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퇴사자 28명 중 25명 40대 이하
비우주개발 분야 이직 사례도 눈에 띄어
동종업계 대비 낮은 임금에 구성원 상실감
젊은 인재 유치도 우려···"제도 개선 필요"
2023년 5월 25일 전남 고흥군 영남면 우주발사전망대에서 시민들이 실용위성을 싣고 우주로 향하는 누리호(KSLV-Ⅱ)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나로호와 누리호를 개발하며 한국을 세계적인 우주개발 국가 반열에 올리는 데 기여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최근 젊은 연구원들의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 퇴사한 이들 중에는 다른 기관의 연구직으로 자리를 옮기는 경우도 있지만 가전 사업이나 자동차 등 우주개발과 동떨어진 직군으로 이직하는 사례도 있어 우주개발 분야 인재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서울경제신문이 입수한 ‘항우연 이직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정년퇴직자·직권면직자를 제외한 항우연 퇴사자는 총 28명이다. 특히 젊은 인력의 퇴사 비중이 높다. 지난해 퇴사자 중 20~40대는 25명으로 2023년 총퇴사자 수(17명)보다 많았다. 퇴사한 20~40대 직원 중 7명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개발을 이끈 발사체연구소에서 근무했다. 다누리 개발과 운영을 맡고 있는 우주탐사센터가 속해 있는 위성연구소에서도 11명이 회사를 떠났다. 퇴직 후 이직처는 다양하지만 삼성전자·현대자동차 등 민간기업으로 자리를 옮기는 경우가 많았다.



퇴사 이유를 한 가지로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하는 다른 기관에 비해 눈에 띄게 낮은 연봉은 항우연 연구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고질적인 문제다. 항우연 노조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만 30세 기준 항우연 박사 신입 초봉은 6226만 원 수준이다. 우주항공청·현대차·한국항공우주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에 비해 현저히 낮고 한국원자력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과도 큰 차이가 났다. 만 50세 안팎의 책임연구원이 돼도 1000만~2000만 원대의 임금 차이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우연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그간 기획재정부가 정한 상한선 내에서 인건비를 운용하는 인건비 수권 예산 제도에 따라 임금을 책정해왔다. 수권 예산은 연구 과제 수주액과 정부 출연금, 인건비 등을 포함한 출연연 예산으로 출연연은 큰 프로젝트를 수주해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도 수권 예산 상한선을 넘어서는 임금은 지급할 수 없다. 항우연의 경우 2022년 누리호 발사 성공 등 국가적 사업이 성과를 낸 데다 소속이 우주항공청으로 이관되는 변화가 생기면서 내부적으로 임금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하지만 구조적 변화 없이 일부 저연차를 중심으로 소폭 임금 상승만 진행되고 포상금을 지급하는 수준에 그치면서 젊은 구성원들 사이에 불만이 누적된 것으로 보인다. 내부적으로는 제도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인재 유치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최근 항우연 지원자 중에는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이 과거에 비해 감소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56 이재명 비꼰 서지영 “전국 도련님들께…5월은 가정의 달”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7
44955 부자들 “올해는 부동산보다 예금·금·채권” 랭크뉴스 2025.04.17
44954 봄의 실종?…낮 최고기온 27도, 당분간 평년보다 따뜻 랭크뉴스 2025.04.17
44953 캘리포니아 "트럼프 관세는 불법"… 주정부 최초로 관세소송 제기 랭크뉴스 2025.04.17
44952 유럽은 미국 대신 중국과 손을 잡을까?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4.17
44951 트럼프, 美·日 관세 협상 시작…“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50 일본 관세 협상단 트럼프 예방으로 협상 일정 시작…트럼프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49 [금융뒷담] “키움 먹통, 보상도 전에 무료 이벤트?” 뿔난 개미들 랭크뉴스 2025.04.17
44948 부모·처자식 등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오늘 오후 구속심사 랭크뉴스 2025.04.17
44947 “꽃샘추위 물러나니 초여름 날씨 찾아 오네” 랭크뉴스 2025.04.17
44946 선착순 1.6만명 벌써 마감…신한銀 '이 계좌' 뭐길래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7
44945 미일 관세 협상 개시... 일본 대표단 만난 트럼프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44 축제장서 도시락·떡 먹은 103명 식중독 의심 증세···19명 입원 랭크뉴스 2025.04.17
44943 이재명, 타임지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선정 랭크뉴스 2025.04.17
44942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유력…교육부 오늘 발표 랭크뉴스 2025.04.17
44941 英대법 “법적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으로 태어난 사람” 랭크뉴스 2025.04.17
44940 민주당, 오늘 명태균 특검법·내란 특검법·상법 개정안 등 재표결 시도 랭크뉴스 2025.04.17
44939 ‘韓 재판관 지명’ 헌재가 직접 제동… 대선 차출론에도 영향? 랭크뉴스 2025.04.17
44938 [인터뷰] 나경원 "韓대행은 결국 용병…대권 욕심에 국익 망쳐선 안돼" 랭크뉴스 2025.04.17
44937 ‘한덕수 대망론’ 커지는데…재판관 지명 효력정지에 당혹스러운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