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SSD 가격 인상 움직임… 관세 부담은 빅테크·유통사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 가격 정책에 변동 없다”
“마이크론, 관세 인상 고객사에 전가 통보”

SK하이닉스의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PC용 SSD 제품 'PCB01'./SK하이닉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각) 발표한 상호 관세 발효로 낸드플래시 기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 일부 반도체 제품에 관세 부과가 시작된 가운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현재 가격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발 관세에 영향을 받는 제품군은 기업용 SSD, 메모리 모듈 등으로 대부분 미국 현지 IT 기업과 유통업자 등이 관세를 부담하게 돼 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전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계약을 맺은 현지 고객사들이 관세 인상에 따른 부담을 지는 것이 계약의 조건인 것이다. 다만 미국 IT 기업들은 관세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을 이유로, 추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단가 인하를 요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부 SSD, 메모리 모듈 제품군이 트럼프발 관세의 영향권에 들어갔지만 당분간은 가격 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을 방침이다. 이에 관세 인상에 따른 부담은 자연스럽게 북미 현지 고객사와 유통업체에 전가되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에 정통한 관계자는 “관세를 누가 부담할지는 고객사와의 계약마다 다르다”며 “다만 관세는 보통 수입업자가 부담하기 때문에 미국 고객사 쪽에서 가격을 인상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 역시 “당장 가격 정책에 변동은 없다”며 “추후에 발효될 반도체 상호 관세 발표에 따라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미국 마이크론은 적극적으로 관세 인상에 따른 제품 가격 조정에 나서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8일(현지시각) 일부 제품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관세 인상에 따른 비용 증가분을 고객들에게 전가하는 것이다.

마이크론은 중국과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에 공장을 두고 아시아 지역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에 들여온다. 반도체는 지난 2일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메모리 모듈과 SSD 등은 다른 제품과 마찬가지로 관세가 적용됐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역시 당장은 관세 인상에 따른 피해가 크지 않지만, 상황이 지속될 경우 공급가 인하 압박이 커지게 될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인프라 확충에 필요한 SSD 구매 비용이 커지면서 북미 메모리 수요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북미 주요 고객사들은 투자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공급 단가 인하를 요청해 올 가능성이 높다.

다만 미국 내 AI 투자 열풍에 찬물을 끼얹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반도체에는 다소 보수적인 접근을 택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현재 미국 내 메모리 반도체 공장은 마이크론이 보유한 소규모 팹뿐인데, 주로 D램을 생산하며 전체 생산량에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며 “사실상 미국 역시 메모리 반도체 전량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구조라 관세 장벽은 IT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자충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SSD에 대한 추가 요금은 기업용 SSD 시장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PC, 노트북, SSD 단품 등 IT 기기의 전방위적인 인플레이션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한편 로이터통신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마이크론처럼 미국 고객들에게 관세를 스스로 해결하라는 입장을 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의 한 낸드 모듈 제조업체 임원은 “세금을 부담하고 싶지 않다면 제품을 배송할 수 없다”며 “이런 세율로는 어떤 회사도 ‘내가 부담하겠다’고 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12 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체포저지 관련 랭크뉴스 2025.04.16
44511 3년 지나면 327억 사라진다…내 건보료 환급금 확인하는 법 랭크뉴스 2025.04.16
44510 트럼프 ‘관세 폭탄’ 혼돈의 장세에서 월스트리트는 웃었다 랭크뉴스 2025.04.16
44509 “역시 이자 장사가 최고” 은행권 중심 금융지주 순이익 역대 최고 기록 랭크뉴스 2025.04.16
44508 美, 엔비디아 ‘H20 칩 中 수출’ 제한 통보… “1분기 7.8조원 가량 손실” 랭크뉴스 2025.04.16
44507 [단독] '고성국TV' '뉴스공장' 편 가르기 여론조사 뚝딱…극단의 진영 스피커 ‘유튜브’ 랭크뉴스 2025.04.16
44506 李, 세월호 11주기에 "열한번째 봄, 국민안전 국가책임 바로세워야" 랭크뉴스 2025.04.16
44505 [단독] 여자화장실에 몰래카메라‥아동센터 20대 남자 직원 입건 랭크뉴스 2025.04.16
44504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다 바꾸겠다... 위생관리 등 전면 쇄신" 랭크뉴스 2025.04.16
44503 “망언이라더니” 국힘 ‘주 4.5일제’ 꺼내자 소환된 ‘이 책’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6
44502 딥시크에 쓰인 ‘엔비디아 H20 칩’ 중국에 수출 제한 랭크뉴스 2025.04.16
44501 [속보] "최상목, 내주 방미…美재무장관, 통상현안 회의 제안" 랭크뉴스 2025.04.16
44500 ‘일본’ 제치고 ‘헐리우드’와 경쟁...K콘텐츠의 위용 랭크뉴스 2025.04.16
44499 ‘관세 유예’ 발표 직전 ‘풀매수’…트럼프 충성파 의원의 신박한 재테크 랭크뉴스 2025.04.16
44498 "늑대 아냐"…입마개 안한 대형견 세마리 쇼핑몰 활보, 주인 해명은 랭크뉴스 2025.04.16
44497 인천 부평 횡단보도서도 땅꺼짐 현상…차량 통제 랭크뉴스 2025.04.16
44496 美, 엔비디아 'H20 칩 中 수출' 제한 통보…'중국 압박' 강화 랭크뉴스 2025.04.16
44495 [단독] 여론조사 경선 개선 연구 '0'...양당 정책연구소는 '선거 승리 전략'만 랭크뉴스 2025.04.16
44494 "정말 불안해서 못 살겠네"…이번엔 인천 부평역 횡단보도서 '싱크홀' 랭크뉴스 2025.04.16
44493 김두관측 "무소속 출마도 고민중…국힘 비명 빅텐트엔 참가 안해"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