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일 새벽 4시27분 잔해 더미서 빠져나와
실종자 1명은 연락두절…“총력 수색”
2차 피해 우려로 주민 2400여명 대피
12일 오전 4시 27분께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 현장에서 고립됐던 20대 노동자가 사고 발생 13시간여만에 구조되고 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제공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지하 터널 공사장 붕괴 사고로 고립된 작업자(계측 직원) 1명이 밤샘 수색작업 끝에 구조됐다.

경찰과 소방당국 설명을 들어보면, 전날 오후 3시13분께 발생한 사고로 실종됐던 하청업체 소속 20대 노동자 ㄱ씨가 사고 발생 13시간 만인 12일 새벽 4시27분께 잔해 더미에서 빠져나왔다. ㄱ씨는 검사를 위해 병원으로 실려갔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원청인 포스코 소속 50대 작업자 1명은 연락이 닿지 않아,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ㄱ씨는 사고 당일 일찌감치 구조대와 전화통화가 이뤄져 생존이 확인됐다. 구조대는 ㄱ씨의 실제 목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곳까지 접근했지만, 구조장비 접근이 어려워 구조에 애를 먹었다고 한다. 소방 관계자는 현장 브리핑에서 “구조 과정에 복합적인 어려움이 있다”며 “(사고현장)깊이가 30여m에 달하고, 중장비가 진입하기에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도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앞서 11일 오후 3시13분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상부 도로가 무너지는 사고가 벌어졌다. 붕괴 사고가 일어난 곳은 이날 새벽 0시26분께 붕괴 우려 신고가 접수된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제5-2공구 환기구 공사 현장이다. 전날 밤 9시50분께 현장에선 ‘투아치'(2arch) 구조로 시공 중인 지하터널 내부의 가운데 기둥에 균열이 발생했다고 한다. 붕괴 우려가 전해진 뒤 당시 근무하고 있던 인력은 대피했다.

신고 뒤 경찰이 주변 도로 1㎞ 구간의 차량과 사람 통행을 모두 통제했다. 이후 이날 오후 긴급 안전진단 및 보강공사를 위한 점검을 진행하던 도중 실제 터널이 무너져 내렸다. 점검(계측)을 위해 나섰던 작업자 16명 가운데 14명은 대피하거나 즉시 구조됐다. 밤사이 ㄱ씨가 구조되면서, 현재 실종자는 1명이다.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붕괴해 주변의 출입이 통제돼 있다. 연합뉴스

사고 현장은 터널 붕괴로 도로 전체가 무너지며 도로 주변 상가 건물들까지 내려앉는 등 처참한 모습이었다. 인근 주민들은 새벽부터 붕괴 우려가 컸던 상황에서, 위험성조차 제대로 전해 듣지 못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붕괴 지점에서 100여m 떨어진 곳에 산다는 장영준(28)씨는 11일 한겨레에 “회사에 있다가 집 앞 도로가 무너졌단 얘기를 듣고 집에 강아지가 있어 달려왔다”며 “밤에 펑 소리가 났다고 하는데 못 들었고, 들었다고 해도 매일 공사를 하는 곳이니 그냥 시끄러운 소리인가보다 했을 것이다. (붕괴 조짐이 있다는) 아무 연락도 없고 알림도 없었다. 회사에 있지 않았다면 큰일 날 뻔 했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무너진 도로 바로 옆에서 자동차 정비소를 운영하는 이병식(50)씨는 “지반이 주저앉으면서 지진이 난 것처럼 엄청난 소리가 들려 일단 직원하고 달려 나왔다”며 아찔했던 순간을 떠올렸다. 사고 현장 바로 옆 건물 2층에 사는 권주용(74)씨도 “누워있는데 쿵, 펑하는 소리가 나서 창문을 보니 공사장 천막이 쭉 내려가 있었다. 집이 엄청나게 흔들렸다”고 했다.

광명시는 사고 발생 직후 사고 현장 주변 주민들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2명의 구조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무엇보다 시민의 안전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근 지역 아파트와 주택에 주민들 대피명령을 내렸고, 현재 각 학교와 시민 체육관에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2차 피해에 대비해 인근 아파트 642세대 2300여명과 오피스텔 주민 144명 등 2400여명을 대피시켰다.

현재 주변 전기와 가스 등은 모두 차단된 상태다. 소방 관계자는 “현장 관계자 설명을 들어보면 추가 붕괴 위험은 없지만 정확하게 안전진단을 다시 한 번 실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83 ‘피고인 윤석열’ 법정 촬영 불허…박근혜 때는 허가 랭크뉴스 2025.04.12
47482 '산불 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세월호 때보다 많아 랭크뉴스 2025.04.12
47481 하룻밤에 세 여자를…'17세 강간범'의 엄마로 산다는 건 랭크뉴스 2025.04.12
47480 부산 덕성원 끌려가 노예처럼 산 아이들…그곳은 지옥이었다 [사건 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2
47479 젤렌스키 "우크라 참전 중국인 최소 수백 명"…연일 中참전설 제기 랭크뉴스 2025.04.12
47478 쉬지 않고 관세 때린 ‘최고령’ 트럼프, 건강 검진 결과는…13일 공개 랭크뉴스 2025.04.12
47477 강원 고성 DMZ 산불 재발화에 헬기 2대 투입…진화율 50% 랭크뉴스 2025.04.12
47476 지역주택조합원 자격 취득 못한 자에게 반환하는 부당이득 범위[조주영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랭크뉴스 2025.04.12
47475 이재명 후원회장에 김송희씨…계엄에 저항한 5·18 유가족 랭크뉴스 2025.04.12
47474 피고인석 앉은 尹 모습 촬영 안 돼…박근혜·이명박 땐 허가 랭크뉴스 2025.04.12
47473 美외교지 "이재명, '실질적 해결책' 제시해 중도층 설득해야" 랭크뉴스 2025.04.12
47472 '내란죄 피고인 윤석열' 촬영 안 된다...재판부 불허 랭크뉴스 2025.04.12
47471 오세훈 불출마 누가 반사이익? ..."탄핵 찬성 후보" vs "이재명 이길 후보" 랭크뉴스 2025.04.12
47470 이정현, 출마 철회…"능력 부족 느껴, 기꺼이 캐디백 메겠다" 랭크뉴스 2025.04.12
47469 테슬라는 트럼프 관세 '무풍지대'?…중국·유럽서 불똥튀나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4.12
47468 고작 연필 사러 7배 웃돈 줬다, 어른이들의 은밀한 취미 [비크닉] 랭크뉴스 2025.04.12
47467 오세훈 불출마에 국힘 경선구도 출렁…김문수·나경원은 '동행' 랭크뉴스 2025.04.12
47466 제주 교사 “4·3 유전자 흘러” 발언…학교 측 “깊이 사과” 랭크뉴스 2025.04.12
47465 애슐리도 뉴발란스도 ‘대박’...이랜드, 구조조정 10년 만에 재비상 랭크뉴스 2025.04.12
47464 “진동벨 생길 때 알아봄”…한국 스타벅스, 키오스크 도입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