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31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개호송 숲 일부가 산불에 피해를 본 가운데 수목치료업체에서 까맣게 탄 소나무를 세척하고 있다.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은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26호다. 연합뉴스
경북 북부지역을 덮친 ‘괴물 산불’이 역대급 인명·재산피해를 낳은 것은 물론 이들 지역을 찾는 방문객들의 발걸음도 돌려놨다. 큰 불행을 겪은 지역에 관광하러 가는 것은 민폐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발길을 끊자 지역 관광업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화마(火魔)가 할퀴고 간 경북 5개 시·군 중 가장 재산피해가 큰 곳은 안동이다. 산불이 잡힌 지는 열흘이 훌쩍 넘었지만, 여전히 안동은 관광객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다.



며칠째 손님 뚝 안동찜닭거리
산불로 손님이 뚝 끊긴 안동시 서부동 안동구시장 찜닭거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큰 위기를 겪고 있다. 이곳에서 15년째 영업을 하는 임희숙(58)씨는 “평일에도 찜닭을 먹으러 오는 손님들로 바글바글한 데 산불 나고 며칠째 시장이 텅 비었다”며 “문을 닫을 수도 없고 일단 영업은 하는데 한숨만 나온다”고 말했다.
지난 1일 경북 안동시 서부동 안동구시장 내 안동찜닭 골목에 손님 발길이 끊겨 한산한 모습. 김정석 기자

안동시관광협회에 따르면 안동관광택시 3~4월 예약 건(73명)과 안동시티투어 3~5월 예약 건(280명)이 100% 취소됐다. 한옥스테이와 게스트하우스 등 숙박업소의 예약도 최대 90% 취소됐고 간고등어와 안동찜닭 등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음식점의 매출도 최대 50%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평소 방문객들로 북적이는 관광명소가 갑자기 한산해진 것은 산불 피해 지역에 관광하러 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산불 지역 관광, 민폐 아냐”
김남일 경북문화관광공사 사장은 “재해가 난 지역에 놀러 가는 것이 민폐라고 생각해 방문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오히려 관광객들이 찾아와야 요식업과 관광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들이 살고 지역 내수도 되살아난다. 지역경제를 살리는 착한 소비”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26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 산불로 전소된 건물 흔적 위로 깨진 범종만 놓여있다. 이번 경북 의성 산불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된 고운사 가운루와 연수전 등이 전소됐다. 뉴스1

지역에 방문객들을 이끄는 봄철 축제·행사가 전면 취소된 것도 안동의 시름을 깊게 만드는 데 한몫했다. 안동시는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3일까지 예정됐던 ‘퇴계 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와 지난 2일부터 열릴 예정이던 ‘안동벚꽃축제’ 등을 열지 않기로 했다.

안동시는 산불로 큰 타격을 받는 관광업을 살리기 위해 지역 방문 활성화 캠페인을 진행하고 나섰다. 이른바 ‘착한 관광, 안동으로 여행 기부’ 캠페인이다.

안동시는 ▶단체관광객 유치 여행사 인센티브 100% 증액 ▶뚜벅이 여행자를 위한 안동시티투어와 안동관광택시 할인이벤트 진행 ▶코레일관광개발과 협업해 KTX 이용객을 위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탐방프로그램 운영 ▶전통주 체험프로그램 운영 ▶수도권 지역 안동관광 홍보 행사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초청과 미디어 마케팅 등을 공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민관 앞다퉈 관광활성화 노력
안동시관광협회도 ‘산불피해 극복을 위한 관광 활성화 포럼’을 개최하며 안동 관광 재건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안동시관광협회는 지난 10일 안동관광커뮤니티센터 ‘여기’에서 포럼을 열고 지역 관광업 종사자, 유관 전문가, 지자체 관계자 등이 참여해 산불피해 현황을 공유하고 관광 회복을 위한 실질적 대안을 논의했다.
안동시가 산불 피해 일상 회복을 위한 '착한 관광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를 알리는 포스터. 사진 안동시

포럼에 참석한 배만규 국립경국대 교수는 “외지에서 안동으로 관광을 오게 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안동에서 추진했던 관광크리에이터사업 등을 통해 안동 여행을 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보여준다면 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책·행정적 지원은 안동시에서 하더라도 이런 노력은 관광·서비스분야 종사자들이 노력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조언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성금이나 자원봉사뿐만 아니라 안동에서 관광을 즐기는 것도 안동시를 돕는 큰 힘이 된다. 단순한 여행을 넘어 지역사회에 희망을 전하는 의미 있는 실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50 한덕수, ‘관세 유예’ 자화자찬하며 ‘알래스카 LNG 개발’ 급발진 랭크뉴스 2025.04.14
43849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50대 실종자 수색 난항 랭크뉴스 2025.04.14
43848 홍준표 대권 도전 선언‥D-50 대권주자들 영남권 표심 공략 랭크뉴스 2025.04.14
43847 ‘경선룰’ 반발 불출마 잇따라…‘역선택 방지’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43846 “예외다” “아니다”… 혼선의 ‘트럼프 관세’ 랭크뉴스 2025.04.14
43845 김문수는 이문열 영입, 홍준표 캠프엔 배우 이정길…국힘 경선 스타트 랭크뉴스 2025.04.14
43844 광명사거리역서 상수도관 누수로 물 솟아…"지반침하 위험 없어" 랭크뉴스 2025.04.14
43843 반도체 상호관세 면한 애플...팀 쿡 ‘조용한’ 리더십 먹혔나 랭크뉴스 2025.04.14
43842 민주 대선 경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3파전’ 구도…김두관 ‘거부’ 랭크뉴스 2025.04.14
43841 양자 대결서 '중도층 과반' 이재명 지지‥국민의힘, 한덕수 차출론 '시끌' 랭크뉴스 2025.04.14
43840 출마 첫 일정 ‘인공지능’ 챙긴 이재명 “100조 투자 ‘AI 기본사회’ 연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9 대선 변수로 떠오른 한덕수…‘반 이재명 연대’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5.04.14
43838 '계엄 정당' 주장 계속‥다음 재판은 21일 랭크뉴스 2025.04.14
43837 "그 돈이면 딴 데 가지"…아이들도 시시해 하던 '레고랜드'서 어른들 비명소리가? 랭크뉴스 2025.04.14
43836 도심 속 13m 여성 누드 조각상…"이런 게 예술? 눈살 찌푸려진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5 10대 소녀 37명 불타죽었다…사과궤짝 위 '악몽의 부검' 랭크뉴스 2025.04.14
43834 재택근무 중 일하는 척 키보드 '2100만번' 톡톡…'월급 루팡' 경찰의 최후 랭크뉴스 2025.04.14
43833 국내 최초 개인용 컴퓨터 개발한 이용태 ‘삼보컴퓨터 명예회장’ 별세 랭크뉴스 2025.04.14
43832 군 간부들 "의원 끌어내라 지시 있었다" 尹 "증인신문 순서 정치적 의도" 랭크뉴스 2025.04.14
43831 "다이소 또 일냈다"…건기식 이어 내놓는 '가성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