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근혜 탄핵 때는 1달 내내 격론 끝에 합의
이번에는 이틀 만에 격론 없이 마무리 방침
"당원 주권 강화 방안 도입 방법이 핵심"
김두관 측 공개 반발 "민주적 방법 아냐"
"이재명 독주 아니었으면 조용했겠나"
박찬대(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이 10일 국회에서 이재명 전 대표의 대선 출마선언 영상을 지켜보고 있다. 고영권 기자


6·3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의 당내 경선 룰 제정이 '초고속 모드'다. 회의는 단 두 번만 거쳤고, 이재명 전 대표를 제외한 나머지 주자들의 의견수렴 절차도 당일에서야 서둘러 진행됐다. 민주당은 대선 타임라인이 촉박하다는 점을 내세웠지만,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분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란 평가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특별당규위)는 10일 대선 후보 경선 규칙 초안을 두고 회의를 벌였다. 위원회 관계자는 "최종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경선 규칙 초안은 이르면 이튿날 최고위원회의와 당무위원회를 거쳐 다음 주 초 최종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과거와 비교해도 엄청난 속도전이다. 민주당은 지금과 같은 탄핵 정국이었던 2017년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되기 전 약 한 달 동안 무려 8차례 격론이 오고가는 회의를 거친 끝에 경선 규칙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특별당규위가 전날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가 사퇴한 후 이틀 만에 단 두 번의 회의만을 거쳐 경선 규칙을 확정하기로 했다.
문제는 속도에 집중하다보니, 이 전 대표를 제외한 나머지 주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은 미흡했다는 점이다. 실제 특별당규위는 이날 오전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두관 후보 측에 대선 경선 규칙과 관련한 입장을 내라고 '통지'했다. 이를 두고 일부 후보 진영에선 '요식행위'라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김두관 후보 측은 논평을 내고 "대선 경선 후보자가 지정한 책임자 간의 합의 과정 없이 당이 일방적으로 경선 규칙을 정하는 건 민주적 절차와 과정이 아니다"라고 공개 반발했다.
그러나 특별당규위도 별다른 동요 없이 시간관계상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민주당은 그간 "벌써 정권을 잡았다는 거냐"는 역풍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전선이 흐릿해질 가능성을 우려해 당내 경선의 시작점인 경선 규칙 제정 절차를 밟지 않았다. 그 여파로 조기 대선 준비 타임라인은 더욱 촉박해졌다. 경선 규칙 제정과 지역 순회 경선 등을 포함해 한 달 내로 당내 경선이 끝나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따라서 경선 규칙 제정에 오랜 시간을 할애할 수 없다는 게 특별당규위의 판단이다.
두 후보 측은 이 전 대표 지지세가 높은 권리당원의 반영 비율을 줄이고 전 국민 투표(오픈프라이머리) 등을 통해 대선 후보를 정하자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수용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춘석 위원장은 전날 첫 번째 회의에서 "이번 대선은 당원 주권을 선포하고 처음으로 대선 후보를 뽑는 것"이라며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방안을 어떻게 도입할 건지가 중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주자들 주장대로 권리당원 몫을 포기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조승래 수석대변인도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특별당규 정할 때 당원투표로 하는데 당원들이 현실적으로 동의하겠냐"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77 유럽중앙은행, 6연속 금리인하 단행… 예금금리 연 2.25% 랭크뉴스 2025.04.17
45276 3표 모자라…‘내란·명태균 특검법’ 끝내 폐기 랭크뉴스 2025.04.17
45275 김문수 지지율 ‘출렁’…한 주 만에 4%P 빠져 홍준표와 동률 랭크뉴스 2025.04.17
45274 "화장실 휴지 같았다"…직장인 공감 터진 '화장지 사직서'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7
45273 尹 변호인단, ‘윤어게인’ 신당 창당 추진하려다 보류 랭크뉴스 2025.04.17
45272 尹 탄핵 선고 늦어진 이유는 바로…문형배 헌재소장 대행이 직접 밝혔다 랭크뉴스 2025.04.17
45271 1년만에 의대 증원 원점…환자단체 "대국민 사기" 의협 "정상화 첫발" 랭크뉴스 2025.04.17
45270 서초동 사저 간 尹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김태효 모친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269 부산 중구 수영장서 70대 남성 사망… 감전 추정 랭크뉴스 2025.04.17
45268 "술·담배랑 같은 수준이라고?"…밥과 같이 먹은 '이것' 대장암에 치명적 랭크뉴스 2025.04.17
45267 내란특검 등 7개 법안, 재표결서 부결…'수신료 통합징수' 가결 랭크뉴스 2025.04.17
45266 3인조 래퍼 ‘호미들’ 중국 우한서 공연···한국 가수, 8년 만에 본토 상륙 랭크뉴스 2025.04.17
45265 트럼프 “일본·멕시코와 생산적 소통···중국도 미국 만나길 원해” 랭크뉴스 2025.04.17
45264 트럼프 "관세 협상 순조로워… 中도 美와 만나길 원해" 랭크뉴스 2025.04.17
45263 ‘윤어게인’ 신당 창당 보류…“尹이 만류” 랭크뉴스 2025.04.17
45262 배터리 ‘비닐백’ 넣으면 화재 안심? 실험해봤습니다 랭크뉴스 2025.04.17
45261 나경원·한동훈·홍준표 토론 맞붙는다‥'이재명 네거티브 공격'도 점화 랭크뉴스 2025.04.17
45260 '중국 반도체 수출 제한' 트럼프 보란 듯... 엔비디아 젠슨 황, 딥시크 량원펑 만났다 랭크뉴스 2025.04.17
45259 [뉴스 다이브] 박지원 “국힘 후보, 홍준표 될 것…한덕수는 수양버들” 랭크뉴스 2025.04.17
45258 윤석열 변호인단, ‘윤 AGAIN’ 신당 창당한다더니···돌연 보류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