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 국채 시장 불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질주를 멈춰 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한 직후 ‘국채 시장의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에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다”며 “국채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 어젯밤에 보니까 사람들이 불안해하더라”고 답했다. 국채 금리가 오르면 35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연방 부채로 인한 이자 부담이 치솟는다.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의 반격을 맞으면서 브레이크를 밟았다.



국채 금리 챙겨온 트럼프·베센트
이 과정에서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이 전면에 나섰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발표한 이후 백악관 웨스트윙에서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과 오랜 시간 이야기를 나눴다”며 “이것이(발표 후 유예) 처음부터 그의 전략이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채권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건 정상적인 과정”이라며 미 국채 금리 안정을 위한 발언도 내놨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이 9일(현지시간) 백악관 웨스트윙에서 기자들에게 관세 유예와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일요일 베센트 장관에게 (관세) 협상에 대한 공개 발언을 허용하는 등 협상에 관해 큰 권한을 부여했다”며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에 집중적으로 임할 것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베센트 장관에겐 지난 주말 내내 월스트리트에서 걱정의 전화가 쏟아졌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잠시 멈춰야 한다고 설득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과 베센트 장관은 국채 금리를 두고 수차례 예민한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의회 연설에서 “오늘 10년물 국채 금리가 아주 큰 폭으로 하락했다. 크고 아름다운 하락”이라고 언급했고, 베센트 장관도 “대통령과 나의 최대 관심사가 국채 금리”라고 강조했다.
박경민 기자



국채 금리 급등…시장선 “중국이 팔았다”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자정 직후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516%까지 치솟았다. 불과 하루 전까지만 해도 4.1% 수준이었고, 주말인 6일엔 3.8%까지 국채 금리가 낮아졌었는데 갑작스럽게 급등했다. 불과 이틀 전인 7일 오전 4.3%대였던 30년물 미 국채 금리도 9일 오전 한때 5%를 넘겼다. 로이터통신은 30년 국채 금리의 최근 3일 상승치가 1982년 이후 가장 높고, 10년물 국채 주간 상승률은 2001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를 결정했고 이후 10년물 금리는 4.3%대로, 30년물 금리는 4.6%대로 떨어졌다.

미 국채 금리가 급등(국채 가격 하락)한 건 매도세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국채를 팔겠다는 사람이 늘면서 가격은 내려가고, 금리는 상승했다. 표면적으로는 헤지펀드들이 증시 하락 등으로 마진콜(투자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증거금 요구) 압박을 받으면서 이를 메우려고 국채를 대량 매도한 게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의 미 국채 매도가 원인이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국채 금리가 오르면 달러 가치도 오르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번엔 달러가 약세를 보였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미 국채 30년 금리 변동성은 과거 금융위기 수준으로 매우 높았다. 이전엔 금리가 급락할 때 달러는 약세를, 금리가 급등하면 달러가 강세를 기록했는데 이번엔 달랐다”며 “미국 금리가 아시아 시장에서 특히 급등했다는 점 등을 보면 중국·캐나다·덴마크 등 트럼프 관세 정책에 불만이 있는 국가들이 미 국채를 대량 매도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미국 국채를 두 번째로 많이 보유한 나라다.



연간 국채 이자만 1657조원
트럼프 대통령이 국채 금리에 주목하는 건 재정 적자 때문이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연방부채 규모는 35조4600억 달러(5경 1860조원)에 달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124%다. 2024회계연도에 미국 정부는 국채 이자로만 1조1330억 달러(1657조원)를 지불했다. 사상 처음으로 이자 부담이 1조 달러를 넘었는데 고령자 의료보험이나 국방비 지출 규모를 웃돈다.

이자 비용에 허덕이는 미국 입장에서 국채 금리가 더 올라갈 경우 재정 부담이 더 커지게 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를 내세워 공무원 감축 등으로 재정 여력을 만들고 있는 트럼프 입장에선 국채 금리가 올라가는 걸 용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규모 감세를 추진하고 있어 연방 정부 예산 여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는 점 역시 국채 금리의 중요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시장 개입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국채 금리 급등은 근본적으로 투자자들이 현금화를 위해 국채를 투매하면서 생긴 유동성 문제”라며 “Fed가 통화 공급량을 줄이는 양적 긴축을 조기 종료하고, 단기 자금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단기 대응에 나설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1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랭크뉴스 2025.04.17
44900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랭크뉴스 2025.04.17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
44888 커져가는 싱크홀 불안에 …서울시, 지하 조사 장비 추가로 들인다 랭크뉴스 2025.04.17
44887 일격 맞은 '한덕수 차출론'... 단일화 외쳤던 김문수 '머쓱' 랭크뉴스 2025.04.17
44886 광주의 우려 “이재명 밀어야제…근디 무조건 파랑은 아니랑께”[진보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7
44885 美관세대응 보폭 늘리는 현대차…무뇨스 "중장기 사업전략 재검토" 랭크뉴스 2025.04.17
44884 파월 "관세로 물가↑·성장↓…연준 양대 목표 달성 힘들 수도"(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7
44883 지갑 닫은 소비자… 콧대 꺾인 다이슨 랭크뉴스 2025.04.17
44882 "소변 잘 안 나오면 '이 병' 의심해 보세요"…방광에 소변 가득 차 있던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