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 보다 소폭 떨어지면서, 물가 재상승의 우려는 일단 덜었다. 하지만 미국이 상호관세를 본격 부과하기 시작하면, 수입품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어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리 인하를 놓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간의 신경전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 하락에 3월 美 CPI 예상치 하회
10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은 지난달 미국 CPI가 전년 동월과 비교해 2.4%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2.5%) 보다 소폭 낮은 수치로, 지난 2월 상승률(2.8%)보다는 크게 떨어졌다. 지난달 CPI는 전월 대비로는 0.1% 떨어졌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8%(전월 대비 0.1%) 오르면서 시장 예상치(3%)를 하회했다.
김주원 기자

CPI 상승세 둔화에 기여한 것은 에너지 가격이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에너지 가격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서 3.3%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 위협에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유가가 하락한 영향이다. 여기에 1~2월 물가 상승률을 이끌었던 계란 등 식품 가격도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이 잦아들면서 제자리를 찾았다. 실제 전월 대비 계란 값 상승률이 2월에는 10.4%에 달했지만, 지난달에는 5.9%로 둔화했다.



“상호관세로 CPI 4%까지 오를 수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향후 물가 향방에 가장 큰 변수다. 중국산 수입품에 미국 정부가 124% 관세 폭탄을 터트리면서, 이달 CPI 집계부터는 수입품 가격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수입하는 가구와 의류·전자제품에 중국산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사라 하우스 웰스파고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무역 환경의 변화를 고려할 때 관세는 더 빠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3월은 올해 인플레이션의 저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관세로 인한 물가 재상승 경고음은 벌써 곳곳에서 울리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가 지난달 집계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는 5%로 지난 2월 집계치 대비 0.7%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고물가 우려가 커졌던 지난 2022년 11월과 같은 수치다. 트럼프 관세 정책에 물가 상승률 확대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1%로 2월(3.5%) 대비 0.6%포인트 올랐는데, 1993년 2월 이후 32년 만에 가장 큰 월간 증가 폭을 보였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향후 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해당 수치가 오르면 실제 물가 상승률도 시차를 두고 따라 오를 가능성이 높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폴 애슈워스 캐피털 이코노믹스(CE) 이코노미스트는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물가 둔화 효과를 고려하더라도 미국의 CPI가 향후 4% 수준에서 고점을 형성할 것”이라며 “이는 Fed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인 2%보다 두 배 이상 높다”고 했다.



Fed “정책 불확실성, 물가 확대 오래갈 수도”
트럼프 대통령은 증시 하락 등의 주요 원인이 연준의 금리 인상이라고 보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연일 비판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세 인플레이션’ 우려에 Fed도 금리 결정에 신중한 모습이다. Fed는 9일(현지시간) 공개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경제에 미칠 순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 불확실성이 크다”면서 “다수 참석위원이 이 같은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물가 상승률 확대 효과가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할 가능성에 주목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부 위원들은 앞으로 물가 상승률이 지속하는 가운데, 고용 전망이 악화한다면 어려운 상충관계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18년 재연? 트럼프·파월 금리 충돌 가능성
Fed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면서, 2018년 금리를 놓고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 간의 발생했던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이 파월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기에 완벽한 시기”라며 “금리를 인하하라, 정치하는 것은 중단하라”고 압박했다.

반면 파월 의장은 “높은 관세가 향후 몇 분기 동안 물가 상승률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크다”며 “관세가 일시적인(temporary) 물가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 영향이 더 지속적일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71 오세훈 불출마 누가 반사이익? ..."탄핵 찬성 후보" vs "이재명 이길 후보" 랭크뉴스 2025.04.12
47470 이정현, 출마 철회…"능력 부족 느껴, 기꺼이 캐디백 메겠다" 랭크뉴스 2025.04.12
47469 테슬라는 트럼프 관세 '무풍지대'?…중국·유럽서 불똥튀나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4.12
47468 고작 연필 사러 7배 웃돈 줬다, 어른이들의 은밀한 취미 [비크닉] 랭크뉴스 2025.04.12
47467 오세훈 불출마에 국힘 경선구도 출렁…김문수·나경원은 '동행' 랭크뉴스 2025.04.12
47466 제주 교사 “4·3 유전자 흘러” 발언…학교 측 “깊이 사과” 랭크뉴스 2025.04.12
47465 애슐리도 뉴발란스도 ‘대박’...이랜드, 구조조정 10년 만에 재비상 랭크뉴스 2025.04.12
47464 “진동벨 생길 때 알아봄”…한국 스타벅스, 키오스크 도입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12
47463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 대선 출마 철회 랭크뉴스 2025.04.12
47462 명태균 “박형준 만난 적도 본적도 없어”… 강혜경 주장 반박 랭크뉴스 2025.04.12
47461 오세훈 시장, 대선 불출마‥"보수 바뀌어야" 랭크뉴스 2025.04.12
47460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백의종군으로 마중물 역할" 랭크뉴스 2025.04.12
47459 금은방에서 온누리 상품권 쓴 미성년자들…알고 보니 '꼼수 금테크'? 랭크뉴스 2025.04.12
47458 광명 붕괴 사고 이틀째‥1명 구조, 1명 수색 중 랭크뉴스 2025.04.12
47457 "지하 30m서 얼굴 보곤 울컥"…광명 붕괴사고, 고립자 극적구조 랭크뉴스 2025.04.12
47456 만취상태서 수입 SUV 몰던 30대 여성, 오토바이·신호등 ‘쾅’ 랭크뉴스 2025.04.12
47455 '피고인석 尹 전 대통령' 非공개…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공개 랭크뉴스 2025.04.12
47454 한덕수 차출론 영향? 명태균?…오세훈 불출마 속내는 랭크뉴스 2025.04.12
47453 피고인석 尹 전 대통령' 非공개…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공개 랭크뉴스 2025.04.12
47452 피고인석 앉은 尹 모습 촬영 안된다…재판부 불허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