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3 대선에 나설 후보 윤곽이 드러났다. 중앙일보는 지난 8~9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대선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오른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연합뉴스·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독주 체제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대표가 국민의힘 후보와의 가상 양자대결에서 50% 이상의 지지율을 얻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일부 후보와 접전을 벌였던 지난 1월 23~24일 조사에 비해 격차가 벌어졌다.

중앙일보가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8~9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해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재명 전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 가상대결에서 이 전 대표는 50%, 홍 시장은 38%로 12%포인트 차이였다. 이 전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맞붙을 경우 각각 51%와 38%로 13%포인트 차이였다. 모두 오차범위(±3.1%포인트) 밖의 두 자릿수 차이였다.

신재민 기자

각종 여론조사에서 보수 진영 내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나설 경우 이 전 대표와 김 전 장관은 각각 53%와 35%로 18%포인트 차이였다. 이 전 대표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각각 52%와 32%로 20%포인트 차이였다.

지난 1월 조사와 비교하면 이 전 대표의 지지세는 강화된 반면 국민의힘 후보의 지지세는 약화됐다. 당시 이 전 대표와 오 시장이 맞붙으면 46%와 43%, 이 전 대표와 홍 시장이 대결하면 45%와 42%로 조사됐었다. 지지율 차이가 각각 3%포인트로 오차범위 내 승부였다.

어느 정당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는지 물었을 때의 격차도 커졌다. 민주당 45%, 국민의힘 31%로 14%포인트 차이였다. 지난 1월 조사 때 ‘정권 교체’(51%)와 ‘정권 유지’(42%) 격차는 9%포인트였다. 이번 조사에서 양당 이외의 정당 후보를 택한 비율은 8%였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정치권에서 논의가 진전되고 있는 개헌에 대해선 응답자의 67%가 ‘개헌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21%였다. 개헌을 할 경우 선호하는 권력 구조로는 대통령 중심제가 41%로 가장 높았고, 대통령이 외치를 맡고 총리가 내치를 맡는 분권형 대통령제 24%, 의원 내각제 19%였다. 대통령 임기에 대해선 4년 중임제(62%)가 현행 5년 단임제(33%)에 비해 크게 높았다.

개헌 시기는 6·3 대선과 동시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34%)과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해야 한다는 의견(34%)이 같은 수치로 나왔다. 2028년 4월 국회의원 총선과 동시 실시는 22%였다.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에 대해선 ‘동의한다’ 73%, ‘동의하지 않는다’ 24%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4월 8일~9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4.5%(6915명 중 1004명)이며 3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96 [샷!] 이러고도 대학생…스토킹 조롱하며 낄낄 랭크뉴스 2025.04.18
45395 이철우 4월 절반가량 휴가‥이재민 "지사 사표 내라" 랭크뉴스 2025.04.18
45394 美, 中해운사·중국산 선박에 美 입항 수수료 부과 결정 랭크뉴스 2025.04.18
45393 [속보] 美, 中 해운사·선박에 입항 수수료 부과 결정 랭크뉴스 2025.04.18
45392 "트럼프 관세 때문에"...파월의 '일침' 랭크뉴스 2025.04.18
45391 ‘절실한 한 표’의 무게, 지불의사로 측정하라 [박찬희의 경영전략] 랭크뉴스 2025.04.18
45390 용산? 청와대? 일단 세종?... '대통령 집무실' 완성 전엔 어디로 가나 랭크뉴스 2025.04.18
45389 이재명, ‘행정수도론’ 재점화…대선 주요 이슈 되나 랭크뉴스 2025.04.18
45388 트럼프 "中과 관세 대화 중…3~4주 내 타결 기대" 랭크뉴스 2025.04.18
45387 한은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18
45386 "강남역에 누가 살아요" 출동해보니…7개월 전 실종 지적장애인 랭크뉴스 2025.04.18
45385 1년 넘게 떨어지더니, 서울보다 뛴다…집값 들썩인 이 동네 랭크뉴스 2025.04.18
45384 '첫 트럼프 관세' 철강 3월 수출 15.7% 감소 랭크뉴스 2025.04.18
45383 [공실 폭탄] ②“조물주 위에 건물주? 이제 옛말”…전국 상가 10곳 중 1곳은 ‘공실’ 랭크뉴스 2025.04.18
45382 [올드&뉴] 한국은 문과가 해먹는 나라? 이국종이 그럴리가… 랭크뉴스 2025.04.18
45381 [단독]경북 산불 범인 잡기 어려워지나…보름 넘게 피의자 소환 못한 경찰 랭크뉴스 2025.04.18
45380 [단독] 공수처에 내란죄 수사권…이재명 싱크탱크, 검찰개혁안 구체화 랭크뉴스 2025.04.18
45379 [속보]트럼프 "中과 관세 대화 중…3~4주 내 타결 기대" 주장 랭크뉴스 2025.04.18
45378 [단독] '내란'의 12월 그 밤‥대통령 집무실 원탁에선 랭크뉴스 2025.04.18
45377 이탈리아서 케이블카 추락…최소 4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