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박3일 도쿄 살펴 올 첫 글로벌 경영
현지 한류열풍에 신사업 발굴 주문
이재현 CJ그룹 회장. 사진제공=CJ

[서울경제]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올해 첫 글로벌 현장 경영으로 일본을 찾아 본격적인 현지 사업 확대를 모색했다. 이 회장은 특히 일본 내 한류 열풍이 K컬처를 전 세계로 확산시킬 결정적인 기회라고 판단하고 CJ올리브영 등 계열사들이 일본에서 신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할 것을 주문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달 2일부터 4일까지 2박 3일간 일본 도쿄를 방문해 CJ올리브영, CJ ENM 등 주요 계열사의 일본 사업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그는 현지 경제 전문가 및 한일 양국의 문화 콘텐츠 전문가 등을 만나 현재 일본에서의 K컬처와 K뷰티 등의 동향을 살피고 이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일본 출장에는 김홍기 CJ주식회사 대표, 이석준 CJ 미래경영연구원장, 윤상현 CJ ENM 대표 등이 동행했다.

이 회장은 일본 유통 채널 관계자들과도 만나 CJ올리브영의 유통망 확대 등 사업 확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가 화상으로 참석했다. 이와 관련해 이 회장은 “일본 내 한류 열풍은 K컬처 글로벌 확산의 결정적인 기회이니 절대 놓치면 안 된다”며 “특히 올리브영의 일본 진출 등 신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하고 현지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이 올해 첫 글로벌 행보로 일본을 선택한 것은 일본에서 MZ세대를 중심으로 한류 열풍이 다시 불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한국 소비자들과 소비 성향이 유사해 글로벌 진출 우선 전략 국가로 꼽힌다. 그중에서도 K뷰티가 가장 가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2~2024년 3년 연속 일본의 화장품 수입국 1위 국가에 한국이 오를 정도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CJ올리브영이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는 만큼 이 회장이 직접 힘을 실어주기 위해 일본을 찾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CJ올리브영은 지난해 5월 일본법인을 설립했으며 올해 초에는 운영 재원 투입 차원에서 60억 원을 유상증자했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일본을 올해 첫 글로벌 현장 경영 방문지로 선택한 것은 현재 일본 MZ세대 사이에서 거세게 부는 한류 열풍을 기회 삼아 시장을 확대하고 신사업을 모색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2~4일 2박 3일 일정으로 일본 도쿄를 방문해 일본 유통·엔터테인먼트 업계 주요 인사들과 회동하며 일본 사업 본격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장은 이번 일본 출장에서 CJ올리브영의 사업 확대에 가장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유통 채널 관계자들과도 만나 CJ올리브영의 유통망 확대 등 사업 확장 방안을 논의했으며 이 자리에는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가 화상으로 참석했다. 그는 “일본 내 한류 열풍은 K컬처 글로벌 확산의 결정적인 기회이니 절대 놓치면 안 된다”며 “특히 올리브영의 일본 진출 등 신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하고 현지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K뷰티가 일본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데다, CJ올리브영이 일본을 글로벌 진출 우선 전략 국가로 선정하고 일본법인을 설립하는 등 현지에서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매년 초 성과를 낸 계열사를 방문해 현장 경영과 임직원 격려를 진행하는데 지난해 CJ올리브영을 찾을 정도로 애정을 보이고 있다.

CJ올리브영은 해외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CJ올리브영의 지난해 해외 매출액은 1945억 원으로 전년 대비 73%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국내 매출액(4조 5807억 원)이 훨씬 크지만 성장률을 비교하면 국내(22%)에 비해 해외 매출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일본이 이 같은 해외 매출 견인에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일본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한국 소비자들과 소비 성향이 유사하다. 특히 2022~2024년 3년 연속 일본의 화장품 수입국 1위 국가에 한국이 오를 정도로 K뷰티에 대한 인기가 뜨겁다. CJ올리브영에 따르면 지난해 ‘올리브영 글로벌몰'에서 일본발 매출은 전년 대비 25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론칭한 올리브영 글로벌몰은 해외에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역직구몰로 전세계 150여 개국에서 접속할 수 있다.

