파면도 했고요.

이번 사건의 역사적 의미, 국민 알권리의 중대성을 이명박, 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 사건과 비교해 봐도 못지않아 보입니다.

그런데도 재판부가 윤 전 대통령 측 의견도 확인하지 않고 촬영 불허를 결정한 거잖아요.

저희도 불허 취지가 뭔지, 공공의 이익에서 상당성이 부족하다고 본 건지, 역대 전직 대통령 전례에 비춰보면 특혜 아닌지 법원에 물어봤는데요.

답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 앵커 ▶

그런데, 이런 결정을 내린 재판부가 윤 전 대통령 구속을 취소한 바로 그 재판부 아닙니까?

계속해서 윤 전 대통령에게만 예외를 두고 있는데, 논란이 일 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 기자 ▶

네, 12·3 비상계엄 사태 재판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지법 형사합의 25부인데요.

당시 '날'이 아닌 '시간'으로 구속 기간을 따져서, 윤 전 대통령 구속 기간이 끝난 상태에서 기소가 이뤄졌다면서 구속취소를 결정했습니다.

1954년 형사소송법 제정 이후 70년 넘게 해오던 계산 방식을 뒤집은 거라 검찰과 법원 내부에서도 논란이 컸는데요.

사법부 결정은 당연히 존중받아야 하죠.

피의자 권리 보호 차원에서는 의미가 있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왜 최고 권력자인 윤 전 대통령 사건부터 그 보호가 시작돼야 하냐, 지시를 받은 부하들은 죄다 구속됐는데, 윤 전 대통령만 왜 예외냐는 지적이 나왔는데요.

이번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 등 전직 대통령은 모두 촬영했는데, 왜 그 예외가 윤 전 대통령부터 시작돼야 하느냐는 거죠.

윤 전 대통령 쪽에 기울어진 결정이 자꾸 나오다 보면, 사법부의 신뢰를 깎아 먹는 빌미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다음 재판에서 또 촬영 허가 신청이 이뤄질 테니, 결과를 지켜봐야겠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86 일주일 간격 산청·하동 산불로 산림 소실…커지는 산사태 우려 랭크뉴스 2025.04.13
47685 美·中 갈등 속 역할 커지는데… 여전히 허약한 韓 ‘무역 방패’ 랭크뉴스 2025.04.13
47684 '6·3 장미 대선' D-51… 8년 전과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랭크뉴스 2025.04.13
47683 김경수, 세종서 대선출마 선언…5대 메가시티 등 구상 제시 랭크뉴스 2025.04.13
47682 "일본 여행가면 '이것' 꼭 사왔는데"…이제는 세관에 딱 걸린다고? 랭크뉴스 2025.04.13
47681 양쪽 허벅지에 손을…길 가르쳐준 15세 여학생 성추행한 80대 랭크뉴스 2025.04.13
47680 尹 재판에 법원 통제 모드…檢, 김건희 조사도 비공개?[안현덕의 LawStory] 랭크뉴스 2025.04.13
47679 '아이비리그·2030·여성' 또 속았다…美 흔든 2600억 사기극 전말 랭크뉴스 2025.04.13
47678 “참을 인 세 번? 뭐하러?” 소액주주가 달라졌다 랭크뉴스 2025.04.13
47677 애플·삼성 한숨 돌렸다…美, 상호관세 대상서 스마트폰·컴퓨터 제외 랭크뉴스 2025.04.13
47676 박근혜부터 윤석열까지... 정쟁 도구 된 '개헌'의 실패 역사 9년 랭크뉴스 2025.04.13
47675 "반년 만에 年 9% 수익"… 원금까지 보장하는 '이 상품'[박지수의 재테크 바이블] 랭크뉴스 2025.04.13
47674 美 스마트폰·반도체 관세 면제에 애플·엔비디아 주가 급등... 삼성도 ‘기대’ 랭크뉴스 2025.04.13
47673 [단독] [대선 인사이드] ‘모병제’ 여론조사 돌린 민주당…이재명 공약 포함될까 랭크뉴스 2025.04.13
47672 미국, 상호관세서 스마트폰·컴퓨터 제외…“애플·삼성 등에 도움” 랭크뉴스 2025.04.13
47671 출마 러시 속…여론 관심도도 ‘어대명’[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4.13
47670 4호선 동대문역 지하상가 불‥50여 명 대피 랭크뉴스 2025.04.13
47669 한미 전작권 전환 빨라지나…주한미군 유연성 확대로 이양 속도낼 듯[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13
47668 [작은영웅] “산으로 확대될 가능성 높습니다” 지리산 대형산불을 막아낸 주인공 (영상) 랭크뉴스 2025.04.13
47667 경기 광명 신안산선 붕괴 현장서 1명 구조…마지막 실종자 ‘수색 총력’ 랭크뉴스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