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 보다 소폭 떨어지면서, 물가 재상승의 우려는 일단 덜었다. 하지만 미국이 상호관세를 본격 부과하기 시작하면, 수입품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어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리 인하를 놓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간의 신경전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 하락에 3월 美 CPI 예상치 하회
10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은 지난달 미국 CPI가 전년 동월과 비교해 2.4%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2.5%) 보다 소폭 낮은 수치로, 지난 2월 상승률(2.8%)보다는 크게 떨어졌다. 지난달 CPI는 전월 대비로는 0.1% 떨어졌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8%(전월 대비 0.1%) 오르면서 시장 예상치(3%)를 하회했다.
김주원 기자

CPI 상승세 둔화에 기여한 것은 에너지 가격이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에너지 가격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서 3.3%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 위협에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유가가 하락한 영향이다. 여기에 1~2월 물가 상승률을 이끌었던 계란 등 식품 가격도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이 잦아들면서 제자리를 찾았다. 실제 전월 대비 계란 값 상승률이 2월에는 10.4%에 달했지만, 지난달에는 5.9%로 둔화했다.



“상호관세로 CPI 4%까지 오를 수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향후 물가 향방에 가장 큰 변수다. 중국산 수입품에 미국 정부가 124% 관세 폭탄을 터트리면서, 이달 CPI 집계부터는 수입품 가격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수입하는 가구와 의류·전자제품에 중국산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사라 하우스 웰스파고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무역 환경의 변화를 고려할 때 관세는 더 빠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3월은 올해 인플레이션의 저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관세로 인한 물가 재상승 경고음은 벌써 곳곳에서 울리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가 지난달 집계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는 5%로 지난 2월 집계치 대비 0.7%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고물가 우려가 커졌던 지난 2022년 11월과 같은 수치다. 트럼프 관세 정책에 물가 상승률 확대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1%로 2월(3.5%) 대비 0.6%포인트 올랐는데, 1993년 2월 이후 32년 만에 가장 큰 월간 증가 폭을 보였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향후 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해당 수치가 오르면 실제 물가 상승률도 시차를 두고 따라 오를 가능성이 높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폴 애슈워스 캐피털 이코노믹스(CE) 이코노미스트는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물가 둔화 효과를 고려하더라도 미국의 CPI가 향후 4% 수준에서 고점을 형성할 것”이라며 “이는 Fed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인 2%보다 두 배 이상 높다”고 했다.



Fed “정책 불확실성, 물가 확대 오래갈 수도”
트럼프 대통령은 증시 하락 등의 주요 원인이 연준의 금리 인상이라고 보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연일 비판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세 인플레이션’ 우려에 Fed도 금리 결정에 신중한 모습이다. Fed는 9일(현지시간) 공개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경제에 미칠 순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 불확실성이 크다”면서 “다수 참석위원이 이 같은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물가 상승률 확대 효과가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할 가능성에 주목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부 위원들은 앞으로 물가 상승률이 지속하는 가운데, 고용 전망이 악화한다면 어려운 상충관계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18년 재연? 트럼프·파월 금리 충돌 가능성
Fed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면서, 2018년 금리를 놓고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 간의 발생했던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이 파월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기에 완벽한 시기”라며 “금리를 인하하라, 정치하는 것은 중단하라”고 압박했다.

반면 파월 의장은 “높은 관세가 향후 몇 분기 동안 물가 상승률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크다”며 “관세가 일시적인(temporary) 물가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 영향이 더 지속적일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71 규제 '무풍지대' 고가 아파트…올들어 50억 이상 거래 2배 증가 랭크뉴스 2025.04.11
46870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랭크뉴스 2025.04.11
46869 버터와 우유 없어도 맛있는 비결...비건 베이킹엔 계란 대신 '이것' [쿠킹] 랭크뉴스 2025.04.11
46868 [금융포커스] 파킹통장보다 낫네… 가상자산거래소에 돈 넣었더니 연 2% 수익 랭크뉴스 2025.04.11
46867 日고령화에… '야쿠자'도 늙고 가난해졌다고? [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4.11
46866 정식 비자 받아 한국 왔는데…“이런 곳에서 살 줄은 꿈에도” 랭크뉴스 2025.04.11
46865 ‘대통령 궐위’라 적극적 권한 행사? 법조계 “그래서 더 소극적이어야” 랭크뉴스 2025.04.11
46864 전한길 불러 '파이팅'‥노골화되는 '윤심' 정치 랭크뉴스 2025.04.11
46863 ‘9인 완전체’ 헌재, 한덕수의 ‘이완규 재판관 지명’ 제동 걸까? 랭크뉴스 2025.04.11
46862 족적 없이 사라진 ‘크리스 뱅글’ 전철 밟을라… 삼성전자, ‘외국인’ 수혈에도 “조직문화 혁신 없이는 승산 없다” 랭크뉴스 2025.04.11
46861 뉴욕 허드슨강에 헬기 추락… 탑승자 6명 전원 사망 랭크뉴스 2025.04.11
46860 중국은 비례 보복 대응…“영화 수입 줄일 것” 랭크뉴스 2025.04.11
46859 오피스 공실률 역대급인데 투자 증가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1
46858 안철수 "이재명, 대통령 되기에만 몰두…민생 위해 뭘 했나" 랭크뉴스 2025.04.11
46857 미 ‘대중 관세 145% 재산정’ 소식에 뉴욕증시 폭락…나스닥 4.31% ↓ 랭크뉴스 2025.04.11
46856 비극은 아직 ‘진행 중’…‘강진’ 만달레이는 지금 [미얀마 강진①/취재후] 랭크뉴스 2025.04.11
46855 윤석열 오후 5시 퇴거‥"김성훈 사퇴" 연판장 랭크뉴스 2025.04.11
46854 ‘잼버리’ 변기 닦던 한덕수 총리, 이유 있었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1
46853 ‘하루 짜리 안도감 끝’ 또 급락한 美증시…트럼프 “중국과 협상 원한다”[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1
46852 미국발 관세전쟁에 출렁이는 환율… 식품업계, 가격 추가 인상 나서나 랭크뉴스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