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부품 생산만 40여개국, 핵심 부품은 중국산
“美 대규모 제조력 이미 상실, 中 추격 불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중국에 대해 강경한 관세 정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애플이 아이폰 제조 과정에서 중국을 배제하고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가격이 500만원 이상으로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아이폰의 모든 부품을 미국에서 생산, 조립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로 중국의 공급망 장악력과 많은 제조 인력, 뛰어난 제조 기술 등을 꼽았다.

9일(현지시각)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1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다른 나라들에 대해선 90일 간 관세를 유예하겠다고도 밝혔으나, 중국은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는 이유에서 이 조치에서 제외됐다. 이에 중국산 부품이 많이 쓰이거나 중국에서 조립되는 전자제품 가격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3년 9월 중국 상하이의 한 애플스토어에 아이폰 15 시리즈가 전시돼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생산’ 언급되는 아이폰… “가격 500만원까지 치솟을 것”
대표적인 것이 애플의 아이폰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아이폰의 미국 생산을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백악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애플이 아이폰 생산을 미국으로 옮길 수 있다고 믿고 있다”고 밝혔고,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미 CBS에 출연해 “수백만 명이 작은 나사를 조립하는 그 일이 이제 미국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물론 자동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미국산 아이폰이 현실화할 경우 아이폰 가격은 최대 500만원대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의 유명 분석가인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글로벌 기술 리서치 책임자는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될 경우 가격이 약 3500달러(약 512만원)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중심 공급망 갖추는 데 최소 3~5년”
그러나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바람대로 ‘미국산 아이폰’이 생산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게리 제레피 듀크대 명예교수의 의견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아이폰에는 총 40개국 이상의 부품이 사용된다. 그 중 가장 핵심적이고 복잡한 부품은 약 6개국에서 생산된다. 이런 부품의 공급망은 중국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제레피 교수는 미국산 아이폰이 가능해지려면 핵심 부품 생산을 북미로 이전해 공급망을 재구축하는 것을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았다. 그럼에도 일부 부품 생산은 멕시코와 캐나다를 넘어 서유럽으로도 손을 뻗어야 할 수밖에 없으며, 이 역시 최소 3~5년은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WSJ에 따르면, 실제로 애플이 유일하게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맥 프로(PC)’의 경우 미국 생산을 처음 시작했을 때 가장 먼저 겪은 어려움 중 하나가 바로 나사를 포함한 부품을 가까운 곳에서 조달하는 것이었다.

2023년 8월 미국 워싱턴 D.C.의 한 애플스토어. /EPA연합뉴스

“비용 해결돼도 인력 문제는 해결 불가”
근본적으로는 제조 인력 문제가 있다. 아이폰 조립에는 로봇 자동화 기술과 숙련된 수작업 인력이 모두 필요하다. 일부 공정은 로봇이 대체할 수 있지만, 케이블 배선, 접착제 도포, 나사 조립 등은 여전히 사람 손이 필요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고품질의 제조 설비를 갖출 수는 있지만, 이를 운용할 인력을 중국만큼 확보하기는 거의 불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례로, 아이폰을 조립하는 폭스콘은 ‘아이폰 시티’로 불리는 중국 정저우에서 총 30만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 중국의 대안으로 여겨지는 인도 역시 제조 인력이 풍부하다. 반면 미국에서는 제조 인력 확보 자체가 공장 가동의 최대 난제다. 팅롱 다이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WSJ에 “미국은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으며, 대규모 제조의 기술을 이미 상실했다”고 말했다.

기술 격차도 무시할 수 없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앞서 2017년 인터뷰에서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이유는 값싼 노동력 때문만이 아니라고 직접 밝힌 바 있다. 그는 “우리 제품에는 첨단 금형이 필요하다. 미국에서는 금형 엔지니어들이 모여 회의를 해도 결과물에 대해 확신할 수 없지만, 중국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18 5천6백만 원 여론조사비 청구서 공개‥홍 전 시장 측 "이미 입장 다 밝혀" 랭크뉴스 2025.04.11
47217 ‘시진핑 심복’ 중국군 서열 3위 허웨이둥, 부패 혐의로 숙청 랭크뉴스 2025.04.11
47216 “파면됐으면서 뻔뻔하게”···‘윤석열 관저 퍼레이드’ 본 시민들 비판 쇄도 랭크뉴스 2025.04.11
47215 장순욱 변호사 “윤석열 특이한 캐릭터…검사 때는 문제 되지 않았을 것” [논썰] 랭크뉴스 2025.04.11
47214 조국혁신당, 대선 독자 후보 안 낸다… “야권 유력 후보 총력 지원” 랭크뉴스 2025.04.11
47213 ‘광명 공사장 붕괴’ 고립 노동자 1명 목소리 확인…“구조장비 접근 어려워” 랭크뉴스 2025.04.11
47212 거듭되는 ‘위기설’…올해 ‘부실 징후’ 건설사 36% 늘었다 랭크뉴스 2025.04.11
47211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사고…작업자 1명 실종, 1명 구조 중 랭크뉴스 2025.04.11
47210 금기 깨고 4.3 알린 '순이삼촌' 작별할 수 없는 아픔, 문학으로 랭크뉴스 2025.04.11
47209 중국도 강풍 경계령 “여행·외출 위험” 랭크뉴스 2025.04.11
47208 이역만리 프랑스에 전해진 제주 4·3의 아픔 랭크뉴스 2025.04.11
47207 한글로 “관세 유예, 중국 반격 덕분” 적은 중국대사 랭크뉴스 2025.04.11
47206 하교 10분만 늦었어도…광명 붕괴사고 옆 초등학교 '아찔' 랭크뉴스 2025.04.11
47205 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랭크뉴스 2025.04.11
47204 트럼프 “채권에 주목”…국채 금리가 아킬레스건? 랭크뉴스 2025.04.11
47203 사망 농도 도달까지 3분....가스레인지 '삼발이 커버'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 랭크뉴스 2025.04.11
47202 붕괴 현장 구조 작업 계속‥"매몰자 목소리 확인" 랭크뉴스 2025.04.11
47201 "순간적으로 화나서"…중학교에서 흉기로 교사 위협한 남학생 체포 랭크뉴스 2025.04.11
47200 "돈 없어도 샤넬 백 자랑은 해야지"…한국인, 과시성 소비 17개국 중 5위 랭크뉴스 2025.04.11
47199 시진핑 "기댄 적 없으니 때려도 안 무섭다" 트럼프 겨냥 첫 공개발언 랭크뉴스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