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백악관 “한국, 일본 동맹 우선 협상”
베센트 재무, 그리어 USTR 대표 등이 협상 주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행정명령 서명을 하기 위해 백악관 이스트룸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국가별 상호관세가 9일(현지시간) 결국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는 우리가 갈취할 차례”라고 선언했다. 동맹인 한국은 25%, 패권 경쟁국인 중국에는 104%의 상호관세 부과가 발효된 가운데 백악관은 동맹국과는 ‘맞춤형’ 협상 의지를 나타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는 9일 0시 1분 공식발효됐다. 중국은 10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베트남 46% 등 서로 다른 관세율이 부과됐다.

트럼프는 상호관세 발효를 앞둔 8일 오후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34%에서 84%로 인상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후 워싱턴DC에서 열린 공화당의회위원회(NRCC) 만찬 행사에서 “많은 나라들은 우리를 엄청나게 갈취했지만, 이제는 우리가 갈취(ripping)할 차례”라고 말했다. 특히 “다른 나라들은 관세를 내고 있으며 지금 중국은 104%를 내고 있다”며 “104%를 생각해보면 터무니없다고 생각하겠지만, 그들은 많은 미국 아이템에 100%나 125%를 부과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는 또 “관세보다 나쁜 것은 비관세 장벽”이라며 “중국은 오늘 통화를 절하한다는 발표를 했다. 그들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를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조만간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악관은 관세 발효 이후에도 각국별 협상은 열어뒀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 해방의 날(상호관세가 발표된 4월 2일) 이후 약 70개국이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 연락을 취해왔다”며 “대통령은 오늘 아침 무역팀을 만나 협상을 요청하는 모든 국가와 맞춤형 무역협상을 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통화한 사실을 직접 거론하기도 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통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정상회담도 ‘협상 사례’로 함께 언급됐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백악관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협상 임무를 맡았다고 설명했다. 레빗 대변인은 관세 협상이 미국 국익을 위한 방향이 돼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그는 “트럼프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것”이라며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했다.

백악관이 직접 거론한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동맹국과의 협상은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각국이 엄ㅊ청난 수의 협상 요청을 보내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가장 긴밀한 동맹이자 교역 파트너 중 일본과 한국 두 국가를 분명히 우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대화(협상 요청)에서 나온 말은 미국 노동자와 농부에게 매우 긍정적이었다”며 “(협상) 테이블에 엄청난 양보안이 올라와 있다”고 전했다. 한국에서는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관세 협상을 위해 이날 워싱턴DC에 도착했다.

다만 백악관이 밝힌 것처럼 협상은 미국의 국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단기간에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레빗 대변인은 이날 협상 마감 시한이 있느냐는 질의에 “대통령은 일을 처리하는 것을 좋아한다”면서도 “대통령은 이 협상이 미국 노동자와 제조업에 좋고, 이들 국가와의 심각한 적자를 해소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했다.

그리어 USTR 대표도 이날 상원 청문회에서 관세 협상과 관련 “상호주의를 달성하고 우리의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는 더 나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열려 있다”면서도 “대통령은 단기에는 면제나 예외를 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중국과의 관세 전쟁 의지도 재확인했다. 레빗은 “보복을 선택하고 미국 노동자에 대한 학대를 두 배로 늘리려는 중국과 같은 국가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중국이 협상을 원한다고 믿고 있다. 다만 그들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른다”며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을 위해 손을 내밀면 엄청나게 관대해질 것이지만, 미국인에게 최선이 되는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재무장관도 중국의 무역 전쟁에서 미국이 유리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날 CNBC방송 인터뷰에서 ““중국이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서 우리가 잃을 게 뭔가”라고 물으며 “우리가 중국에 수출하는 양은 그들이 우리에게 수출하는 양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그건(관세 전쟁) 그들에게 불리한 게임”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8 [단독] 신세계센트럴 역세권 활성화 사업 놓고 감사원에 서울시 공익감사 청구 랭크뉴스 2025.04.17
44907 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문다혜씨 오늘 1심 선고 랭크뉴스 2025.04.17
44906 “한화, 삼성 다 막혔는데 여긴 왜?” 이재명 테마株 속전속결 유증심사 통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905 파월 "관세로 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정책목표 달성 힘들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4904 대전협 박단 “결국 정부가 해결해야···필수의료 동료들 돌아갈 환경 조성이 중요” 랭크뉴스 2025.04.17
44903 불출마 뒤 몸값 뛰는 오세훈… 국힘 경선 주자들 문전성시 랭크뉴스 2025.04.17
44902 국가성평등지수 65.4점…양성평등의식 약화에 첫 '후퇴' 랭크뉴스 2025.04.17
44901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랭크뉴스 2025.04.17
44900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랭크뉴스 2025.04.17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