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높은 수익률을 목표로 하면서, 손실이 나더라도 원금을 지급하는 새로운 투자상품이 증권사에서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중 원금 지급형 상품인 종합투자계좌(IMA)를 출시 가능한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를 지정하기로 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종합금융투자사업장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3분기 종투사 신청, 이르면 올해 상품 출시
9일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10개 종투사 CEO와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IMA는 고객으로부터 자금을 모은 뒤 이를 기업금융 자산에 운용하고, 실적에 따라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상품이다. 만기 보유를 조건으로 원금 지급 의무를 부담하고, 예‧적금 등 다른 원금 보장 상품보다 수익률이 높은 게 특징이다.

고상범 금융위 자본시장과장은 “예금처럼 원금을 보장하는 형태는 아니지만, 증권사가 망하지 않는 한 원금을 지급하는 구조”라며 “투자 상품인 만큼 목표한 만큼 수익률이 안 나올 수는 있지만 마이너스(-)가 나더라도 투자자는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금 지급을 위해 종투사는 운용자산의 5%만큼을 손실충당금으로 적립하는 등 리스크 관리 의무를 진다.

IMA는 만기와 목표수익률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어떤 상품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느냐에 따라 안정성과 수익률에 차이가 난다. 예컨대 목표수익률을 연 4% 수준으로 낮게 설정하는 안정형이라면 만기가 1~2년으로 짧고 우량 기업관련 상품 위주로 구성한다. 신용등급이 높은 우량 기업 회사채에 주로 투자하는 식이다.
김경진 기자
금융위는 중수익이나 고수익 IMA 상품도 나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고수익 상품의 경우 성과보수를 제외한 목표수익률을 연 6~8%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중견·중소기업 지분이나 회사채 위주로 투자하고, 국내외 부동산 등 대체투자를 통해 높은 수익 변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투자자 입장에선 벤처 투자로 고수익을 노리면서도 만일 손실이 나더라도 원금은 지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만기가 길고,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운용·성과보수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단점이 있다.

손실을 보더라도 원금을 지급하는 게 필수 요건으로 붙는 만큼 종투사 입장에선 안전성을 중심에 두고 운용해 실제 수익률은 높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익명을 원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실적 배당형으로 원금을 보장하면서도 중위험‧중수익 이상을 추구해야 하는 컨셉은 부담”이라며 “또 모험자본 자산의 공급량은 한정돼있는데 25%를 의무화하게 되면 일부 자산에 수요가 비정상적으로 집중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원금 지급 장점 “망하지 않는 한 준다”
IMA는 주로 장기 투자처로 활용될 전망이다. 주로 만기가 있는 상품 위주로 출시하는데 만기 때만 원금을 지급한다. 중도에 해지하는 경우 운용 실적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장기 투자를 돕기 위해 설계된 개인종합자산계좌(ISA)와는 차이가 크다. IMA는 비과세·분리과세 혜택 등이 없다. 계좌 내에서 자유롭게 투자가 가능한 ISA와 달리 IMA는 종투사가 출시한 상품에 돈을 투자하는 펀드와 같은 개념이다.

기업 자금 공급 확대가 IMA의 도입 목적인 만큼 운용자산의 70% 이상은 기업 대출이나 회사채 등 기업금융 관련 자산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부동산 운용 한도는 10% 이내로 하고, 모험자본에 25% 이상을 공급해야 한다는 의무도 있다. 중소·중견기업 자금 공급, A등급 이하 채권, 벤처캐피털(VC) 투자 등이 대표적인 모험자본이다.

종투사는 증권사의 자기자본 규모에 따라 신용공여(3조원 이상), 발행어음(4조원), IMA(8조원) 등으로 구분된다. 금융당국은 올해 3분기 IMA 종투사 신청을 받는다.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자기자본 8조원 이상으로 신청 조건을 갖췄다. 증권사의 준비 수준에 따라 빠르면 올해 지정을 마치고 상품 출시까지 가능하다는 게 금융당국 판단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29 이국종 발언 화제되자 ‘이과생’ 안철수·이준석 “내가 적임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7
45228 이창용 “갑자기 어두운 터널 진입”…한국 경제 ‘시계 제로’ 랭크뉴스 2025.04.17
45227 "문 정부 집값통계 102차례 조작"‥"대선 앞둔 정치감사 발표" 랭크뉴스 2025.04.17
45226 ‘이재명 1호 공약’ 재등장할까··· 재점화되는 법정 최고금리 인하 논쟁 랭크뉴스 2025.04.17
45225 좌우 심장, 피가 달랐다…부검실 국자가 퍼올린 '시신의 비밀' 랭크뉴스 2025.04.17
45224 '과학적 근거'라던 2천 명 증원‥1년 만에 백기 든 정부 랭크뉴스 2025.04.17
45223 “모병제로 바뀌나요?” 질문에 이재명 “제 생각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17
45222 질문하는 기자에 ‘폭력행사’한 권성동…언론단체, 사과·사퇴 촉구 랭크뉴스 2025.04.17
45221 ‘윤어게인 신당’ 창당 취소…변호인단 “국힘 압박 빗발쳐” 랭크뉴스 2025.04.17
45220 똘똘 뭉친 국민의힘···두 번째 내란·명태균특검법, 또 부결 랭크뉴스 2025.04.17
45219 이재명 캠프 “‘도봉역 벤츠 난동 사건’ 허위 정보 유포자 경찰 고발” 랭크뉴스 2025.04.17
45218 [정진황 칼럼] 손해 보는 정치는 안 한다 랭크뉴스 2025.04.17
45217 헌법과 법률, 통합과 안정 강조하더니···혼란만 낳은 한덕수의 ‘정치’ 랭크뉴스 2025.04.17
45216 부산 수영장서 비명 터졌다…1명 사망·1명 부상 '감전 추정 사고' 랭크뉴스 2025.04.17
45215 ‘윤어게인 신당’ 창당 4시간만에 취소…변호인단 “국힘 압박 빗발쳐” 랭크뉴스 2025.04.17
45214 윤석열 변호인단, ‘윤 AGAIN’ 신당 창당한다 랭크뉴스 2025.04.17
45213 [단독] 기사 '좌표' 찍고 "댓글 바꿔라" 지령‥극우 유튜버 '여론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5212 '피고인 윤석열' 이제 화면으로‥지하 출입은? 랭크뉴스 2025.04.17
45211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메시지 담으려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
45210 법원 "가세연, '쯔양 사생활' 영상 삭제해야" 가처분 결정(종합)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