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명실상부 '대세 주자' 이재명
30%대 '지지율 벽' 넘어야
입법권+사법·행정권 장악?
'친중 프레임' 공세 넘어야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영상 메시지를 통해 대선 출마의 각오와 의지를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지금은 이재명."


10일 세 번째 대권 도전에 나선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내세운 슬로건이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굳건하게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이 전 대표의 '대세론'을 한마디로 상징하는 표현이다. 그러나 '1등 주자'일수록 공격도, 검증도, 기대치도 강해질 수밖에 없다. 당장 이 전 대표에겐 ①여전히 30%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지지율 한계 ②삼권 독주에 대한 견제심리 극복 ③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케미' 등 수권 능력을 입증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이 10일 국회에서 이재명 전 대표의 대선 출마선언 영상을 지켜보고 있다. 고영권 기자


① 이 대표 '박스권 지지율' 뚫어낼까



이 전 대표에게 '지지층 외연 확대'는 오랜 숙제다. 이날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 여론조사 결과 이 전 대표 지지율은 32%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전 조사(33%)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반사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반등은 없었다. '정권 교체' 여론이 48%에 달한 점을 감안하면 "이 대표가 정권교체 민심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전 대표 측은 검찰의 표적 수사, 보수 진영의 집요한 네거티브 공세로 인해 '비호감 프레임' '사법 리스크 굴레'가 덧씌워졌다고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난해 총선 당시 비이재명계(비명계)가 줄줄이 공천에서 고배를 마시며 불거진 '비명횡사' 논란 등은 다양성을 포용하지 못하는 일극체제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 전 대표가 대선 과정에서 계파를 가리지 않는 인선 등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해 이 같은 반이재명 비토 여론을 극복할 수 있을지 관건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한동훈 전 대표를 접견하며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②'절대 권력 독주' 우려도 넘어야



'절대 권력' 독주에 대한 우려도 이 전 대표가 넘어서야 할 산이다. 민주당을 포함한 야권 의석수는 190석이다. 압도적 다수당으로 각종 법안, 예산안, 인사 동의안 처리권은 물론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 단독 처리권도 가졌다. 개헌(200석)만 빼면 모든 입법이 가능하다. 여기에 행정권까지 거머쥐면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을 무력화할 수 있다. '단독 국정운영'이 가능해지는 셈이다. 감사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국정원장, 대법관, 헌법재판관 임명권 확보로 사법권에도 입김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국민의힘은 '삼권 분립을 지켜달라'는 공세를 편다. "이 전 대표가 의회 권력을 넘어 국가권력을 모두 장악하면 대한민국은 어찌 되겠나"(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라며 '이재명 포비아'를 부추기는 식이다. 실제 국민의힘에선 이 전 대표가 집권하면 내란종식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보수진영 대숙청에 나설 것이란 위기감이 상당하다. 문재인 정부 적폐청산 시즌2가 도래할 것이란 공포다. 이에 맞서 보수 진영에선 이 전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임기 내내 물고 늘어지면서 국론 분열이 극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이 전 대표가 '정치보복은 없다'고 선포하고 연합정부 구상 등을 선제적으로 밝혀 중도 보수층을 품고 갈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석탄 산업 활성화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이를 들어 보이고 있다. AP 뉴시스


③ '트럼프 시대' 케미 형성도 관건



수권 능력도 검증 대상이다. 당장 보수 진영에선 '반미·친중' 프레임을 거세게 몰아붙일 수 있다. 이 전 대표가 윤석열 정부의 대중외교를 비판하며 "왜 중국에 집적거리냐. 그냥 셰셰(고맙습니다) 하면 된다"고 발언한 대목 등이 빌미가 됐다. 다만 이 전 대표는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한미일 3국 협력"에 방점을 찍는 메시지를 거듭 발신하고 있다. 당장 이날 대선출마 영상에서도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관계 중요성을 강조하며 "외교의 최우선 원칙은 대한민국 국익"이라고 역설했다. 중국 관련 메시지는 없었고, 남북관계도 거론하지 않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75 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 절반 근접” 랭크뉴스 2025.04.18
45374 '윤 어게인' 신당 창당 보류... "윤석열이 만류했다" 랭크뉴스 2025.04.18
45373 용산 서빙고역 건널목서 KTX-승용차 충돌…운행 지연 랭크뉴스 2025.04.18
45372 [지배구조 톺아보기] ‘200억 연봉’ 이수 김상범, 미등기 회장으로 그룹 장악...3세 승계는 미완성 랭크뉴스 2025.04.18
45371 “어차피 前정권 정책이잖아?" 조기대선 확정되자 밸류업 공시도 뚝 랭크뉴스 2025.04.18
45370 트럼프 "中과 관세문제 대화 중…향후 3~4주내 협상 타결 기대"(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8
45369 ‘피고인 윤석열’ 이번엔 공개…‘지하주차장 접근’ 오늘 발표 랭크뉴스 2025.04.18
45368 트럼프 “우크라와 24일 광물협정 서명” 랭크뉴스 2025.04.18
45367 단순히 공짜라서? 6억명 사로잡은 외국어 공부 앱의 성공 비밀 랭크뉴스 2025.04.18
45366 [단독] ‘비명횡사’ 논란 여론조사 업체, 간판만 바꿔 민주당 경선 참여 랭크뉴스 2025.04.18
45365 국민의힘 '떨떠름'‥"용산에선 나가야겠지만‥" 랭크뉴스 2025.04.18
45364 트럼프, 파월 재차 해임 위협…증시는 혼조세 마감[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8
45363 석방된 명태균의 ‘입’, 국민의힘 대선 경선 흔드나···후보 절반이 연관 의혹 랭크뉴스 2025.04.18
45362 "세종으로 완전 이전"‥'행정수도' 치고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18
45361 트럼프 “중국과도 무역협정 맺을 것…거래를 결정하는 건 미국” 랭크뉴스 2025.04.18
45360 트럼프 "아무도 美와 경쟁 못해…거래를 결정하는 것도 미국" 랭크뉴스 2025.04.18
45359 [인&아웃] 美中 기술패권 전쟁 랭크뉴스 2025.04.18
45358 [여담] 비행기에는 백미러가 없다 랭크뉴스 2025.04.18
45357 ‘여자는 교회서 잠잠하라’?… 성경의 본뜻 꿰뚫어야 랭크뉴스 2025.04.18
45356 [단독] ‘IMF 이후 첫 적자’ 신협, 부동산·건설 대출 한도 초과 조합만 100곳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