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강주안 논설위원
지난 1월 검찰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기소한 직후 공개된 공소장에서 특이한 대목이 눈에 들어왔다. 내란에 가담한 주요 피의자들의 인적사항은 대개 육군사관학교·경찰대학 등 대학 학력만 기재했다. 그런데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은 출신 고교가 적혀 있고, 8회·7회·17회라고 명시됐다.

검사들이 굳이 개인정보를 추가로 기재한 건 출신 고교와 기수가 내란 혐의의 주요 단서라는 시각을 보여준다. 공소장에 명기되진 않았지만, 12회인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까지 윤 전 대통령의 충암고 선후배들은 임기 내내 돋보였다.

“사람에게 충성 않는다” 장담하더니
이제 와서 “사람은 충성심이 중요”
그래서 동문들이 서열 무시했나

김 전 장관은 경호처장에 발탁된 이후 윤 전 대통령과 나란히 다니는 모습이 계속 보도됐다. “대통령 안전을 철저히 살펴야 할 경호처장이 대통령과 붙어 다니는 모습은 부적절했다”고 전직 대통령실 관계자는 말한다. 이젠 계엄을 위한 포석으로 의심받지만, 지난해 9월 김 전 장관이 경호처장에서 국방부 장관으로 직행한 인사도 심한 파격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경찰·소방 등의 잘못으로 159명이 숨진 이태원 참사에도 끄떡없던 이 전 장관과 함께 대통령에게 계엄을 건의할 수 있는 장관 두 자리 모두 고교 동문을 앉혔다.

정부조직법 26조(행정 각부)에 따른 서열을 보면 국방부는 여덟 번째, 행안부는 아홉 번째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와 국회 증언을 보면 윤석열 정부의 실질적 장관 서열은 달랐다. 계엄 직전 소집된 국무회의에 대해 한덕수 권한대행은 “정상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장관 서열 1위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회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런데 이들의 증언이 민망하게 서열 9위의 이 전 장관은 “2년 넘게 재임하면서 국무회의에 100번 넘게 참석했는데, 이번 국무회의처럼 실질적으로 위원들끼리 열띤 토론과 의사 전달이 있었던 건 처음”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의 권력 지형도가 드러난 순간이었다. 총리와 부총리를 윗사람으로 생각했다면 이런 식으로 표현했을까.

장관 서열 8위인 국방부 장관이 서열 1위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을 대하는 자세도 드러났다. 최 부총리가 받은 ‘비상입법기구 쪽지’는 대통령이 아니라 국방부 장관이 줬다고 윤 전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은 주장했다. “최 부총리에게 쪽지를 건넸느냐”는 질문에 김 전 장관은 “직접 건네지는 못하고 실무자를 통해 전달했다”고 답했다. 윤석열 정부에선 국방부 장관이 부총리에게 사람을 시켜 문건을 전달하면 그만이었던 거다. 대통령 고교 동문의 위상은 헌법과 법률이 정한 권력 서열을 뛰어넘었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말로 신선한 울림을 줬던 윤 전 대통령은 권력의 정점에 서자 기대를 배신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9일 서울 한남동 관저를 방문한 이철우 경북도지사에게 “사람을 쓸 때 가장 중요시 볼 것은 충성심”이라고 했다니 씁쓸하다.

법가 철학자 한비자는 일찍이 “직무의 범위를 월권하면 사형당한다”며 신하의 자세를 경고했다. 윤 전 대통령은 포고령에 담긴 ‘전공의 처단’ 문구를 김 전 장관이 작성했다고 주장했다. “전공의 부분을 왜 집어넣느냐고 물으니 ‘계고한다는 측면에서 뒀다’고 해 웃으면서 놔뒀는데 그 상황은 기억하느냐”고 하자 김 전 장관은 “기억난다”고 답했다. 국방부 장관이 교육부·보건복지부 장관 소관 업무를 함부로 다루는 걸 용인했다는 고백이다. 월권을 서슴지 않는 고교 선배를 웃으며 놔둔 관대함이 화를 초래한 사실을 깨달았을까. 지난 2월 25일 헌재 최후진술에서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가 “제 삶에서 가장 힘든 날들”이었다고 했다. 앞으로 닥칠 시련도 만만치 않으리라 예상한다. 정부 서열만 법대로 존중했어도 지금 윤 전 대통령은 관저에서 김건희 여사와 이삿짐을 싸는 대신 집무실에 앉아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에게 당부의 말을 건네고 있었을지 모른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69 윤석열 "이기고 돌아왔다"‥"국민 우롱" 랭크뉴스 2025.04.12
47568 "실종자 1명 남았는데" 광명 붕괴 사고, 수색 일시 중단…우천으로 난항 랭크뉴스 2025.04.12
47567 강풍에 제주도 항공편 무더기 결항·지연 랭크뉴스 2025.04.12
47566 민주, 대선 경선룰 변경…‘권리당원 50%·국민여론조사 50%’ 랭크뉴스 2025.04.12
47565 민주 '50대 50' 경선룰 확정…비명계 "어대명 경선" 반발 랭크뉴스 2025.04.12
47564 이재명 후원회장에 김송희씨···12·3 때 상경하며 “소식 없거든 죽은 줄 알라” 랭크뉴스 2025.04.12
47563 “미국 손님은 104% 더 내세요” 트럼프에게 뿔난 중국인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2
47562 광명 신안산선 붕괴 터널 기둥, 사고 17시간전 이미 ‘파손’ 상태 확인 랭크뉴스 2025.04.12
47561 특이점이 와버린 일본 고독사…유독 이분들만 왜?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2
47560 한국산 선크림 "1년치 쟁여 뒀다"는 미국인들,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2
47559 "남은 실종자 1명" 광명 붕괴 사고, 수색 일시 중단…우천으로 난항 랭크뉴스 2025.04.12
47558 "제주도 여행 중인데 큰일났네" 전역에 강풍 특보…항공기 운항 차질 랭크뉴스 2025.04.12
47557 이재명, 고향 안동 찾아 부모 선영 참배‥두봉주교 조문도 랭크뉴스 2025.04.12
47556 미국가는 유럽 여행객 급감…“입국거부 우려·대미정서 악화” 랭크뉴스 2025.04.12
47555 제주 강풍에 항공편 무더기 결항·지연…호우특보도 확대 랭크뉴스 2025.04.12
47554 민주 '당원 50%·여론조사 50%' 경선…사상 첫 16~18세 청소년도(종합) 랭크뉴스 2025.04.12
47553 민주당, ‘당원 50%·국민여론조사 50%’ 경선룰 확정…역선택 우려 등 반영 랭크뉴스 2025.04.12
47552 野 "미리 세워둔 청년 껴안은 尹 퇴거쇼…한결같은 진상 치 떨려" 랭크뉴스 2025.04.12
47551 김문수·나경원, 패스트푸드점에서 회동하고 연대 강조 랭크뉴스 2025.04.12
47550 민주 '50대50' 경선룰 잠정 결정…비명계 "국민없는 무늬만 경선"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