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 국채 시장 불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질주를 멈춰 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한 직후 ‘국채 시장의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에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다”며 “국채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 어젯밤에 보니까 사람들이 불안해하더라”고 답했다. 국채 금리가 오르면 35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연방 부채로 인한 이자 부담이 치솟는다.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의 반격을 맞으면서 브레이크를 밟았다.



국채 금리 챙겨온 트럼프·베센트
이 과정에서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이 전면에 나섰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발표한 이후 백악관 웨스트윙에서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과 오랜 시간 이야기를 나눴다”며 “이것이(발표 후 유예) 처음부터 그의 전략이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채권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건 정상적인 과정”이라며 미 국채 금리 안정을 위한 발언도 내놨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이 9일(현지시간) 백악관 웨스트윙에서 기자들에게 관세 유예와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일요일 베센트 장관에게 (관세) 협상에 대한 공개 발언을 허용하는 등 협상에 관해 큰 권한을 부여했다”며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에 집중적으로 임할 것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베센트 장관에겐 지난 주말 내내 월스트리트에서 걱정의 전화가 쏟아졌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잠시 멈춰야 한다고 설득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과 베센트 장관은 국채 금리를 두고 수차례 예민한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의회 연설에서 “오늘 10년물 국채 금리가 아주 큰 폭으로 하락했다. 크고 아름다운 하락”이라고 언급했고, 베센트 장관도 “대통령과 나의 최대 관심사가 국채 금리”라고 강조했다.
박경민 기자



국채 금리 급등…시장선 “중국이 팔았다”
상호관세가 발효된 9일 자정 직후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516%까지 치솟았다. 불과 하루 전까지만 해도 4.1% 수준이었고, 주말인 6일엔 3.8%까지 국채 금리가 낮아졌었는데 갑작스럽게 급등했다. 불과 이틀 전인 7일 오전 4.3%대였던 30년물 미 국채 금리도 9일 오전 한때 5%를 넘겼다. 로이터통신은 30년 국채 금리의 최근 3일 상승치가 1982년 이후 가장 높고, 10년물 국채 주간 상승률은 2001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를 결정했고 이후 10년물 금리는 4.3%대로, 30년물 금리는 4.6%대로 떨어졌다.

미 국채 금리가 급등(국채 가격 하락)한 건 매도세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국채를 팔겠다는 사람이 늘면서 가격은 내려가고, 금리는 상승했다. 표면적으로는 헤지펀드들이 증시 하락 등으로 마진콜(투자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증거금 요구) 압박을 받으면서 이를 메우려고 국채를 대량 매도한 게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의 미 국채 매도가 원인이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국채 금리가 오르면 달러 가치도 오르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번엔 달러가 약세를 보였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미 국채 30년 금리 변동성은 과거 금융위기 수준으로 매우 높았다. 이전엔 금리가 급락할 때 달러는 약세를, 금리가 급등하면 달러가 강세를 기록했는데 이번엔 달랐다”며 “미국 금리가 아시아 시장에서 특히 급등했다는 점 등을 보면 중국·캐나다·덴마크 등 트럼프 관세 정책에 불만이 있는 국가들이 미 국채를 대량 매도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미국 국채를 두 번째로 많이 보유한 나라다.



연간 국채 이자만 1657조원
트럼프 대통령이 국채 금리에 주목하는 건 재정 적자 때문이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연방부채 규모는 35조4600억 달러(5경 1860조원)에 달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124%다. 2024회계연도에 미국 정부는 국채 이자로만 1조1330억 달러(1657조원)를 지불했다. 사상 처음으로 이자 부담이 1조 달러를 넘었는데 고령자 의료보험이나 국방비 지출 규모를 웃돈다.

이자 비용에 허덕이는 미국 입장에서 국채 금리가 더 올라갈 경우 재정 부담이 더 커지게 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를 내세워 공무원 감축 등으로 재정 여력을 만들고 있는 트럼프 입장에선 국채 금리가 올라가는 걸 용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규모 감세를 추진하고 있어 연방 정부 예산 여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는 점 역시 국채 금리의 중요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시장 개입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국채 금리 급등은 근본적으로 투자자들이 현금화를 위해 국채를 투매하면서 생긴 유동성 문제”라며 “Fed가 통화 공급량을 줄이는 양적 긴축을 조기 종료하고, 단기 자금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단기 대응에 나설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83 [공실 폭탄] ②“조물주 위에 건물주? 이제 옛말”…전국 상가 10곳 중 1곳은 ‘공실’ 랭크뉴스 2025.04.18
45382 [올드&뉴] 한국은 문과가 해먹는 나라? 이국종이 그럴리가… 랭크뉴스 2025.04.18
45381 [단독]경북 산불 범인 잡기 어려워지나…보름 넘게 피의자 소환 못한 경찰 랭크뉴스 2025.04.18
45380 [단독] 공수처에 내란죄 수사권…이재명 싱크탱크, 검찰개혁안 구체화 랭크뉴스 2025.04.18
45379 [속보]트럼프 "中과 관세 대화 중…3~4주 내 타결 기대" 주장 랭크뉴스 2025.04.18
45378 [단독] '내란'의 12월 그 밤‥대통령 집무실 원탁에선 랭크뉴스 2025.04.18
45377 이탈리아서 케이블카 추락…최소 4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18
45376 이중철문 속 ‘쉬쉬’ 숨겼던 중국 짝퉁…이제 신분 상승? [특파원 리포트][짝퉁의 역습]① 랭크뉴스 2025.04.18
45375 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 절반 근접” 랭크뉴스 2025.04.18
45374 '윤 어게인' 신당 창당 보류... "윤석열이 만류했다" 랭크뉴스 2025.04.18
45373 용산 서빙고역 건널목서 KTX-승용차 충돌…운행 지연 랭크뉴스 2025.04.18
45372 [지배구조 톺아보기] ‘200억 연봉’ 이수 김상범, 미등기 회장으로 그룹 장악...3세 승계는 미완성 랭크뉴스 2025.04.18
45371 “어차피 前정권 정책이잖아?" 조기대선 확정되자 밸류업 공시도 뚝 랭크뉴스 2025.04.18
45370 트럼프 "中과 관세문제 대화 중…향후 3~4주내 협상 타결 기대"(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8
45369 ‘피고인 윤석열’ 이번엔 공개…‘지하주차장 접근’ 오늘 발표 랭크뉴스 2025.04.18
45368 트럼프 “우크라와 24일 광물협정 서명” 랭크뉴스 2025.04.18
45367 단순히 공짜라서? 6억명 사로잡은 외국어 공부 앱의 성공 비밀 랭크뉴스 2025.04.18
45366 [단독] ‘비명횡사’ 논란 여론조사 업체, 간판만 바꿔 민주당 경선 참여 랭크뉴스 2025.04.18
45365 국민의힘 '떨떠름'‥"용산에선 나가야겠지만‥" 랭크뉴스 2025.04.18
45364 트럼프, 파월 재차 해임 위협…증시는 혼조세 마감[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