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브라질, 세계 7위 인구 대국···경제 규모도 韓보다 커
상품 개방은 빠져···브라질 산업계 우려 고려
통상리스크 분산 전략···남미 시장 전략적 가치 높아져
현대차, 브라질 車 시장 점유율 4위···교역 확대 기대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해 10월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G20 무역투자장관회의(TIMM) 참석 계기에 마르시오 로사(Marcio Rosa) 브라질 개발산업통상서비스부 차관과 만나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정부가 중남미 최대 국가인 브라질에 무역동반자협정(TPA) 체결을 위한 협상을 공식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중 통상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관세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1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최근 브라질 정부에 TPA 협상 개시를 제안하는 공식서한을 전달했다. 브라질 정부는 내부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정부가 브라질에 제안한 TPA는 자유무역협정(FTA)보다는 한 단계 낮지만 이와 유사한 수준의 시장개방 효과를 내는 국제 무역협정이다. 정부는 다만 브라질 정부의 우려를 감안해 상품 관세는 일단 건드리지 않고 서비스 시장 개방과 투자 자유화, 통관 절차 간소화, 검역 절차 투명화 등 높은 수준의 개방과 협력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외교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는 미국발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3국 수출 활성화 대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브라질과 협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 정부가 화답해 양자 무역협정이 체결될 경우 한국 기업이 통역이나 검역 절차에서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어 브라질과의 경제협력과 교역이 크게 확대될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브라질 산업계의 우려를 고려해 상품 분야는 단계적으로 접근하되 통관 절차 간소화, 규제 투명성 확보 등 제도적 기반을 먼저 다지는 협정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장기적으로 상품 관세를 내리는 것도 목표"라고 설명했다.

브라질과 무역협정이 타결될 경우 통상 리스크가 상당히 분산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기는 했지만 자동차와 철강 관세는 그대로 남아 있어 우리나라 주력 산업에 직접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중남미는 이같은 고율 관세 충격을 상쇄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실제 브라질은 인구 2억 2000만 명으로 내수 시장과 인구가 중남미 국가 가운데 가장 크다. 국내 총생산(GDP)도 1조 9000억 달러에 달해 세계 9위 수준이다. 하지만 아직 한국·브라질 간 양자 무역협정은 체결되지 않아 국내 기업들의 미개척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브라질의 자동차 시장 규모는 전세계 6위로 성장 잠재력이 높다.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브라질에서 20만 5787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10.5%에 이르는 성장률을 나타내기도 했다. 중장기적으로 관세 인하가 이뤄질 경우 가격 경쟁력 확보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는 구조다.

우리나라가 추진했던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와의 FTA 협상이 지연되고 있는 것도 브라질과 양자 협정을 추진하는 배경이다. 메르코수르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4개국이 참여하고 있는데 전체 회원국이 모두 동의해야 무역협정 체결이 가능하다. 메르코수르와 FTA 협상은 2021년 이후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정부는 브라질 정부의 회신이 오는대로 이르면 상반기 중 본격 교섭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07 병원서 속옷만 입고 "나 미국인이야! 녹화해"…난동 피운 남성의 최후 랭크뉴스 2025.04.18
45306 김동연 “2035년까지 男·女 대상 ‘완전한 모병제’로 전환” 랭크뉴스 2025.04.18
45305 미국 달 가는 길목에 먼저 위성망 구축한 중국...확대하는 우주 패권 경쟁 랭크뉴스 2025.04.18
45304 신축 찾는 3040 따라 인구 ‘출렁’… 양주 지난해 2만여명 급증 랭크뉴스 2025.04.18
45303 ‘국민 배신’ 비판에도 의대 증원 1년 만에 ‘원점’…갈등 불씨는 여전 랭크뉴스 2025.04.18
45302 논란의 '한덕수 대선 출마' 국민 10명 중 6명의 답변은 [NBS] 랭크뉴스 2025.04.18
45301 “트럼프 과두제와 싸우자”…미 정치판 뒤흔드는 2인 랭크뉴스 2025.04.18
45300 [대선언팩] 민주화 이후 ‘충청의 마음’ 사로잡은 후보가 대통령 당선 랭크뉴스 2025.04.18
45299 의료계에 휘둘린 ‘빈손 개혁’… 환자 고통·학사 파행 부작용만 랭크뉴스 2025.04.18
45298 "세 살 버릇 여든 넘게 가네"…'81세' 장영자, 사기로 또다시 징역 1년형 랭크뉴스 2025.04.18
45297 미국서 쫓겨난 한국인 교수… "트럼프 행정부가 돌연 비자 취소" 랭크뉴스 2025.04.18
45296 ‘KBS 수신료 통합징수’ 국회 재표결 통과…국힘 반란표 ‘21표’ 랭크뉴스 2025.04.18
45295 트럼프, '금리 인하 신중' 파월에 "임기 빨리 끝나야" 랭크뉴스 2025.04.18
45294 트럼프, 관세 정책 우려한 파월 연준 의장에 “임기 빨리 끝나야” 랭크뉴스 2025.04.18
45293 시험 문제 사고팔고…참 부끄러운 스승들 랭크뉴스 2025.04.18
45292 “안정” 강조한 한덕수, 정치적 행보로 ‘국정 불안정’만 가중 랭크뉴스 2025.04.18
45291 IMF 총재 "내주 새 경제전망 눈에 띄게 하향…리세션은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18
45290 "매일 붙어있던 개인데"…美서 생후 7개월 아이, 핏불에 물려 사망 랭크뉴스 2025.04.18
45289 "비행기 탔다가 '고문' 당하는 줄"…中 항공사 '초슬림 좌석'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5.04.18
45288 뉴욕증시, 유나이티드헬스 실적 실망감이 반등세 꺾어…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