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백악관 “한국, 일본 동맹 우선 협상”
베센트 재무, 그리어 USTR 대표 등이 협상 주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행정명령 서명을 하기 위해 백악관 이스트룸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국가별 상호관세가 9일(현지시간) 발효된다. 동맹인 한국은 25%, 패권 경쟁국인 중국에는 104%의 관세 부과가 예정된 가운데 백악관은 동맹국과는 ‘맞춤형’ 협상 의지를 나타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8일 브리핑에서 “미국 해방의 날(상호관세가 발표된 4월 2일) 이후 약 70개국이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 연락을 취해왔다”며 “대통령은 오늘 아침 무역팀을 만나 협상을 요청하는 모든 국가와 맞춤형 무역협상을 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통화한 사실을 직접 거론하기도 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통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정상회담도 ‘협상 사례’로 함께 언급됐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백악관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협상 임무를 맡았다고 설명했다. 레빗 대변인은 관세 협상이 미국 국익을 위한 방향이 돼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그는 “트럼프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것”이라며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했다.

백악관이 직접 거론한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동맹국과의 협상은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의 가장 긴밀한 동맹이자 교역 파트너 중 일본과 한국 두 국가를 분명히 우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에서는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관세 협상을 위해 이날 워싱턴DC에 도착했다.

다만 백악관이 밝힌 것처럼 협상은 미국의 국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단기간에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레빗 대변인은 이날 협상 마감 시한이 있느냐는 질의에 “대통령은 일을 처리하는 것을 좋아한다”면서도 “대통령은 이 협상이 미국 노동자와 제조업에 좋고, 이들 국가와의 심각한 적자를 해소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했다.

그리어 USTR 대표도 이날 상원 청문회에서 관세 협상과 관련 “상호주의를 달성하고 우리의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는 더 나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열려 있다”면서도 “대통령은 단기에는 면제나 예외를 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중국에 대한 104% 관세 폭탄도 재확인했다. 레빗은 “보복을 선택하고 미국 노동자에 대한 학대를 두 배로 늘리려는 중국과 같은 국가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며 “그래서 중국에 대한 104% 관세는 발효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중국이 협상을 원한다고 믿고 있다. 다만 그들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른다”며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을 위해 손을 내밀면 엄청나게 관대해질 것이지만, 미국인에게 최선이 되는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재무장관도 중국의 무역 전쟁에서 미국이 유리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날 CNBC방송 인터뷰에서 ““중국이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서 우리가 잃을 게 뭔가”라고 물으며 “우리가 중국에 수출하는 양은 그들이 우리에게 수출하는 양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그건(관세 전쟁) 그들에게 불리한 게임”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13 구청 라디오서 "안아줘요" 말한 후 숨진 공무원…죽음 암시했나 랭크뉴스 2025.04.17
45112 이주호 "3천58명은 정원 아닌 모집인원…2천명 증원은 유지" 랭크뉴스 2025.04.17
45111 '피고인 尹' 법정 모습 언론 통해 공개…재판부, 촬영 허가 랭크뉴스 2025.04.17
45110 공약도 明心 경쟁… 이재명 ‘메머드급 조직’ 움직인다 랭크뉴스 2025.04.17
45109 ‘尹 탄핵·트럼프·산불’...먹구름 낀 韓 경제 랭크뉴스 2025.04.17
45108 [속보] '피고인 尹' 법정 모습 이번엔 공개…재판부 촬영 허가 랭크뉴스 2025.04.17
45107 [속보] ‘피고인 윤석열’ 법정 모습 공개된다… 재판부, 촬영 허가 랭크뉴스 2025.04.17
45106 감사원 "문재인 정부 집값 통계 102차례 조작‥소득·고용도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5105 “대국민 사기” 의대 증원 원점에 중환자 분노 랭크뉴스 2025.04.17
45104 다이아몬드, '삼진 아웃' 당했다...마지막 공은 트럼프 관세 랭크뉴스 2025.04.17
45103 대통령실 세종 간다?‥"용산은 내란 본거지" "청와대는 불가" [맞수다] 랭크뉴스 2025.04.17
45102 '3.6조→2.3조' 한화에어로 유증 또 퇴짜…금감원 2차 제동 랭크뉴스 2025.04.17
45101 김동연, ‘비동의 강간죄 도입’ 공약···민주당 후보 중 유일? 랭크뉴스 2025.04.17
45100 "현대식 고문 의자" 비명 터졌다…中항공사 '초슬림 좌석'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5099 감사원 “문재인 정부, 집값통계 102회 조작”…감사 최종결과 발표 랭크뉴스 2025.04.17
45098 대치동 은마아파트, 46년 만에 49층·5962세대로 재건축 랭크뉴스 2025.04.17
45097 120억 별장 산 포르쉐 회장…산에 '개인 터널' 뚫으려다 발칵 랭크뉴스 2025.04.17
45096 “협조 안 하면 날린다”…文정부 4년간 집값 통계 102회 조작 랭크뉴스 2025.04.17
45095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으로”…1년여 만에 백지화 랭크뉴스 2025.04.17
45094 국힘 1차 경선, 羅·韓·洪 '토론 배틀'… 김문수·안철수 격돌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