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성장' 방점 정책비전
회복·성장 이끌 적임자 부각하며
산업정책에 '정부 지원·협력' 강조
실용주의 정책 제시···우클릭 가속
당원 투표 50%에 여론조사 50%
경선룰 놓고 "李 유리" 내부 진통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선 메인 슬로건. 사진제공=이재명캠프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서울경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1일 대선 비전과 함께 슬로건을 공개했다.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메인)” “지금은 이재명(브랜드)”이라는 슬로건을 내걸어 12·3 비상계엄 선포의 여파로 열리는 이번 조기대선에서 자신이 ‘내란 극복 과정’을 이끌고 회복과 성장을 일으킬 적임자라는 점을 최대로 부각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정치적 불확실성을 마무리하고 경제회복과 성장을 위해 국가 주도의 신산업정책을 펴겠다는 뜻도 강하게 내비쳤다.

이 전 대표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비전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의 부는 기업이 창출한다”며 “하지만 국가 간 경쟁을 넘는 글로벌 경쟁에서 개별기업이 기술투자와 연구개발(R&D), 인재양성 등을 감당하기 너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가 단위의 관여와 지원, 투자,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경제 패러다임이 많이 변했다”며 “정부 역할이 중요한 시대가 다시 도래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술·연구·인재 등을 기업에만 맡겨서는 감당이 되지 않는 시대에 접어든 만큼 집권 후 기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는 산업 정책을 펼치겠다는 것이다. 이 전 대표는 “경제 질서와 국제적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며 “경쟁은 국가 단위를 넘어서 진행되는데 경제적 경쟁 활동은 다 기업이 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어 “대기업도 어려울 만큼 초거대 기술과 자본력이 필요한 시대에 정부의 역할도 새롭게 시작돼야 한다”고 말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형성된 자유무역 질서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한국의 신산업 정책은 절실한 상황이다. 다시 말해 제조업 아웃소싱의 수직적 분업체계에 적응해온 한국 산업 구조 상 미국 일방주의와 자국 우선주의가 팽창하는 국제관계에서 이 전 대표의 비전은 한국의 산업정책도 패러다임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논리인 셈이다

이 같은 점을 직시한 이 전 대표는 “모방의 기술로 이룩한 시스템을 주도적인 기술로 전환해나가자”고 했다. 그는 “한 걸음이라도 뒤처지면 도태 위험에 노출된 추격자가 되지만 반 걸음이라도 앞서면 무한한 기회를 누리는 선도자가 된다”며 “양적 성장에만 매달리던 기능 중심 사회에서 벗어나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가치 중심 사회로 변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한강의 기적, 산업화의 위대한 성취’ 등 주로 보수 진영에서 강조해온 표현을 활용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 전 대표는 다만 “기업들이 더 공익적이고 합리적이며 기업 활동으로 생겨나는 이익을 독식하는 게 아니라 합리적으로 나눌 수 있어야 한다”며 분배 정책을 빠트리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에는) 공정성을 중심에 뒀지만 이번에는 성장으로 무게중심을 옮겼다”고 분명히 했다.

이 전 대표는 “이번 대선을 레벨업의 전기로 삼겠다”고도 했다. 그는 “대한민국이 세계를 주도하는 시대, 그게 바로 K이니셔티브의 비전”이라고 짚었다. 실현 방법으로는 실용주의를 제시했다. 이 전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2기 체제로 자국 우선주의 세계대전이 시작됐다”며 “이념과 진영 대결은 우리가 맞닥뜨릴 거대한 생존 문제 앞에서 사소할 뿐 주도적이고 진취적인 실용주의가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6·3 대선이) 대한민국이 나락으로 떨어질 것인지, 앞으로 나아갈 것인지 결정하는 순간이 될 것”이라며 “국가 공동체 파괴를 시도하려는 세력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진상이 정확하게 드러나고, 상응하는 명확한 책임이 부과되고, 앞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게 하는 제도적·사회적 합의가 완료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적 안정을 포함해 이 전 대표는 △사회적 대타협을 이뤄낸 민주주의 강국 △첨단산업 선도 경제 강국 △세계 정세에 기민하게 대처하는 외교 강국을 ‘진짜 대한민국’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민주당은 경선 룰과 관련, 짧은 선거 기간을 고려해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의 국민 참여 경선을 유력 방안으로 검토 중이다. 반면 비명계 대선 주자들은 친명 지지자 중심의 권리당원보다 일반 국민들이 참여하는 선거인단 방식을 주장하고 있어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 기자회견을 마치고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48 홍준표 대권 도전 선언‥D-50 대권주자들 영남권 표심 공략 랭크뉴스 2025.04.14
43847 ‘경선룰’ 반발 불출마 잇따라…‘역선택 방지’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43846 “예외다” “아니다”… 혼선의 ‘트럼프 관세’ 랭크뉴스 2025.04.14
43845 김문수는 이문열 영입, 홍준표 캠프엔 배우 이정길…국힘 경선 스타트 랭크뉴스 2025.04.14
43844 광명사거리역서 상수도관 누수로 물 솟아…"지반침하 위험 없어" 랭크뉴스 2025.04.14
43843 반도체 상호관세 면한 애플...팀 쿡 ‘조용한’ 리더십 먹혔나 랭크뉴스 2025.04.14
43842 민주 대선 경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3파전’ 구도…김두관 ‘거부’ 랭크뉴스 2025.04.14
43841 양자 대결서 '중도층 과반' 이재명 지지‥국민의힘, 한덕수 차출론 '시끌' 랭크뉴스 2025.04.14
43840 출마 첫 일정 ‘인공지능’ 챙긴 이재명 “100조 투자 ‘AI 기본사회’ 연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9 대선 변수로 떠오른 한덕수…‘반 이재명 연대’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5.04.14
43838 '계엄 정당' 주장 계속‥다음 재판은 21일 랭크뉴스 2025.04.14
43837 "그 돈이면 딴 데 가지"…아이들도 시시해 하던 '레고랜드'서 어른들 비명소리가? 랭크뉴스 2025.04.14
43836 도심 속 13m 여성 누드 조각상…"이런 게 예술? 눈살 찌푸려진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5 10대 소녀 37명 불타죽었다…사과궤짝 위 '악몽의 부검' 랭크뉴스 2025.04.14
43834 재택근무 중 일하는 척 키보드 '2100만번' 톡톡…'월급 루팡' 경찰의 최후 랭크뉴스 2025.04.14
43833 국내 최초 개인용 컴퓨터 개발한 이용태 ‘삼보컴퓨터 명예회장’ 별세 랭크뉴스 2025.04.14
43832 군 간부들 "의원 끌어내라 지시 있었다" 尹 "증인신문 순서 정치적 의도" 랭크뉴스 2025.04.14
43831 "다이소 또 일냈다"…건기식 이어 내놓는 '가성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43830 김동연 자서전, 예약 판매 엿새만에 베스트셀러 1위 랭크뉴스 2025.04.14
43829 트럼프 관세발 '트리플 약세'에 미국 경제위기 빠지나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