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녹전리에 있는 소나무는 독특한 이력을 지니고 있다. 수령(樹齡) 290년쯤 되는 이 소나무는 제약회사인 (주)종근당 우황청심환 상표의 모델 소나무로 알려져서다. 이 나무는 높이가 10m, 둘레가 3.9m쯤이며 주변에 아름드리 소나무도 많다. 주민들은 “보면 볼수록 웅장함과 미적 화려함까지 느껴지는 소나무”라며 "이 때문에 나무를 보러오는 사람이 많다"고 했다.
강원 영월군 산솔면에 있는 소나무(보호수). 제약회사 솔표 우황청심환 모델 나무로 알려져 있다. 사진 산림청
영월 소나무, 우황청심환 모델 소나무
영월 녹전리 소나무 등 전국의 나무 10그루가 ‘2025 올해의 나무’로 선정됐다. 산림청은 11일 “전국에 있는 보호수와 노거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지역관광 자원화를 위해 올해의 나무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운치와 멋·형태 등 생태·경관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람과 상생의 역사 등 인문학적 가치가 있는 나무를 골랐다"고 설명했다. 또 보전・관리가 필요한 노거수를 발굴해 잘 가꾸자는 차원도 있다.

산림청은 지난해 9월부터 전국 17개 광역단체와 지방산림청로부터 총 61그루의 보호수와 노거수 등 2개 분야에서 추천을 받았다. 이후 전문심사단 서류심사를 거쳐 현장심사와 국민 온라인 투표 결과를 종합해 총 10그루를 2025 올해의 나무로 선정했다. 보호수는 산림보호법에 따라 역사적・학술 가치 등이 있어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나무를 시・도지사 또는 지방산림청장이 지정한 것이다. 현재 전국에 1만3870여 그루가 보호수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생육 상태를 관리하며 훼손 시 처벌받는다. 반면 노거수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노거수는 일반적으로 수령 100년 이상 된 나무를 말한다.
강원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에 있는 돌배나무. 조선 대통실록에 '강원도의 좋은 배나무 가지를 구해서 접목하고자 한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 좋은 배나무가 인제 돌배나무로 알려져 있다. 사진 산림청
산림청, 보호수와 노거수 10그루 선정
이번에 선정된 올해의 나무 가운데 보호수 분야에서는 강원 영월 소나무 이외에 ▶광주 서구 왕버들 ▶서울 송파 느티나무 ▶강원 인제 돌배나무 ▶부산 기장 곰솔이 선정됐다. 노거수(老巨樹)로는 ▶경남 산청 회화나무 ▶강원 정선 소나무 ▶전북 고창 이팝나무 ▶충북 보은 왕버들 ▶전남 진도 배롱나무가 있다.
전남 진도군 의신면에 있는 배롱나무. 운방산림과 조화를 이룬다. 사진 산림청
기장 곰솔, 일본 학자들이 아름다움에 반해
이 가운데 광주 왕버들은 둘레가 4.6m, 높이가 15m이다. 이 나무는 1982년 1월 3일 보호수로 지정됐으며, 주변에는 선돌·고인돌 등이 있다. 주민들은 이 나무 밑에서 해마다 정월 대보름에 당산제(산신에게 지내는 제사)를 지낸다.

부산시 기장군 죽성리에 있는 곰솔(수령 428년)은 나무의 넓이가 30m, 높이 20m이다. 웅장하면서도 수려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근 왜성(倭城)에서 내려다보면 탐스러운 분재를 연상케 한다. 왜성을 조사하러 온 일본 학자들이 나무의 아름다움에 취해 일정을 연기할 정도였다고 한다.

충북 보은군 탄부면 왕버들. 논 한가운데 우뚝서 있다. 사진 산림청
이와 함께 강원 인제 돌배나무는 ‘조선왕실 나무’로 알려져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태종실록에 강원도의 좋은 배나무 가지를 구해서 접목하고자 한다는 구절이 나오는데, 여기에 등장하는 강원도 배나무가 인제 돌배나무라는 이야기가 전해온다”고 전했다.

