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125%에 펜타닐 비율도 추가”
‘中 외 90일 유예’ 연장 여지 남겨
시진핑 “中·EU, 美 함께 맞서야”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종전 84%에서 125%로 상향했다. 미국이 145%의 대중 누적 관세율을 적용한 것에 대한 대응조치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11일 이같은 내용의 관세 부과 조치 조정에 관한 고시를 발표하고 12일부터 적용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미국이 중국에 지나친 관세를 부과하는 행위는 국제 경제 무역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며, 기본적인 경제 상식에도 어긋나는 일로 일방적인 괴롭힘과 강압적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중국에 상호관세 125%를 부과했으나 합계 관세율은 125%가 아닌 145%라고 미 언론들이 보도했다. CNBC는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125%라고 행정명령에 명시돼 있고, 여기에 20%의 펜타닐 (관세) 비율을 추가해야 한다”며 “백악관 관계자는 145%가 현재 중국산 상품에 대한 정확한 새로운 관세율이라고 확인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백악관 각료회의를 마친 뒤 ‘중국 이외 상호관세 대상국에 대한 90일 관세 유예’ 기간의 연장에 대해 여지를 남기는 발언을 내놨다. 주요 교역국과 상호 협상을 통해 ‘관세 전쟁’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로, 우리나라와 일본, 유럽연합(EU), 캐나다 등 서방 선진국들과의 대미 연합전선 구축에 나선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중국 이외의 상호관세 대상국들에 대한 관세 할증분 적용의 유예기간인 90일이 끝난 뒤 유예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에 대해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고 답했다.

이런 상황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국 주도의 관세전쟁에는 “승자가 없다”며 중국과 EU가 미국의 ‘괴롭힘’에 함께 맞서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를 만나 “관세전쟁에서는 승자가 없으며, 세계와 대립하면 스스로를 고립시키게 될 것”이라며 “중국과 EU 양측은 일방적 괴롭힘을 함께 막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70여년간 중국은 어떠한 불합리한 억압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중국은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자기 일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14~18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3국을 방문한다.

중국 언론들은 왕원타오 상무부장이 사우디아라비아 상무장관,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무역산업부 장관과 화상통화를 통해 경제무역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리창 국무원 총리도 7월 중국·EU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합의했다.

전날 기록적으로 폭등했던 뉴욕 증시는 하루 만에 급락했다. 양국 무역갈등 격화에 따른 침체 우려를 되살린 영향을 받았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0% 떨어진 3만9593.66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3.46%, 나스닥 지수는 4.31% 급락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56 밀양 성폭행 사건 가해자들 신상 공개한 유튜버 '집행인' 실형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55 95세 할머니 있는 집에 ‘불’…경찰관이 뛰어들었다 [아살세] 랭크뉴스 2025.04.18
45554 서울 강남 초등학교 ‘유괴 불안’ 확산… 연달아 신고 접수 랭크뉴스 2025.04.18
45553 청문회부터 탄핵심판 선고까지…6년 임기 마친 문형배·이미선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18
45552 “3~4주면 중국과 타결할 것”…시진핑 통화했나요? 묻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8
45551 '서울대 딥페이크' 주범 항소심서 징역 9년으로 감형 랭크뉴스 2025.04.18
45550 [단독] 변호사가 사무실·자택 잇단 방화… 3차 범행 뒤에야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4.18
45549 "독도는 일본 땅" 망언을 3면 스크린으로 감상?‥황당한 '역사 왜곡 전시관'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18
45548 '윤 어게인 신당' 보류 소동‥갑자기 단톡 파더니 '망신' 랭크뉴스 2025.04.18
45547 제주 벚꽃축제, 바가지 요금 논란 이어 집단 식중독까지 랭크뉴스 2025.04.18
45546 “강남역에 누가 살고 있다” 제보…지적장애인 7개월만 가족 품으로 랭크뉴스 2025.04.18
45545 국방부, 김현태 전 707단장 등 7명 기소휴직 랭크뉴스 2025.04.18
45544 홍준표, '尹 탈당 요구' 안철수에 "시체에 난도질…사람 도리 아냐" 랭크뉴스 2025.04.18
45543 80대女 돌연 구토·발열 알고보니…치명률 18.5%, 치료제도 없다 랭크뉴스 2025.04.18
45542 이준석 "'윤어게인' 창당은 간 보기…尹, 국힘에 배신감 느낀 듯" 랭크뉴스 2025.04.18
45541 서울고법, 윤석열 21일 공판도 ‘지하 출입’ 허용…특혜 논란 랭크뉴스 2025.04.18
45540 네이버, 컬리와 손잡았다…쿠팡 맞설 ‘신선식품 동맹’ 출격 랭크뉴스 2025.04.18
45539 Z세대 취업 불안 확산… 69% “장기전 준비 중” 랭크뉴스 2025.04.18
45538 ‘K-엔비디아’ 키운다더니 현실은 주 52시간 족쇄… 반도체업계 “K-반도체 하향 평준화” 비판 랭크뉴스 2025.04.18
45537 초등생 붙잡고 "음료수 사줄까"…강남 한복판서 '유괴 불안' 확산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