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3 대선에 나설 후보 윤곽이 드러났다. 중앙일보는 지난 8~9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대선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오른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연합뉴스·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독주 체제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대표가 국민의힘 후보와의 가상 양자대결에서 50% 이상의 지지율을 얻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일부 후보와 접전을 벌였던 지난 1월 23~24일 조사에 비해 격차가 벌어졌다.

중앙일보가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8~9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해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재명 전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 가상대결에서 이 전 대표는 50%, 홍 시장은 38%로 12%포인트 차이였다. 이 전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맞붙을 경우 각각 51%와 38%로 13%포인트 차이였다. 모두 오차범위(±3.1%포인트) 밖의 두 자릿수 차이였다.

신재민 기자

각종 여론조사에서 보수 진영 내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나설 경우 이 전 대표와 김 전 장관은 각각 53%와 35%로 18%포인트 차이였다. 이 전 대표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각각 52%와 32%로 20%포인트 차이였다.

지난 1월 조사와 비교하면 이 전 대표의 지지세는 강화된 반면 국민의힘 후보의 지지세는 약화됐다. 당시 이 전 대표와 오 시장이 맞붙으면 46%와 43%, 이 전 대표와 홍 시장이 대결하면 45%와 42%로 조사됐었다. 지지율 차이가 각각 3%포인트로 오차범위 내 승부였다.

어느 정당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는지 물었을 때의 격차도 커졌다. 민주당 45%, 국민의힘 31%로 14%포인트 차이였다. 지난 1월 조사 때 ‘정권 교체’(51%)와 ‘정권 유지’(42%) 격차는 9%포인트였다. 이번 조사에서 양당 이외의 정당 후보를 택한 비율은 8%였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정치권에서 논의가 진전되고 있는 개헌에 대해선 응답자의 67%가 ‘개헌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21%였다. 개헌을 할 경우 선호하는 권력 구조로는 대통령 중심제가 41%로 가장 높았고, 대통령이 외치를 맡고 총리가 내치를 맡는 분권형 대통령제 24%, 의원 내각제 19%였다. 대통령 임기에 대해선 4년 중임제(62%)가 현행 5년 단임제(33%)에 비해 크게 높았다.

개헌 시기는 6·3 대선과 동시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34%)과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해야 한다는 의견(34%)이 같은 수치로 나왔다. 2028년 4월 국회의원 총선과 동시 실시는 22%였다.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에 대해선 ‘동의한다’ 73%, ‘동의하지 않는다’ 24%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4월 8일~9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4.5%(6915명 중 1004명)이며 3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24 "4일 동안 멈추지 않는 코피"…3살 소녀 코에서 발견된 '이것',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1
47223 뉴욕 헬기 추락, 탑승자 전원 사망…"글로벌 기업 CEO 일가족" 랭크뉴스 2025.04.11
47222 "순간적으로 화나서"…중학교에서 흉기 위협한 남학생 체포 랭크뉴스 2025.04.11
47221 주한 中 대사, 한글로 “美 상호 관세 90일 유예, 中 반격 덕분” 랭크뉴스 2025.04.11
47220 횡단보도서 초등생 치고 도주…붙잡히자 "사고난 지 몰랐다" 랭크뉴스 2025.04.11
47219 “대용량에 야간 진화도 거뜬”…고정익 항공기 ‘언제?’ 랭크뉴스 2025.04.11
47218 5천6백만 원 여론조사비 청구서 공개‥홍 전 시장 측 "이미 입장 다 밝혀" 랭크뉴스 2025.04.11
47217 ‘시진핑 심복’ 중국군 서열 3위 허웨이둥, 부패 혐의로 숙청 랭크뉴스 2025.04.11
47216 “파면됐으면서 뻔뻔하게”···‘윤석열 관저 퍼레이드’ 본 시민들 비판 쇄도 랭크뉴스 2025.04.11
47215 장순욱 변호사 “윤석열 특이한 캐릭터…검사 때는 문제 되지 않았을 것” [논썰] 랭크뉴스 2025.04.11
47214 조국혁신당, 대선 독자 후보 안 낸다… “야권 유력 후보 총력 지원” 랭크뉴스 2025.04.11
47213 ‘광명 공사장 붕괴’ 고립 노동자 1명 목소리 확인…“구조장비 접근 어려워” 랭크뉴스 2025.04.11
47212 거듭되는 ‘위기설’…올해 ‘부실 징후’ 건설사 36% 늘었다 랭크뉴스 2025.04.11
47211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사고…작업자 1명 실종, 1명 구조 중 랭크뉴스 2025.04.11
47210 금기 깨고 4.3 알린 '순이삼촌' 작별할 수 없는 아픔, 문학으로 랭크뉴스 2025.04.11
47209 중국도 강풍 경계령 “여행·외출 위험” 랭크뉴스 2025.04.11
47208 이역만리 프랑스에 전해진 제주 4·3의 아픔 랭크뉴스 2025.04.11
47207 한글로 “관세 유예, 중국 반격 덕분” 적은 중국대사 랭크뉴스 2025.04.11
47206 하교 10분만 늦었어도…광명 붕괴사고 옆 초등학교 '아찔' 랭크뉴스 2025.04.11
47205 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랭크뉴스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