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압도적 1등’ 후보 정치 지형 비슷
비주류 중심 개헌 요구 단호 거부
문파·개딸 등 강성 팬덤 든든 지원
李·안희정 쟁쟁한 도전자 없어 ‘차이’
시민들이 10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선 출마 선언 영상을 지켜보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고 싶다. 위대한 대한국민의 훌륭한 도구, 최고의 도구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최현규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탄핵 정국 이후 분위기는 8년 전 조기 대선 때의 데자뷔라는 말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1강’ 구도를 유지하고 있는 이재명 전 대표가 비슷한 정치 지형에 있던 ‘2017년 문재인의 길’을 따라 걷고 있다는 얘기다. 개헌론에 대한 미온적 입장, 팬덤 정치를 동력으로 한 리더십 등이 닮았다는 평가다.

방송인 김어준씨는 지난 7일 유튜브 방송에서 “개헌은 사실 데자뷔 아니냐. 박근혜 (탄핵) 때도 그랬고, 이럴 때만 되면 얘기가 나오는데 그때도 실패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가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며 우원식 국회의장의 ‘대선·개헌 동시투표’ 제의를 거부한 날이다.

조기 대선 상황이라 물리적 시간 자체가 부족하고, 임기 단축과 권력구조 개편 등은 입장 차도 커 차기 정부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이 전 대표의 주장은 19대 대선 당시 문 전 대통령의 논리와 유사하다. 공교롭게도 당시 성남시장이던 이 전 대표는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2020년 대선·총선을 함께 치르자는 주장을 했었다.

‘문파’와 ‘개딸’ 등의 강성 팬덤을 활용하는 방식도 비슷한 점이 많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자신의 팬덤이 상대 후보에 ‘문자 폭탄’을 날린 데 대해 “경쟁을 흥미롭게 만들어주는 양념 같은 것”이라고 발언하며 사실상 이런 여론전을 용인했다. 이 전 대표는 최근 우 의장과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에 대한 지지층의 문자 폭탄 공세에 아무런 말을 하지 않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언더독’이던 8년 전에는 문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좌표 공격’ 대상일 때가 많았다.

이 전 대표의 조기 대선 행보는 ‘안정’ 중심이 될 것으로 민주당은 보고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10일 “1위 후보가 수선을 떨 필요는 없다. 2017년과는 달리 지금 이 전 대표에게 필요한 건 수권 능력을 갖춘 1위로서의 안정감”이라고 말했다. 앞으로도 문 전 대통령이 후보 시절 택했던 지키기 전략을 답습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다만 이 전 대표에게는 8년 전의 ‘성남시장 이재명’이 없다는 차이점이 있다. 2017년 민주당 경선 때는 이 전 대표와 안희정 전 충남지사 등 쟁쟁한 도전자가 문 전 대통령에게 도전장을 내밀었었다. 이 전 대표는 당시 진보 색채가 선명했고, 안 전 지사는 중도 부분을 맡았다. 이들의 경쟁이 ‘컨벤션 효과’를 내며 문 전 대통령은 민주당 전당대회를 거쳐 최종 후보가 된 직후 40%대 지지율을 얻었다. 경선 전보다 10% 포인트 수직 상승한 것이다.

민주당도 이런 점을 고심하고 있다. 박용진 전 의원, 김영록 전남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은 이미 경선 불참 선언을 했다. 다른 비명계 주자들은 1%대 지지율에 그치고 있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극적인 경선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그런 것을 바라기보단 본선 승리를 위해 이 전 대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68 트럼프 “우크라와 24일 광물협정 서명” 랭크뉴스 2025.04.18
45367 단순히 공짜라서? 6억명 사로잡은 외국어 공부 앱의 성공 비밀 랭크뉴스 2025.04.18
45366 [단독] ‘비명횡사’ 논란 여론조사 업체, 간판만 바꿔 민주당 경선 참여 랭크뉴스 2025.04.18
45365 국민의힘 '떨떠름'‥"용산에선 나가야겠지만‥" 랭크뉴스 2025.04.18
45364 트럼프, 파월 재차 해임 위협…증시는 혼조세 마감[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8
45363 석방된 명태균의 ‘입’, 국민의힘 대선 경선 흔드나···후보 절반이 연관 의혹 랭크뉴스 2025.04.18
45362 "세종으로 완전 이전"‥'행정수도' 치고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18
45361 트럼프 “중국과도 무역협정 맺을 것…거래를 결정하는 건 미국” 랭크뉴스 2025.04.18
45360 트럼프 "아무도 美와 경쟁 못해…거래를 결정하는 것도 미국" 랭크뉴스 2025.04.18
45359 [인&아웃] 美中 기술패권 전쟁 랭크뉴스 2025.04.18
45358 [여담] 비행기에는 백미러가 없다 랭크뉴스 2025.04.18
45357 ‘여자는 교회서 잠잠하라’?… 성경의 본뜻 꿰뚫어야 랭크뉴스 2025.04.18
45356 [단독] ‘IMF 이후 첫 적자’ 신협, 부동산·건설 대출 한도 초과 조합만 100곳 랭크뉴스 2025.04.18
45355 ‘일방 증원’ 정부·‘환자 볼모’ 의료계…상처만 남긴 ‘1년 전쟁’ 랭크뉴스 2025.04.18
45354 81세 장영자 다섯번째 수감... 그가 사기 범죄 반복하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8
45353 [이슈 In] 퇴직연금 수익률 2%대 '제자리걸음'…'기금형 도입' 해법 될까? 랭크뉴스 2025.04.18
45352 대선 정책테마주 뜬다…이재명 방문하자 방산·콘텐츠 일제히 급등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18
45351 장애인 학대 피해자 수 20대 최다…증가율은 17세 이하 최고 랭크뉴스 2025.04.18
45350 ‘韓대행 재판관 임명’ 제동 건 변호사 “누굴 지명했어도 소송” 랭크뉴스 2025.04.18
45349 [오늘의 운세] 4월 18일 금요일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