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韓 포함 80여개국 대상 고율 부과
미국 “협상 열려 있다” 밝혔지만…국가별 입장차로 난항 전망
中·EU는 강대강 맞대응 시사…글로벌 통상질서 흔들릴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질적인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예고했던 국가별 상호관세가 9일 0시 1분(미 동부 현지 시각) 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갔다.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에 고율의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면서 ‘트럼프 관세’로 촉발된 세계 경제의 혼란과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은 지난 5일 기본 상호관세 10%를 일괄 부과한 데 이어 이날부터는 국가별로 최소 11%에서 최대 50%까지 차등 상호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25% 관세 대상에 포함됐으며, ▲베트남(46%) ▲태국(36%) ▲대만(32%) ▲일본(24%) ▲EU(20%) 등도 고율의 관세를 부과받았다. 특히 캄보디아는 49%로 ‘최악의 침해국(worst offenders)’ 중 하나로 분류됐다.

중국은 이보다 더 높은 104%의 관세가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지만 중국이 보복 조치를 취하자 지난 8일 추가로 50%포인트를 올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여기에 앞서 부과된 ‘펜타닐 유입 차단 미협조’ 명분의 20% 관세까지 더해졌다.

다만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캐나다와 멕시코는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나라에 25%의 관세를 적용했으나, 북미무역협정(USMCA)에 따라 일부 품목은 여전히 무관세로 유지된다.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이미 품목별 관세가 적용된 항목과 의약품, 반도체 등 트럼프 대통령이 별도로 관세 부과를 예고한 품목은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미국 정부는 관세 부과와 동시에 각국과의 맞춤형 협상에도 본격 착수할 방침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70개 가까운 국가 중 동맹인 한국과 일본을 우선적으로 협상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관세뿐 아니라 비관세 장벽, 방위비 분담 등 비통상 이슈까지 포함하는 ‘원샷 협상’을 추진 중이다.

이른바 ‘미국 우선주의’를 관철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무역 상대국들이 제시하는 해법과 미국이 요구하는 조건 사이의 간극이 커 협상은 난항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겠다고 밝힌 이스라엘에 대해서도 “아마도 관세를 낮추지 않을 것”이라며 협상에서 상대국에 추가 양보를 압박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중국은 강경한 맞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고집대로 행동한다면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조치에 대해 즉각 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EU는 자동차 등 공산품 관세 철폐를 조건으로 협상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지만, 협상 결렬 시 강력한 대응 방안을 준비 중이다. 캐나다는 이날부터 미국산 자동차에 25%의 맞불 관세를 적용하며 맞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일부 국가에 개별적으로 관세를 부과해왔으며, 지난 5일부터는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10%의 기본 상호관세를 일괄 시행했다.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으로, 국가별 차등 관세를 통해 무역적자 해소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구상이다.

현재 시행 중인 품목별 관세는 ▲철강·알루미늄 25% ▲자동차 25% 등이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의약품, 반도체, 목재, 구리 등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8 [단독] 신세계센트럴 역세권 활성화 사업 놓고 감사원에 서울시 공익감사 청구 랭크뉴스 2025.04.17
44907 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문다혜씨 오늘 1심 선고 랭크뉴스 2025.04.17
44906 “한화, 삼성 다 막혔는데 여긴 왜?” 이재명 테마株 속전속결 유증심사 통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905 파월 "관세로 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정책목표 달성 힘들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4904 대전협 박단 “결국 정부가 해결해야···필수의료 동료들 돌아갈 환경 조성이 중요” 랭크뉴스 2025.04.17
44903 불출마 뒤 몸값 뛰는 오세훈… 국힘 경선 주자들 문전성시 랭크뉴스 2025.04.17
44902 국가성평등지수 65.4점…양성평등의식 약화에 첫 '후퇴' 랭크뉴스 2025.04.17
44901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랭크뉴스 2025.04.17
44900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랭크뉴스 2025.04.17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