올리브영의 자체 브랜드(PB)도 일본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CJ올리브영은 10여 개의 자체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 중 △바이오힐보 △딜라이트프로젝트 △브링그린 △필리밀리 △웨이크메이크 △컬러그램 △케어플러스 등을 일본에 선보였다. 이들 PB 제품은 라쿠텐과 큐텐 등 주요 온라인몰을 비롯해 로프트, 플라자 등 대표적 생활 잡화점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데, 현지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2020~2023년 연 평균 매출액 증가율 125%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리브영은 일본에서 PB 상품이 입점되는 매장을 늘리고 글로벌몰의 인지도를 높이는 등 온·오프라인 전방위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이번 출장에서 일본 내 엔터테인먼트 사업 확장도 들여다 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출장에 김홍기 CJ주식회사 대표와 이석준 CJ 미래경영연구원장 외에 윤상현 CJ ENM 대표가 동행한 것도 이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CJ ENM은 이미 2019년 일본의 연예 기획사 요시모토 흥업과 함께 공동 기획사 ‘라포네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고 ME:I(미아이)와 JO1 등 다양한 아이돌들을 데뷔시키는 등 일본 엔터사업에서 큰 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음악사업을 넘어 일본 주요 지상파 방송사인 TBS와 공동 제작한 서바이벌 예능 프로그램 ‘무한루프'를 선보이는 등 현지 방송사 및 제작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드라마 및 예능 제작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달 CJ ENM 주주총회에서 윤 대표가 올해를 글로벌 시장 확장의 원년으로 선언하고,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한 것도 이 회장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65 산불 잿더미 두고…경북지사 이철우, 대선 출마하려 휴가 랭크뉴스 2025.04.09
46064 딸 40년 성폭행하고, 손녀까지 건드린 70대…판사도 "개탄스럽다" 랭크뉴스 2025.04.09
46063 '청와대 습격' 北무장공비 출신 김신조 목사 83세로 별세 랭크뉴스 2025.04.09
46062 ‘트럼프 관세’ 부담 지는 美 빅테크·유통업체…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가격 정책 변동 없어 랭크뉴스 2025.04.09
46061 마트서 '무시당했다' 오해…복수심에 계산원 살해 시도한 20대 랭크뉴스 2025.04.09
46060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조용히 웃는다… 주목받는 '뜻밖의 승자들' 랭크뉴스 2025.04.09
46059 SK, SK실트론 매각 추진…최태원 지분은 제외 랭크뉴스 2025.04.09
46058 국힘 대선 후보군 벌써 15명…'절대 강자' 없자 너도나도 "출마" 랭크뉴스 2025.04.09
46057 3D 프린터로 인공뼈도 뽑아낸다··· 안와 골절 복원에 효과적 랭크뉴스 2025.04.09
46056 여성단체, 장제원 수사 결과 발표 촉구… 고소인 "이대로 종결 원치 않아" 랭크뉴스 2025.04.09
46055 美, 중국·홍콩발 소액소포 관세 90%로 인상…테무 등 직격탄 랭크뉴스 2025.04.09
46054 감사원 "대통령 관저 이전 문제점 포착‥곧 실지 감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09
46053 '정치자금법 위반' 명태균·김영선 보석 허가…"방어권 보장"(종합) 랭크뉴스 2025.04.09
46052 [단독] '尹 창설' 드론작전사령관도 이재명 캠프로... 예비역 장성 50명 지지 선언도 랭크뉴스 2025.04.09
46051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현실로? ‘살인 예측’ 프로그램 개발 중인 영국 랭크뉴스 2025.04.09
46050 [속보] 창원지법,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명태균·김영선 보석 허가 랭크뉴스 2025.04.09
46049 ‘청와대 습격사건’ 北 무장공비 출신 김신조씨 별세 랭크뉴스 2025.04.09
46048 [속보] 창원지법, 명태균·김영선 전 의원 보석 결정 랭크뉴스 2025.04.09
46047 'HBM 점유율 70%'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제치고 D램 점유율 1위 차지 랭크뉴스 2025.04.09
46046 [속보] 법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명태균·김영선 전 의원 보석 허가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