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日최대 야쿠자 야마구치구미, 내부 갈등 봉합
구성원 감소·고령화에 소규모 분파 재통합
야쿠자 조직원 18.4만 명→1.8만 명 쪼그라들어
태국으로 숨어든 일본 야마구치구미의 한 조직원이 경찰에 검거돼 연행되고 있다. EPA연합뉴스

[서울경제]

일본 최대 조직폭력단 야마구치구미가 10년간 이어진 내부 갈등을 정리했다고 선언했다. 조직원들의 고령화와 수익성 악화로 구성원 수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일본 야쿠자의 급격한 몰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는 평가가 나온다.

10일(현지 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야마구치구미 고위 간부들은 지난 8일 효고현 경찰을 방문해 분파들과의 갈등 종료를 통보하고 '지정 폭력 갈등 단체' 분류 해제를 요청했다.

야마구치구미는 2015년 8월 이노우에 쿠니오가 본파와 경쟁하기 위해 고베 지역의 분파를 설립하며 분열됐다. 당시 약 2800명의 조직원이 이노우에를 따랐으나 2017년과 2020년 추가 분파가 발생하며 세력이 약화됐다. 이노우에가 항복한 것은 지난 1월 자택에서 발생한 방화 사건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주택은 2022년과 2023년에도 총격과 방화 공격을 받은 바 있다.

갱단 내 갈등이 일방적으로 봉합된 것은 일본 조직범죄단의 구성원 수가 크게 감소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일본 경찰청이 지난 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야쿠자 조직원은 1만 8800명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58년 이후 처음으로 2만 명 선이 무너졌다. 전성기였던 1960년대 초 18만 4000명과 비교하면 10분의 1로 쪼그라든 수준이다. 아사히신문의 분석에 따르면 야마구치구미는 현재 약 3300명, 고베 야마구치구미는 120명, 다른 분파들은 각각 60명 수준의 조직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SCMP는 기존 조직원들의 고령화와 수입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짚었다. 이와 함께 일본 경찰의 권한이 크게 강화되는 등 여러 법적 변화로 인해 '야쿠자'를 부러운 직업으로 여기는 젊은이도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야쿠자는 1950년대부터 불법도박과 마약, 매춘, 갈취, 고리대금업 등으로 돈을 끌어모으며 정치·경제 권력과 유착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폐해가 커지자 일본 정부는 1993년 '폭력단 대책법'을 시행해 단속을 강화했다. 2011년에는 이를 더욱 강화한 '폭력단 배제조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됐고 이를 계기로 야쿠자들의 사업 수익성이 급격하게 악화됐다. 폭력단 배제조례는 야쿠자 지도자들이 부하들의 살인에 대해 개인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기업들이 갱단원과 사업하는 것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법률이다. 예컨대 갱단원의 차량이 보험에 가입하거나, 갱단원에게 휴대전화를 판매하는 것도 불법이다. 일본 경찰은 야마구치구미 내부 갈등이 다시 불거질 것을 대비해 상황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96 ‘KBS 수신료 통합징수’ 국회 재표결 통과…국힘 반란표 ‘21표’ 랭크뉴스 2025.04.18
45295 트럼프, '금리 인하 신중' 파월에 "임기 빨리 끝나야" 랭크뉴스 2025.04.18
45294 트럼프, 관세 정책 우려한 파월 연준 의장에 “임기 빨리 끝나야” 랭크뉴스 2025.04.18
45293 시험 문제 사고팔고…참 부끄러운 스승들 랭크뉴스 2025.04.18
45292 “안정” 강조한 한덕수, 정치적 행보로 ‘국정 불안정’만 가중 랭크뉴스 2025.04.18
45291 IMF 총재 "내주 새 경제전망 눈에 띄게 하향…리세션은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18
45290 "매일 붙어있던 개인데"…美서 생후 7개월 아이, 핏불에 물려 사망 랭크뉴스 2025.04.18
45289 "비행기 탔다가 '고문' 당하는 줄"…中 항공사 '초슬림 좌석'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5.04.18
45288 뉴욕증시, 유나이티드헬스 실적 실망감이 반등세 꺾어…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4.18
45287 [사설] 도로 3058명… 이게 환자 목숨 1년 볼모 결과라니 랭크뉴스 2025.04.18
45286 "미군 왜 경례 안하지?" 軍 좋아했지만 軍 몰랐던 '밀덕 尹' [尹의 1060일 ⑩] 랭크뉴스 2025.04.18
45285 프랑스, 과거 식민지 아이티와 과거사 공동조사위 출범 랭크뉴스 2025.04.18
45284 의대 학장들 “예외 없이 유급 결정…학생들 책임 있게 행동해야” 랭크뉴스 2025.04.18
45283 국민의힘 ‘반대 단합’에…내란·명태균 특검법 또 부결 랭크뉴스 2025.04.18
45282 금요일 낮 최고기온 29도… 전국 강풍 랭크뉴스 2025.04.18
45281 도로 ‘3058명’…정부, 의료계 이기주의에 졌다 랭크뉴스 2025.04.18
45280 트럼프, '관세 파장' 우려한 연준 의장에 "임기 빨리 끝나야" 랭크뉴스 2025.04.18
45279 경남서 어린이집 야외수업 참여한 9살 장애아 물에 빠져 숨져 랭크뉴스 2025.04.18
45278 그 많은 수돗물 누가 훔쳤나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18
45277 유럽중앙은행, 6연속 금리인하 단행… 예금금리 연 2.25%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