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개헌에 찬성하는 여론이 70%에 육박하고, 개헌을 할 경우 4년 중임 대통령제로 권력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8~9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개헌 필요성을 물은 결과 ‘필요하다’는 응답은 67%로 집계됐다. ‘필요하지 않다’는 21%였다. 연령대로 보면 50대, 60대, 70세 이상에서의 찬성 비율이 각각 71%, 71%, 68%로 40대 이하에 비해 개헌 찬성 여론이 강했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수석은 “개헌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지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층의 70%가 찬성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66%)보다 찬성 비율이 높았다. 이는 지난 1월 22~23일 YTN·엠브레인퍼블릭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층(54%)의 찬성 비율이 국민의힘 지지층(30%)보다 높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2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뒤로 각 정당 지지층의 개헌 관련 선호도가 달라진 셈이다. 허진재 수석은 “이대로 대선 분위기가 흘러가면 이재명 전 대표가 5년 동안 대통령을 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개헌으로 판을 흔들기 싫은 민주당 지지층과 판을 흔들고 싶은 국민의힘 지지층이 상황이 뒤바뀐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선호하는 권력 구조는 현행 대통령 중심제가 41%로 가장 높았다. 대통령이 외치를 맡고 국무총리가 내치를 맡는 분권형 대통령제는 24%, 국회 다수당이 행정부를 구성하는 의원내각제는 19%로 나타났다. 장승진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통령 중심제가 한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제도고, 87년 민주화 운동의 가장 큰 성과가 대통령 직선제여서 지지 여론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며 “의원내각제는 익숙하지 않은 데다가 국회에 대한 불신 때문에 지지도가 낮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임기는 4년씩 두 번 할 수 있는 4년 중임제(62%)가 현행 5년 단임제(33%)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정근영 디자이너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 시기는 6·3 대선 때 실시(34%)와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실시(34%)의 응답 비율이 같았다. 2028년 4월 총선 때 함께 해야한다는 의견은 22%였다. 눈에 띄는 점은 지지 정당별 차이였다. 민주당 지지층은 ‘이번 대선 때’가 25%, ‘지방선거 때’가 40%로 조사됐고, 국민의힘 지지층은 ‘이번 대선 때’가 40%, ‘지방선거 때’가 25%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이 상대적으로 빠른 개헌을 원하는 셈이다.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 ‘동의한다’는 응답은 73%로 ‘동의하지 않는다’(24%)는 응답의 세 배였다. 특히 ‘매우 동의한다’가 60%에 달했다. 보수세가 강한 대구·경북에서도 ‘동의한다’가 57%로 더 많았고, 70세 이상에서도 50%였다. 다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동의한다’가 34%로 ‘동의하지 않는다’(63%)보다 적었다.

장윤진 한국갤럽 여론분석실 부장은 “높은 연령대에서도 ‘동의한다’가 절반 나온 것을 보면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정당성은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며 “대선 국면으로 전환이 빨리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재민 기자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4월 8일~9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4.5%(6915명 중 1004명)이며 3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49 국민의힘 경선 토론 '죽음의 조' 완성… 나경원 한동훈 홍준표 맞대결 랭크뉴스 2025.04.17
45148 문다혜, 음주운전·불법숙박업 1심…벌금 1500만원 랭크뉴스 2025.04.17
45147 '내란 특검법·명태균 특검법' 국회 재표결서 부결‥법안 폐기 랭크뉴스 2025.04.17
45146 의대 모집인원 '3058명'에 복지부 "안타깝다"… 환자·시민단체 "대국민 사기극" 랭크뉴스 2025.04.17
45145 ‘81세’ 장영자, 또 사기로 징역 1년형···5번째 실형, 총 34년 복역 운명 랭크뉴스 2025.04.17
45144 나경원·한동훈·홍준표 ‘죽음의 조’…국민의힘 1차 경선 토론 조편성 랭크뉴스 2025.04.17
45143 [속보] 용인 일가족 5명 살해 혐의 50대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4.17
45142 ‘윤석열 파면’ 문형배 “관용과 자제가 윤 탄핵소추문의 핵심” 대학서 특강 랭크뉴스 2025.04.17
45141 [속보] 일가족 5명 살해 혐의 50대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4.17
45140 지귀연도 '두 번 특혜' 거절‥"尹 2차 공판 촬영 허가" 랭크뉴스 2025.04.17
45139 ‘계엄’ 연루 졸업생만 4명인데…파면 윤석열에 “충암의 아들, 수고했다”는 충암고 총동문회 랭크뉴스 2025.04.17
45138 [속보] ‘내란 특검법’·‘명태균 특검법’ 본회의 재투표 부결…자동폐기 랭크뉴스 2025.04.17
45137 [속보] 지귀연 재판부 촬영 허가…‘피고인 윤석열’ 법정 모습 다음주 공개 랭크뉴스 2025.04.17
45136 "머스크가 거길 왜" 격노한 트럼프…'中전쟁계획' 브리핑 막았다 랭크뉴스 2025.04.17
45135 "이러다 순직" 17년차 베테랑도 사투…"가엾다" 찍은 사진 한장 [신안산선 붕괴] 랭크뉴스 2025.04.17
45134 [단독]경찰 대통령실 압수수색 막은 장본인은 수사대상인 ‘정진석·김성훈’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133 “100만 원 주가 목전” 삼양 ‘라면왕’ 등극하나 랭크뉴스 2025.04.17
45132 [속보]두번째 내란 특검법·명태균 특검법, 국회 재표결서 부결 랭크뉴스 2025.04.17
45131 [속보] 법원, 윤석열 21일 공판 법정 촬영 허가 랭크뉴스 2025.04.17
45130 ①'버티면 얻는다' 학습효과 ②트리플링 우려 현실화 ③수험생 고통···교육부의 고집, 다 잃었다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