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따뜻한 봄기운이 완연한 4월, 산과 들, 바다에는 제철을 맞이한 신선한 식재료들로 산해진미 차려진다. 올해는 평년보다 더위가 빠르게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니 봄의 진미를 부지런히 즐겨야 한다. 바로 지금 즐겨야 할 제철 음식들, 봄철 입맛 돋우는 4월의 식재료들.

가을 낙지보다, 봄 주꾸미



봄 주꾸미는 ‘가을 낙지보다 낫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부드럽고 감칠맛이 뛰어나다. 특히 4월은 알이 꽉 차고 살이 오동통하게 올라 주꾸미 맛이 가장 좋을 때이다. 타우린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주꾸미는 춘곤증이 찾아오는 시기, 피로 해소를 돕고 노곤한 몸에 활력을 불어넣는 보양식이기도 하다. 생물 주꾸미를 고를 때는 살이 통통하고 탄력이 있으며 색이 선명한 것을 택하는 것이 좋다. 구매 후에는 냉장 보관하며 1~2일 이내에 먹는 것이 좋고 장기 보관할 때에는 소분해 냉동 보관한다. 제철 주꾸미를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샤부샤부다. 육수에 살짝 데치기만 해도 신선한 주꾸미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같은 봄 제철 음식인 미나리와도 궁합이 잘 맞는다. 매콤한 양념과 함께 볶아 먹는 주꾸미 볶음이나 숙회, 초무침 등으로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통통 살오른 키조개



키조개는 일반 조개보다 크기가 크고, 넓은 삼각형 모양의 껍데기가 곡식의 알곡과 쭉정이를 가를 때 쓰는 키(箕)와 닮았다 하여 ‘키조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겨울 동안 천천히 살이 차오르다 4월이 되면 가장 통통하고 단맛이 뛰어난 상태가 된다. 특히 관자(패주)가 크고 육질이 부드러워 최고의 맛을 자랑한다. 봄철 키조개에는 아미노산과 철분, 타우린, 단백질 등 영양분도 듬뿍 담겨 있다. 키조개를 고를 때에는 껍데기가 깨끗하고 입이 단단히 닫혀 있는지 확인할 것. 구입 후에는 냉장 보관하며, 오래 보관할 때에는 관자만 분리한 후 물에 깨끗이 씻어 빠르게 냉동하면 최대 1~2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다. 키조개는 샤부샤부, 구이, 회, 찜, 탕, 샐러드, 그라탱 등 다양한 요리로 즐길 수 있다. 특히 관자는 웬만한 조갯살보다 크고 맛이 좋아 회로 먹어도 좋고 매콤달콤한 무침으로도 즐겨 먹는다.

쌉싸름 입맛 깨우는, 두릅



‘봄나물의 제왕’이라고 불리는 두릅은 특유의 맛과 향으로 봄철 입맛을 돋우는 산채다. 두릅은 새순이 올라오는 시기에 가장 연하고 향이 좋다. 3월부터 수확이 시작돼 전국적으로 5월까지 제철 두릅이 나는데, 특히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향이 진하고 맛이 강한 야생 두릅(참두릅)을 즐길 수 있다. 두릅 특유의 쓴맛은 당뇨와 암 예방에 좋은 사포닌 성분 때문. 단백질과 칼슘, 철분과 비타민을 고루 갖춰 원기 회복과 면역력 강화, 신경 안정과 숙면에도 도움을 준다. 두릅을 고를 때는 줄기가 단단하고 향긋하며 잎이 많이 펴지지 않고 봉오리가 오므라든 것을 고른다. 봄두릅은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을 찍어 먹는 것이 맛과 향을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 바삭하고 고소한 두릅 튀김, 부침가루와 달걀 물을 입혀 노릇하게 부쳐낸 두릅전도 봄철 즐길 수 있는 별미다.

바다향 가득, 미더덕



모양은 울퉁불퉁 못생겼지만 시원한 바다 향과 오독오독 씹히는 맛이 일품이다. ‘물에서 나는 더덕’이라 하여 이름 붙은 미더덕도 4월부터 5월까지 가장 맛있는 시기를 맞이한다. 제철 미더덕은 식감이 쫄깃하고 바다 향이 진해 깊은 감칠맛을 느낄 수 있다. 봄철 플랑크톤을 먹고 자란 미더덕은 단백질과 아미노산,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해 피로 해소와 면역력 강화에 좋다.

미더덕을 고를 때에는 크기는 작되 몸통이 통통하고 껍질이 선명한 황갈색을 띠는 것을 고른다. 제철 미더덕은 회로 먹으면 맛과 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신선한 미더덕에 칼집을 넣고 내장과 펄을 제거한 후 물에 가볍게 씻어내면 미더덕회 완성. 된장찌개나 해물탕에 넣으면 국물 맛이 더욱더 깊어지고 초무침이나 찜, 구이로 먹어도 감칠맛을 즐길 수 있다. 미더덕은 콩나물과도 궁합이 좋다.

