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음 달 9일은 러시아 전승절입니다. 2차 세계대전 승리를 기념하는 러시아 최대 국경일로, 올해 80주년을 맞습니다. 우리에겐 조금 생소한 날이지만, 이때 열리는 기념식은 러시아와 우호 관계인 여러 국가 정상들이 모여 반서방 연대를 과시하는 외교 무대로도 평가받습니다.

이번 전승절에 우리가 특히 주목하는 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 여부 때문입니다. 러시아는 지난달 29일 "여러 아시아 국가 지도자들을 초대했다"라면서 "누가 참석할 지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김정은, 다자외교무대 데뷔할까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올해 방문하는 건 확정적인 듯합니다.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지난달 27일 "김 위원장의 올해 러시아 방문이 준비되고 있다"라고 확인했습니다. '푸틴의 오른팔'로 불리는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지난달 21일 평양에서 김 위원장을 만난 것도 방러 일정을 더 구체화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지난달 21일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위원장을 만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
만약 김 위원장이 전승절 기념식에 참석한다면 다자(多者) 외교 경험이 거의 없는 김 위원장의 ‘글로벌 외교 무대 데뷔’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참석이 유력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국제 무대에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따른 군사 협력·경제 지원 등을 더 구체적으로 약속받고, 북미 대화 재개 시 협상력도 높일 수 있습니다.

러시아 외교·안보 정책 전문가인 현승수 통일연구원 부원장은 "나치 독일과 싸운 경험이 없는 북한의 지도자가 2차 대전 승전을 기념하는 전승절에 온다는 건 러시아 입장에서도 행사의 역사적 성격을 바꾸는 큰 변화"라면서 "북한을 브릭스(BRICS) 같은 '친러 블록'에 편입시키는 상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열차 타고 모스크바까지?

그러나 그만큼 리스크도 큰 자리입니다. 북한 최고 지도자가 다자 외교 무대에서 여러 정상들 사이에 자연스럽게 섞여 등장한 적은 전무하다시피 합니다. 이 자리에선 김 위원장만을 위한 '특별 의전'이 사실상 어렵습니다. '수령제'인 북한의 통치 스타일을 감안하면, 다른 정상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움직여야 하는 상황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김 위원장의 '최고 존엄' 이미지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외교적 존재감도 드러내야 하는, 복잡한 셈법이 요구되는 자리인 겁니다.

2023년 9월 '방탄 열차'를 타고 러시아를 방문했던 김정은 위원장
현실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김 위원장이 평양에서 전승절 행사가 열리는 모스크바까지 어떻게 이동할 거냐는 겁니다. 북한에는 모스크바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는 전용기가 없는 데다, 김 위원장은 경호 문제 때문에 '방탄 열차'를 선호합니다. 앞서 2019년과 2023년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갈 때도 기차를 탔습니다. 하지만 그때는 블라디보스토크 같은 비교적 가까운 곳이었고, 모스크바까지 기차로 간다면 평양을 최소 보름 이상 비워야 한다는 부담이 생깁니다. 김 위원장은 2018년 싱가포르 북미 회담 때 중국에서 비행기를 빌려 타고 간 적이 있지만, 또 '남의 나라' 비행기를 탈지는 미지수입니다.

■ 관건은 시점·형식…김정은 선택은?

그래서 여러 가능성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가능성은 전승절 전후에 김 위원장 '혼자' 러시아에 방문하는 겁니다. 양자 회담을 통해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대등한 모습처럼 비치는 게 북한 입장에선 체제 선전과 내부 결속엔 유리합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최근 북한이 조기경보기를 공개하는 등 항공전력을 과시하는 것을 볼 때, 김 위원장이 하늘길을 이용해 모스크바 등 멀리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지난달 27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에 탑승한 김정은 위원장의 사진
두 번째 가능성은 아예 시점과 장소를 달리해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EEF)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나는 겁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은 "북한 입장에서는 올해 10월 노동당 창건 80주년이라는 국가적 기념일을 치러야 하기 때문에 대내외 분위기를 고조시키려는 차원에서 9월 방러 가능성도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 시나리오에도 한계는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을 계기로 발전된 양국 관계를 대내외에 과시하는 효과가 모스크바 방문에 비해 떨어진다는 겁니다. 극동 지역은 이미 김 위원장이 방문한 적이 있기 때문에, 달라진 관계를 보여주려면 새로운 장소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죠.

향후 남북 관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인 만큼, 통일부도 김정은 위원장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러시아에 모습을 드러내느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48 홍준표 대권 도전 선언‥D-50 대권주자들 영남권 표심 공략 랭크뉴스 2025.04.14
43847 ‘경선룰’ 반발 불출마 잇따라…‘역선택 방지’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43846 “예외다” “아니다”… 혼선의 ‘트럼프 관세’ 랭크뉴스 2025.04.14
43845 김문수는 이문열 영입, 홍준표 캠프엔 배우 이정길…국힘 경선 스타트 랭크뉴스 2025.04.14
43844 광명사거리역서 상수도관 누수로 물 솟아…"지반침하 위험 없어" 랭크뉴스 2025.04.14
43843 반도체 상호관세 면한 애플...팀 쿡 ‘조용한’ 리더십 먹혔나 랭크뉴스 2025.04.14
43842 민주 대선 경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3파전’ 구도…김두관 ‘거부’ 랭크뉴스 2025.04.14
43841 양자 대결서 '중도층 과반' 이재명 지지‥국민의힘, 한덕수 차출론 '시끌' 랭크뉴스 2025.04.14
43840 출마 첫 일정 ‘인공지능’ 챙긴 이재명 “100조 투자 ‘AI 기본사회’ 연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9 대선 변수로 떠오른 한덕수…‘반 이재명 연대’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5.04.14
43838 '계엄 정당' 주장 계속‥다음 재판은 21일 랭크뉴스 2025.04.14
43837 "그 돈이면 딴 데 가지"…아이들도 시시해 하던 '레고랜드'서 어른들 비명소리가? 랭크뉴스 2025.04.14
43836 도심 속 13m 여성 누드 조각상…"이런 게 예술? 눈살 찌푸려진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5 10대 소녀 37명 불타죽었다…사과궤짝 위 '악몽의 부검' 랭크뉴스 2025.04.14
43834 재택근무 중 일하는 척 키보드 '2100만번' 톡톡…'월급 루팡' 경찰의 최후 랭크뉴스 2025.04.14
43833 국내 최초 개인용 컴퓨터 개발한 이용태 ‘삼보컴퓨터 명예회장’ 별세 랭크뉴스 2025.04.14
43832 군 간부들 "의원 끌어내라 지시 있었다" 尹 "증인신문 순서 정치적 의도" 랭크뉴스 2025.04.14
43831 "다이소 또 일냈다"…건기식 이어 내놓는 '가성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43830 김동연 자서전, 예약 판매 엿새만에 베스트셀러 1위 랭크뉴스 2025.04.14
43829 트럼프 관세발 '트리플 약세'에 미국 경제위기 빠지나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