고창 이팝나무, 전국서 가장 커
노거수 가운데 전북 고창군 아산면 중월리에 있는 이팝나무(수령 240년)는 높이 21m, 너비 25m로 전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근 대산면 중산리 이팝나무는 천연기념물(제183호)로 지정됐다. 이팝나무란 이름은 꽃이 필 때 나무 전체가 하얀 꽃으로 뒤덮여 이밥, 즉 쌀밥과 같다고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여름이 시작될 때 입하에 꽃이 피기 때문에 ‘입하목(立夏木)’이라 부르다가 이팝나무로 변했다는 말도 있다.
전북 고창군 아산면 중월리 이팝나무. 전국에서 크기가 가장 큰 이팝나무로 알려져 있다. 사진 산림청
또 충북 보은군 탄부면 덕동마을에 있는 왕버들나무(수령 200년)는 주변 논밭 사이에서 홀로 우뚝 서 있다. 이에 사진작가가 즐겨 찾는다. 전남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에 있는 배롱나무 주변에는 운방산림이 있다. 운방산림은 조선말기 화가인 허련이 머물며 작품활동을 하던 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배롱나무를 중심으로 운방산림 주변 경관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말했다.

부산 기장군 곰솔. 일본 학자들도 아름다움에 반했다고 전해진다. 사진 산림청
임상섭 산림청장은 "보호수나 노거수는 단순히 오래된 나무가 아니라 지역사회 쉼터이자 역사와 문화가 살아있는 산물"이라며 "소중한 산림자산을 지키고 알리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71 출마 러시 속…여론 관심도도 ‘어대명’[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랭크뉴스 2025.04.13
47670 4호선 동대문역 지하상가 불‥50여 명 대피 랭크뉴스 2025.04.13
47669 한미 전작권 전환 빨라지나…주한미군 유연성 확대로 이양 속도낼 듯[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13
47668 [작은영웅] “산으로 확대될 가능성 높습니다” 지리산 대형산불을 막아낸 주인공 (영상) 랭크뉴스 2025.04.13
47667 경기 광명 신안산선 붕괴 현장서 1명 구조…마지막 실종자 ‘수색 총력’ 랭크뉴스 2025.04.13
47666 美 조선소 인수한 한화오션, 밀려드는 불청객 ‘골치’ 랭크뉴스 2025.04.13
47665 계엄 선포 122일 만에 헌법재판관 8인 만장일치로 “윤석열 파면” [장서우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4.13
47664 “삼성전자 한숨 돌렸다”...한발 더 물러선 트럼프 랭크뉴스 2025.04.13
47663 [팩트체크] 일각서 제2 외환위기 우려하지만…가능성 매우 낮아 랭크뉴스 2025.04.13
47662 산재에 ‘고관절 골절’…장애인이라 장해급여 없다고요? 랭크뉴스 2025.04.13
47661 '내란 피고인 윤' 못 본다‥윤 측 "요청 안 해" 랭크뉴스 2025.04.13
47660 서울→부산 20분 안에…시속 1200㎞ '음속열차' 언제 실현될까 랭크뉴스 2025.04.13
47659 전공의 근무시간 단축 추진하는데…의학회 "주 80시간 유지돼야" 랭크뉴스 2025.04.13
47658 담배꽁초로 골머리 썩던 도봉구 변신…호주서 발견한 '이것' 덕분 랭크뉴스 2025.04.13
47657 [비즈톡톡] 스타크래프트·디아블로 만든 회사 맞아?… 끝없이 추락하는 ‘블리자드’ 랭크뉴스 2025.04.13
47656 "간헐적 단식, 뇌 건강에도 도움된다?"…효과보려면 이렇게 해야 한다는데 랭크뉴스 2025.04.13
47655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위기의 한국 정치에 승부수 던져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4.13
47654 예금보호 1억 상향시기 "상반기 결론"…시장불안·머니무브 고심 랭크뉴스 2025.04.13
47653 우린 ‘이미지 리스크’ 없어요… 요즘 기업이 선호하는 모델들 랭크뉴스 2025.04.13
47652 "정부지출 1원 늘리면 GDP 1.45원↑"…적정 추경 규모는 얼마 랭크뉴스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