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SSD 가격 인상 움직임… 관세 부담은 빅테크·유통사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 가격 정책에 변동 없다”
“마이크론, 관세 인상 고객사에 전가 통보”

SK하이닉스의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PC용 SSD 제품 'PCB01'./SK하이닉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각) 발표한 상호 관세 발효로 낸드플래시 기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 일부 반도체 제품에 관세 부과가 시작된 가운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현재 가격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발 관세에 영향을 받는 제품군은 기업용 SSD, 메모리 모듈 등으로 대부분 미국 현지 IT 기업과 유통업자 등이 관세를 부담하게 돼 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전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계약을 맺은 현지 고객사들이 관세 인상에 따른 부담을 지는 것이 계약의 조건인 것이다. 다만 미국 IT 기업들은 관세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을 이유로, 추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단가 인하를 요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부 SSD, 메모리 모듈 제품군이 트럼프발 관세의 영향권에 들어갔지만 당분간은 가격 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을 방침이다. 이에 관세 인상에 따른 부담은 자연스럽게 북미 현지 고객사와 유통업체에 전가되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에 정통한 관계자는 “관세를 누가 부담할지는 고객사와의 계약마다 다르다”며 “다만 관세는 보통 수입업자가 부담하기 때문에 미국 고객사 쪽에서 가격을 인상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 역시 “당장 가격 정책에 변동은 없다”며 “추후에 발효될 반도체 상호 관세 발표에 따라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미국 마이크론은 적극적으로 관세 인상에 따른 제품 가격 조정에 나서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8일(현지시각) 일부 제품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관세 인상에 따른 비용 증가분을 고객들에게 전가하는 것이다.

마이크론은 중국과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에 공장을 두고 아시아 지역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에 들여온다. 반도체는 지난 2일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메모리 모듈과 SSD 등은 다른 제품과 마찬가지로 관세가 적용됐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역시 당장은 관세 인상에 따른 피해가 크지 않지만, 상황이 지속될 경우 공급가 인하 압박이 커지게 될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인프라 확충에 필요한 SSD 구매 비용이 커지면서 북미 메모리 수요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북미 주요 고객사들은 투자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공급 단가 인하를 요청해 올 가능성이 높다.

다만 미국 내 AI 투자 열풍에 찬물을 끼얹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반도체에는 다소 보수적인 접근을 택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현재 미국 내 메모리 반도체 공장은 마이크론이 보유한 소규모 팹뿐인데, 주로 D램을 생산하며 전체 생산량에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며 “사실상 미국 역시 메모리 반도체 전량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구조라 관세 장벽은 IT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자충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SSD에 대한 추가 요금은 기업용 SSD 시장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PC, 노트북, SSD 단품 등 IT 기기의 전방위적인 인플레이션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한편 로이터통신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마이크론처럼 미국 고객들에게 관세를 스스로 해결하라는 입장을 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의 한 낸드 모듈 제조업체 임원은 “세금을 부담하고 싶지 않다면 제품을 배송할 수 없다”며 “이런 세율로는 어떤 회사도 ‘내가 부담하겠다’고 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83 국민의힘 의원 4명, 김문수 지지 선언‥박수영 "정권재창출 적임자" 랭크뉴스 2025.04.16
44582 용인서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사기 분양으로 큰 채무 졌다" 랭크뉴스 2025.04.16
44581 상처만 남은 의대 증원...결국 백지화? 랭크뉴스 2025.04.16
44580 백종원 더본코리아 “다 바꾸겠다”…잇단 논란에 전면 쇄신 선언 랭크뉴스 2025.04.16
44579 무역전쟁 속 中 1분기 성장률 5.4%…시장 전망치 웃돌아 랭크뉴스 2025.04.16
44578 최상목 청문회…"마은혁 미임명 헌법 형해화"·"스토킹 탄핵" 랭크뉴스 2025.04.16
44577 ‘초고속 산불’ 피해 재발 막는다···화선도달 5시간 이내 위험구역 즉시 대피 랭크뉴스 2025.04.16
44576 경찰, 대통령실·공관촌 압수수색 시도…'체포저지' 尹 정조준(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6
44575 티아라 전 멤버 이아름씨, 사기 혐의로 징역형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16
44574 “별다른 대응 전략 無” 트럼프 관세 대책에 제조업체 42%의 답,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6
44573 “지하철 가방 조심!”…사라진 줄 알았던 지하철 소매치기, 2년간 587건 발생 랭크뉴스 2025.04.16
44572 “불덩이 내려놓자” 국힘서 커지는 ‘尹 결별’ 목소리 랭크뉴스 2025.04.16
44571 [속보] 서경호 침몰 67일 만에 여섯 번째 실종자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570 '5억 안 주면 사생활 유포'... 유명가수 협박범 결국 구속기소 랭크뉴스 2025.04.16
44569 김재섭 "윤석열 전 대통령과 결별 않고 승리할 방법 없어" 랭크뉴스 2025.04.16
44568 용인 일가족 5명 살해 50대 “과다 채무·소송 괴로웠다” 진술 랭크뉴스 2025.04.16
44567 유정복 “이제 윤석열 잊자” 국힘 주자 중 유일하게 탈당·출당 거론 랭크뉴스 2025.04.16
44566 "국힘, '탄핵의 강' 건너지 않고는 '드럼통' '反이재명 빅텐트' 안 먹힐 것" 랭크뉴스 2025.04.16
44565 경찰, 대통령실‧공관촌 압수수색 착수…비화폰 서버 확보 시도 랭크뉴스 2025.04.16
44564 이재명 후원금 모금 하루만에 마감…29억4000만원 채워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