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만 125% 중과세… 나머지는 기본 10%
연일 추락 증시, 전격 유화책에 수직 상승
‘中 포위’ 위한 ‘교역국 포섭’ 전략 가능성
연일 추락 증시, 전격 유화책에 수직 상승
‘中 포위’ 위한 ‘교역국 포섭’ 전략 가능성
스콧 베선트(뒷줄 왼쪽) 미국 재무장관과 하워드 러트닉(뒷줄 오른쪽) 상무장관이 9일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연설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세계 경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한마디에 울다 웃었다. 그의 상호관세 폭격 예고에 추락을 거듭하던 국제 금융시장이 발효 당일 갑작스러운 폭탄 투하 연기에 수직 상승했다. 아무리 그가 미국 대통령이라지만, 한 사람의 발언에 온 세계 경제가 휘둘리고 있다.
13시간여 만의 반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동부시간 9일 오후 1시 18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대(對)중국 상호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공표했다. 그러나 나머지 국가의 경우 미국에 고분고분했던 만큼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해당 기간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0시 1분 나라마다 달리 매겨진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 13시간여 만이었다.
이날 반전은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주식시장이 연일 폭락하는 와중에 이뤄졌다. 9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이 뜬금없이 “매수 타이밍”이라는 글을 올릴 때까지만 해도, 중국의 재차 보복 조치와 미국 국채 시장 투매 현상으로 인해 금융위기 재발 가능성까지 거론될 정도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4시간 후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를 발표하자 이날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는 기록적인 수준으로 급반등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9.5%)가 역대 세 번째로 가파르게 올랐고, 나스닥 지수 상승 폭(12.16%)은 역대 두 번째였다. 10일 한국과 일본 증시도 급등세로 마감했다. 7일 이후 이어진 미국 채권시장 투매도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관세 유예가 금융시장에 호재인 것은 분명하다. 넷얼라이언스증권 글로벌 채권 책임자 앤디 브레너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시장에 대한 트럼프의 항복”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90일 유예는 한시적 조치인 만큼 장기적으로 보면 마음을 놓을 수 없다. 투자은행 레이먼드 제임스의 애널리스트 에드 밀스는 홈페이지에서 “행정부의 결정 번복은 기업들이 느끼는 불확실성을 더 키워 사업 계획을 짜기 어렵게 만든다”며 “상호관세 유예에 심각성이 가려졌지만 기본관세 10%는 여전한 악재”라고 지적했다.
변덕인가 전략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오벌오피스)에서 행정명령과 포고문에 서명하며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전격 선회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을 공산이 큰 변수는 미국 국채 시장 급락세다. 2일 발표 뒤 일요일인 6일까지 미국 주식시장에서 급락장이 두 번이나 나타났는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요지부동이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기류가 달라진 것은 7일 친정 공화당도 포함된 정치권의 비판 목소리가 커지면서다. 여기에 극도로 부정적인 금융시장 반응이 쐐기를 박은 것 같다는 게 FT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행사에서 “나는 국채 시장을 보고 있었는데 어젯밤에 보니 사람들이 좀 불안해하더라”고 대답했다. 미국 CNN방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이날 오전 회의 때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유예를 건의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상호관세를 유예하면서도 중국에만 추가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이번 결정을 통해 중국과의 대치 전선이 더 두드러지게 됐다. 이는 전략적 선택이라는 게 중론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유럽연합(EU) 등을 향해 경제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는 등 미국과의 관세 전쟁을 함께 치를 우군 확보에 착수한 상황이었다. 관세 부과 대상국들을 압박하는 대신 포섭하는 데 성공할 경우 중국의 대미 포위망 결성을 차단하고 역으로 이들을 활용해 중국을 둘러쌀 수 있다.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난 베선트 장관은 “교역 파트너들과 함께 해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이번 조치로 탄핵 정국의 정치적 혼란 속에 25% 상호관세에 노출됐던 한국도 대선(6월 3일) 뒤인 7월 초까지 조바심을 덜 느끼며 협상할 시간을 벌게 됐다. 그러나 대선까지 정부 리더십 공백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데다 대선 뒤 출범할 차기 정부 역시 인수 과정 없이 촉박하게 미국과 협상에 나서야 하는 만큼 결과를 낙관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라는 우려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