아삭아삭 밥도둑, 죽순



4월은 죽순의 계절이다. 4월은 죽순이 가장 연하고 맛있는 시기로, 아삭한 식감과 은은한 단맛이 뛰어나다. 늦봄이 되면 섬유질이 많아져 질겨지므로 제철인 4~5월에 먹는 것이 좋다. 죽순은 단백질과 폴리페놀, 칼륨 등 다양한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식이섬유가 풍부해 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 죽순은 수확하고 나서도 자란다. 때문에 되도록 최근에 수확한 것을 골라야 하는데, 끝부분이 짧고 뾰족하며 겉껍질이 노란빛을 띠고 윤기가 있는 것을 고른다. 또한 단면이 하얀 것이 신선한 죽순이다. 요리하기 전에 쌀뜨물에 담가두거나 삶으면 식감이 부드러워지고, 체내 결석 발생을 유발하며 떫고 아린 맛을 내는 수산 성분도 사라진다. 불린 쌀에 다시마 육수를 넣고 데친 죽순을 얇게 썰어 올려 밥을 지으면 향긋하고 고소한 죽순밥이 완성된다. 볶음, 튀김, 장아찌,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로도 즐길 수 있다.

탱글탱글 단맛 가득, 소라



봄부터 초여름까지 제철인 소라는 이 시기 살이 통통하게 올라 탱글탱글한 식감을 자랑한다. 비린내가 적고 감칠맛이 풍부하며 씹을수록 단맛이 올라오는 것이 특징. 육질이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해 회로 먹거나 구이, 찜, 숙회, 초무침 등으로 맛있게 먹을 수 있다. 껍데기가 깨끗하고 만졌을 때 즉시 반응하는 것이 신선한 소라다. 제철 소라는 회로 먹으면 오독오독 쫄깃한 식감을, 숙회로 먹으면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삶아 먹을 때에는 소금물에 1시간 정도 담가 해감한 후 물에 소주 한 컵과 약간의 소금을 넣고 7~10분 정도 삶는다. 소라는 오래 삶으면 질겨지니 주의할 것. 꼬리 끝부분(내장)은 쓴맛이 날 수 있으니 제거하는 것이 좋다. 익힌 뒤에는 바로 찬물에 담가야 탱글탱글한 식감이 유지된다. 데친 소라를 오이, 양파 등과 함께 초장에 버무린 소라 초무침, 부드럽고 고소한 풍미가 일품인 소라 버터구이는 밥반찬이나 간식, 술안주로도 좋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79 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면제 대상 아니야”...품목 관세 부과 대상 랭크뉴스 2025.04.14
48078 정세 불안해도 韓 방산은 1분기 ‘실적 잔치’ 기대감 랭크뉴스 2025.04.14
48077 철강 관세가 만드는 ‘빅딜’?…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공장 투자 검토 랭크뉴스 2025.04.14
48076 ‘만 78세 10개월’ 트럼프, 대통령직 수행에 ‘건강 이상무’ 랭크뉴스 2025.04.14
48075 [단독] 서류로 500억 무인차량 성능평가?... 방사청이 자초한 K방산 공정성 논란 랭크뉴스 2025.04.14
48074 이사장 점심 배달·생일잔치 장기자랑… 강원학원 ‘갑질’, 피해 교직원 30여명 랭크뉴스 2025.04.14
48073 이준석 "이재명도 박정희주의 잔재, 한덕수는 흘러가는 물"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4
48072 장하준 “한국, 트럼프 비위 맞추기 그만둬야…미국에 매달리면 봉변당할 것” 랭크뉴스 2025.04.14
48071 평일엔 바쁜데 주말에 몰아서 해도 될까…"운동량 충분하면 OK" 랭크뉴스 2025.04.14
48070 출근길 체감기온 '뚝'‥이 시각 기상센터 랭크뉴스 2025.04.14
48069 李 독주에 셈법 복잡한 조국당… 독자 후보 포기, 선거 연대 선택 랭크뉴스 2025.04.14
48068 일부 지역 눈·우박… 당겨진 ‘벚꽃엔딩’ 랭크뉴스 2025.04.14
48067 사회 첫걸음부터 막막…20대 후반 취업자 12년만에 최대 감소 랭크뉴스 2025.04.14
48066 전국에 비·눈·돌풍까지…대기 불안정 탓 랭크뉴스 2025.04.14
48065 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면제 아니다" 직접 진화 시도 랭크뉴스 2025.04.14
48064 [100세 과학] 3대 노인성 뇌질환 파킨슨병…치료 열쇠 찾는 R&D 활발 랭크뉴스 2025.04.14
48063 [단독] 후보가 의뢰하고 돈까지 댄다...불법 기획 여론조사의 민낯 랭크뉴스 2025.04.14
48062 어느 미얀마 가사노동자의 잃어버린 3년···법원 “밀린 임금 4800만원 지급하라” 랭크뉴스 2025.04.14
48061 장하준 “한국, 트럼프 비위 맞추기 그만둬야…미국서 빠져나오는 전략 필요” 랭크뉴스 2025.04.14
48060 스마트폰·노트북도 관세 예외 없다…“한 달 후 반도체 관세에 포함”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