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군 출신이 학교법인을 사실상 장악하다시피한 한민고등학교가 학생들에게 극우 인사들의 강연을 듣게 하고, 교육청 감사에서는 각종 비리를 지적받았단 사실, 앞서 전해드렸는데요.

MBC 취재 결과, 한민고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성폭력을 저지른 사건이 여러 차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과거 학교장이, 가해 교사를 두둔했던 사실도 드러났는데요.

조희형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 리포트 ▶

지난 2020년 6월, 교사들이 대부분 퇴근한 저녁 시간.

모의고사 성적이 떨어져 걱정이 된 고3 여학생이 교무실을 찾았습니다.

유독 점수가 떨어진 과목의 선생님을 찾아 질문도 하고 조언도 받으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은 이런 제자의 신체에 손을 뻗쳤습니다.

질문을 하러 갈 때마다, 두 달 넘게 열두 차례에 걸쳐 교사의 성추행이 계속됐습니다.

학원을 가거나 과외를 할 수 없는 기숙학교 특성상 피해 학생은 자신이 약한 과목을 가해 교사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피해 여학생 (음성대독)]
"제일 못하는 과목이 OO였고, 그래서 필요한 부분만 얻자고 생각했다."

이런 성폭력은 대부분 교무실에서, 퇴근 시간 이후나 늦은 오후에 벌어졌습니다.

간혹 동료 교사가 다가오는가 싶으면 가해 교사는 추행을 멈췄습니다.

피해 여학생은 한여름에도 긴팔을 입고, 교복 치마 대신 반바지를 입어야 했습니다.

[피해 여학생 (음성대독)]
"긴팔과 반바지를 입고 무릎 담요까지 덮었지만 담요 안으로…"

하지만 눈앞의 입시가 걱정돼 신고를 미뤘던 학생은 수능이 끝난 12월에야 피해 사실을 학교에 신고했습니다.

[피해 여학생 (음성대독)]
"옷 안으로 손이 들어간 뒤에는 도저히 합리화가 불가능했다."

그런데 이 문제로 열린 학교 징계위원회에서는 의외의 발언들이 나왔습니다.

교장이 오히려 가해 교사를 감싸고 들었던 것입니다.

[당시 학교장 (음성대독)]
"(학교장으로서) 선생님에 대한 변호를 하지 않으면 그런 기회도 없을 것 같습니다. 가해 교사가 담임도 맡았고, 학생들로부터 상당히 신망이 있어서 파렴치한 그런 교사는 아닙니다."

징계위에서 교장이 이런 발언들을 하던 시점에 가해교사는 경찰 수사 끝에 성추행 혐의로 이미 재판에 넘겨진 상태였습니다.

교장이 이처럼 두둔했지만 이 교사는 결국 파면됐습니다.

한민고에서 선생님이 제자를 성추행한 사건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지난 2015년엔, 교사가 고1 여학생을 교무실과 보건실에서 성추행하고, 집 앞까지 찾아가 추행한 사건도 있었습니다.

2017년에는 또 다른 교사가 상담실에서 고2 여학생을 성추행했습니다.

개교 이래 10년 동안 강제추행으로 파면된 교사만 앞서 본 사례까지 모두 3명.

성폭력으로 인한 교사 징계는 모두 6건이나 되고, 이들로부터 피해를 당한 학생 수는 훨씬 더 많습니다.

기숙사에서 지내며 학원도 가지 않는 한민고 학생들은 유독 교사 의존도가 높습니다.

[한민고 관계자 (음성변조)]
"전체가 다 기숙사에 있고 한 달에 한 번만 나가잖아요. 일반적인 학교 선생님과 제자 사이보다 더 친밀함, 친근함이 있긴 있거든요."

학생들을 직접 챙기는 사감 교사를 비롯해, 교사가 제자에게 성폭력을 저지르는 일들이 이렇게 반복됐습니다.

학교 측은 개교 초기 학교가 정비되긴 전에 발생한 일들로 모두 적법하게 처리했다며, 교사 개인들의 일탈로 피해를 입은 학생과 학교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조희형입니다.

영상취재 : 남현택 / 영상편집 : 문명배 / 일러스트 : 문세빈, 양유빈 / 자료출처 : 더불어민주당 안규백의원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76 이례적으로 1분기 역성장 가능성 내비친 한은, 5월엔 금리 내릴까 랭크뉴스 2025.04.17
45175 권성동, 기자 손목 잡아끌고 이동 논란···국힘 “신체 위협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174 ‘피고인 윤석열’ 법정 모습 이번엔 공개…재판부 촬영 허가 랭크뉴스 2025.04.17
45173 18일 헌재 떠나는 문형배 "계엄, 관용·자제 넘었고 野탄핵은 안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172 통계 들고 "집값 안 올라"‥뒤에선 "마사지 좀 해야" 랭크뉴스 2025.04.17
45171 “유명 강사들 지방서도 활동… 입시 의지 있다면 농어촌 유리” 랭크뉴스 2025.04.17
45170 10대들의 짜증은 수면 부족 때문?… ‘잠 자는 법’ 가르치는 美학교들 랭크뉴스 2025.04.17
45169 부산 중구 수영장서 감전 추정 사고…70대 남성 숨져 랭크뉴스 2025.04.17
45168 "명태균 물어볼라 한 거잖아!" 또 '버튼' 눌린 홍준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17
45167 [단독] ‘비명횡사’ 논란 여조업체, 간판 바꿔 민주당 경선 참여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5166 내란 내내 헌재 문 두드린 김정환 변호사 “포고령 딱 보니 위헌” 랭크뉴스 2025.04.17
45165 홍준표 “트럼프는 여자 건드리고 돈 줬지만, 이재명은 무상연애” 막말 랭크뉴스 2025.04.17
45164 尹정부 거부한 '방송법 개정안' 가결…명태균·내란 특검법 부결 랭크뉴스 2025.04.17
45163 ‘윤 어게인’ 신당 창당...윤석열 변호인단 “청년 중심” 랭크뉴스 2025.04.17
45162 [단독]법원 “가세연 ‘쯔양 폭로’ 유튜브 영상 삭제하라”···쯔양 측 가처분 인용 랭크뉴스 2025.04.17
45161 [속보] 반도체특별법·은행법·가맹사업법 패스트트랙 지정…민주당 주도 가결 랭크뉴스 2025.04.17
45160 '손목 꽉' 권성동에 野 "경악"‥국힘 대변인 해명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17
45159 ‘내란 특검법’·‘명태균 특검법’ 본회의 재투표 부결…자동폐기 랭크뉴스 2025.04.17
45158 “트럼프 관세, 여성한테 더 타격?”…'핑크 관세'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7
45157 미·일 협상 관전포인트…속도, 요구사항, 품목관세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