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지층의 '대선 출마' 요구 수개월 이어져 결심"
"계엄 선포 잘못... 尹 탄핵, 헌정사엔 도움 안돼"
대권 도전에 나선 김문수(가운데)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전태일기념관에서 청년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박시몬 기자


친(親)윤석열계로 분류되는 보수 진영 대선 주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윤 전 대통령 뜻으로 대선에 출마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3일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서도 "만약 계엄 당일 (내가) 국무회의에 출석했다면 드러누워서라도 반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도층 표심을 의식해 '강성 친윤'이라는 이미지를 희석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 전 장관은 1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윤 전 대통령이) 특별히 표현한 게 없어서 '윤심(윤석열의 마음)'은 나도 모르겠다"며 일각에서 제기하는 '윤 전 대통령의 권유에 따른 출마설'에 선을 그었다. 이어 "며칠 전까지만 해도 대선 출마 생각이 없었다"고 털어놨다. 그런데 "대선에 출마해 달라"는 지지층 요구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고 몇 달간 이어졌고, 이 때문에 대권 도전을 결심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윤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선고로 파면된 상황에서 김 전 장관은 "12·3 불법 계엄이 잘못됐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유신 시대부터 5공화국까지 계엄을 한 번도 찬성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꼿꼿 문수'라는 별명을 안겨 준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본회의 상황에 대한 해명도 내놨다. 당시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회의에 출석했던 국무위원들에게 불법 계엄을 막지 못한 책임을 물으며 "국민 앞에서 사죄하라"고 요구하자, 다른 장관들은 모두 일어나 고개를 숙인 반면 김 전 장관은 계속 자리에 앉은 채 정면을 응시하기만 했다. 이와 관련, 김 전 장관은 이날 "국회의원이 고함을 지르며 갑질하는 것이 도를 넘었고, (그런) 폭력에 응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에 대한 사과를 거부한 게 아니라, 당시 야당 의원 태도가 문제였다는 취지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본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들이 12·3 불법 계엄 사태와 관련해 사과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숙이고 있다. 김문수(맨 왼쪽)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만 자리에 앉아 전방을 바라보고 있다. 정다빈 기자


다만 '윤석열 탄핵 반대' 입장은 여전했다. 김 전 장관은 "군중 심리나 그 당시 분위기에 떠밀려 (대통령이) 탄핵된다면 과연 대한민국 헌정사에 도움이 되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권한 중 하나인 비상계엄이 도를 넘어섰을 때는 내란이 될 수 있지만, 그 부분에 대한 판단은 냉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인의 강성 보수 이미지가 '중도 확장' 측면에선 걸림돌이라는 지적도 반박했다. 김 전 장관은 "공장 보조공으로 시작해 장관까지 하면서 용광로와 같은 삶을 살았다. 사회 밑바닥과 (정치적으로는) 왼쪽·오른쪽에 모두 있어 본 나만큼 중도의 지지 기반을 가진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56 [단독] ‘IMF 이후 첫 적자’ 신협, 부동산·건설 대출 한도 초과 조합만 100곳 랭크뉴스 2025.04.18
45355 ‘일방 증원’ 정부·‘환자 볼모’ 의료계…상처만 남긴 ‘1년 전쟁’ 랭크뉴스 2025.04.18
45354 81세 장영자 다섯번째 수감... 그가 사기 범죄 반복하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8
45353 [이슈 In] 퇴직연금 수익률 2%대 '제자리걸음'…'기금형 도입' 해법 될까? 랭크뉴스 2025.04.18
45352 대선 정책테마주 뜬다…이재명 방문하자 방산·콘텐츠 일제히 급등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18
45351 장애인 학대 피해자 수 20대 최다…증가율은 17세 이하 최고 랭크뉴스 2025.04.18
45350 ‘韓대행 재판관 임명’ 제동 건 변호사 “누굴 지명했어도 소송” 랭크뉴스 2025.04.18
45349 [오늘의 운세] 4월 18일 금요일 랭크뉴스 2025.04.18
45348 부동산 가격 저점 신호? 부실채권 시장에 돈 몰린다 랭크뉴스 2025.04.18
45347 "진정한 혼밥 1인자인가"…지하철서 '쌈' 싸먹은 민폐男 등장에 '공분' 랭크뉴스 2025.04.18
45346 ‘울산 중구’여서 가능했던 ‘주 4.5일제’ [양종곤의 노동 뒤집기] 랭크뉴스 2025.04.18
45345 신상 털릴라, ‘尹재판’ 검사들도 떤다…300m도 차 타고 이동 랭크뉴스 2025.04.18
45344 [단독]건진법사 부인 수상한 광산사업, 유력 정치인이 도운 정황 랭크뉴스 2025.04.18
45343 트럼프 "다른 나라가 관세 협상하길 더 원해…결정은 우리가 해"(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342 [단독] "AI시대, 원전이 필요하다" 이재명, 에너지정책 '우클릭' 랭크뉴스 2025.04.18
45341 김문수 "탄핵 넘어선 '반명 빅텐트' 필요... 한덕수 유승민 김부겸과도 단일화"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8
45340 사람은 쉽게 푸는데 AI는 포기선언... AI 한계 시험 위해 작정하고 만든 ‘최후의 테스트’ 랭크뉴스 2025.04.18
45339 차비 아까워 걸어 다니던 그 학생들이 시작한 첫 기부[아살세] 랭크뉴스 2025.04.18
45338 권력과 돈에 갇힌 보수, 윤석열 내려놔야 살 수 있다 [위기의 보수, 길을 묻다] 랭크뉴스 2025.04.18
45337 중미 벨리즈서 미국인이 항공기 납치…"용의자 사망"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