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125% 대중 관세 부과에도…中 "강력한 대응 조치 계속"
'中, 美 여행 자제령' 인적 교류에도 영향…"무역분쟁 빨리 안 끝날 듯"


미국 트럼프 대통령 -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PG)
[장현경,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對)중국 '관세 폭탄'에 대한 중국의 추가 84% '맞불 관세'가 10일 발효돼 시행에 들어갔다.

중국이 미국을 향해 절대로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계속해서 나타내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면서도 중국에 대한 관세만은 125%로 올려 글로벌 무역전쟁이 미중 간 '치킨 게임'의 격화 양상으로 바뀌었다.

중국 정부는 이날 낮 12시 1분(현지시간)을 기점으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8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 기준 시간 이전에 선적된 화물의 경우 5월 14일 0시 이전에 수입되면 추가 관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계속 올리자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비례 보복으로 대응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로 추가 34%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중국은 34%의 대(對)미국 관세로 맞섰고, 트럼프 대통령이 50%를 더 높이자 중국도 84% 상향으로 맞불을 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 시작 13시간여 만에 대중국 관세는 125%로 올리면서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대중 관세에 대한 추가 인상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가 더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무역전쟁의 전선이 미국과 무역 상대국에서 미국과 중국으로 좁혀지면서 세계 1, 2위 경제 대국 간 무역 전쟁이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미중 무역 갈등으로 글로벌 경제가 두 개의 블록으로 갈라지면서 양국 간 상품 교역이 최대 80%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 정부는 관세 인상과 함께 미국 기업들에 대한 무더기 제재도 단행하며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시진핑 주석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 1월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시작한 이후 미국 기업 약 60곳을 제재했던 중국은 전날 대미 관세를 84%로 올리면서 방산업체를 중심으로 미국 기업 18곳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또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90%를 점하는 중국은 2023년 이후 5차례에 걸쳐 광물 수출 조치를 했다. 미국 방위산업을 중심으로 서방 기업들의 첨단 산업에 광범위한 타격을 미치는 대응을 정교하게 준비해온 흔적이 보인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 7일 "미국의 무차별적인 관세는 중국에 충격을 주겠지만, 하늘이 무너질 정도는 아니다"라며 항전 의지를 고취하기도 했다.

인민일보는 미국이 중국에 대해서만 1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이날 사설을 통해 "미국의 경제적 괴롭힘 행위에 대해 강력한 대응 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더 나아가 '맞대응 6대 조치'를 준비 중이라는 사실을 슬쩍 흘렸다.

류훙 전 신화통신 기자가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牛彈琴)이 지난 8일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관세 대폭 인상과 축산물 수입 중단, 미국 기업 조사 등을 준비 중이라고 전한 것이다.

중국은 내부적으로 추가 경기 부양책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한편 주변국들과 전략적 상호 신뢰를 강화하고 산업·공급망 협력을 강화한다는 외교 방침을 천명했다. 미국과 대결이 장기전으로 갈 것으로 보고 대미 공동 전선 구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미중 간 무역전쟁이 양국 간 인적 교류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전날 자국민들에게 미국 여행 자제령을 내렸고 이와 별도로 중국 교육부는 미국 내 일부 유학생의 비자가 예고 없이 취소됐다며 미국 유학을 재고하라고 경고했다.

장즈웨이 핀포인트자산운용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통신에 "중국은 미국에 관세 인상에도 무역정책에 대한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는 분명한 신호를 보냈다"며 "현재 무역 분쟁에서 빠르고 쉽게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추가 관세 발효로 양국의 경제 피해가 곧 가시화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중국이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상승하거나 고용이 감소하기 시작할 때를 협상 적기로 보고 기다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87 [사설] 도로 3058명… 이게 환자 목숨 1년 볼모 결과라니 랭크뉴스 2025.04.18
45286 "미군 왜 경례 안하지?" 軍 좋아했지만 軍 몰랐던 '밀덕 尹' [尹의 1060일 ⑩] 랭크뉴스 2025.04.18
45285 프랑스, 과거 식민지 아이티와 과거사 공동조사위 출범 랭크뉴스 2025.04.18
45284 의대 학장들 “예외 없이 유급 결정…학생들 책임 있게 행동해야” 랭크뉴스 2025.04.18
45283 국민의힘 ‘반대 단합’에…내란·명태균 특검법 또 부결 랭크뉴스 2025.04.18
45282 금요일 낮 최고기온 29도… 전국 강풍 랭크뉴스 2025.04.18
45281 도로 ‘3058명’…정부, 의료계 이기주의에 졌다 랭크뉴스 2025.04.18
45280 트럼프, '관세 파장' 우려한 연준 의장에 "임기 빨리 끝나야" 랭크뉴스 2025.04.18
45279 경남서 어린이집 야외수업 참여한 9살 장애아 물에 빠져 숨져 랭크뉴스 2025.04.18
45278 그 많은 수돗물 누가 훔쳤나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18
45277 유럽중앙은행, 6연속 금리인하 단행… 예금금리 연 2.25% 랭크뉴스 2025.04.17
45276 3표 모자라…‘내란·명태균 특검법’ 끝내 폐기 랭크뉴스 2025.04.17
45275 김문수 지지율 ‘출렁’…한 주 만에 4%P 빠져 홍준표와 동률 랭크뉴스 2025.04.17
45274 "화장실 휴지 같았다"…직장인 공감 터진 '화장지 사직서'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7
45273 尹 변호인단, ‘윤어게인’ 신당 창당 추진하려다 보류 랭크뉴스 2025.04.17
45272 尹 탄핵 선고 늦어진 이유는 바로…문형배 헌재소장 대행이 직접 밝혔다 랭크뉴스 2025.04.17
45271 1년만에 의대 증원 원점…환자단체 "대국민 사기" 의협 "정상화 첫발" 랭크뉴스 2025.04.17
45270 서초동 사저 간 尹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김태효 모친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269 부산 중구 수영장서 70대 남성 사망… 감전 추정 랭크뉴스 2025.04.17
45268 "술·담배랑 같은 수준이라고?"…밥과 같이 먹은 '이것' 대장암에 치명적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