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규모 추경 팬데믹 당시 2차례 이어 세 번째…세수 결손 30조 여파


지난해 나라살림 적자가 또 100조원을 넘어섰다. 역대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지난해 3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세수 결손으로 세입이 줄어든 여파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도 확대되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다시 4%를 넘었다. 1년 전보다 악화된 것으로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재정건전성’ 약속을 못 지킨 것이다.

정부가 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2024 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보면, 총수입(594조5000억원)에서 총지출(638조원)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43조5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국민연금 등 보장성 기금 수지 흑자(61조2000억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104조8000억원 적자로 나타났다. 1년 전(87조원 적자)보다 관리재정수지가 크게 악화됐다.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100조원을 넘어선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이 집행된 2020년(112조원), 2022년(117조원)에 이어 세 번째다.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도 4.1%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증가했다. 3% 내외로 관리하겠다는 정부의 목표에서 한참 벗어나 있다.

정부는 지난해 30조8000억원의 세수 결손으로 세입이 예상보다 크게 줄어든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국가채무비율은 소폭 낮아졌다. 국가채무는 1175조2000억원이었다. 1년 전보다 48조5000억원 늘었지만, 당초 예산 전망치(1195조8000억원)보다는 20조5000억원 줄었다.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46.1%로 1년 전(46.9%)보다 0.8%포인트 감소했다. 국가채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원화외평채(12조8000억원)를 본예산보다 19조2000억원 적게 발행한 영향이라고 기획재정부는 설명했다.

다만 국채 발행을 줄인 것은 각종 기금에서 재원을 빼 쓰는 ‘기금 돌려막기’의 영향도 있다. 정부는 지난해 세수 결손을 메우기 위해 기금·특별회계기금을 약 17조원 끌어다 썼다. 특정 목적으로 쓰여야 할 기금의 본래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정부의 총세입은 535조9000억원, 세출은 529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월액(4조5000억원)을 차감한 세계잉여금은 2조원이었다. 세계잉여금에서 특별회계분을 빼면 추경 재원으로 쓸 수 있는 것은 2000억원 수준이다.

지난해 국민연금 수익률(15.0%)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국가순자산은 65조6000억원 늘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22 "3개월 만에 재산 5000억 늘어" 방시혁, 43개 기업 중 '1위'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09
46021 이재명 “대선 직전…재판 빼달라” vs 법원 “이미 많이 빠졌다” 랭크뉴스 2025.04.09
46020 "이완용 이은 최악 벼슬아치"…한덕수 '매국노' 빗댄 민주당 랭크뉴스 2025.04.09
46019 독수리 타자로 코딩하는 10대들 [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4.09
46018 국민의힘 "민주 '헌법재판관 지명' 가처분 신청 시 법적조치" 랭크뉴스 2025.04.09
46017 삼성반도체, 중국 사업 중단?…가짜 뉴스에 적극 해명 나서 랭크뉴스 2025.04.09
46016 [속보] 미국, 한국 25% 등 상호관세 발효…중국엔 104% 랭크뉴스 2025.04.09
46015 美 관세 부과에 코스피 1년 5개월 만에 2300 붕괴…외국인 매도 행진 [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4.09
46014 금양·삼부토건 등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57곳, 상장폐지 위기 랭크뉴스 2025.04.09
46013 韓 25%, 中 104% 상호관세 부과… 코스피, 결국 2300선 깨졌다 랭크뉴스 2025.04.09
46012 북 좌석은 빈 채로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447억 손배소 재판 3분 만에 종료 랭크뉴스 2025.04.09
46011 [속보] 미국 상호관세 발효‥중국에는 추가관세 포함 104% 관세폭탄 랭크뉴스 2025.04.09
46010 美상호관세 발효… 중국 104% 부과 시작 랭크뉴스 2025.04.09
46009 백악관 “보복관세, 감사하셔야죠…27년 전 낸시 펠로시 말에 트럼프가 응답”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9
46008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일부 제품에 ‘트럼프 관세’ 요금 부과하기로 랭크뉴스 2025.04.09
46007 한화 김승연,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1분기에만 2377억 ↑ 랭크뉴스 2025.04.09
46006 美상호관세 발효, 본게임 시작…협상 키워드는 '맞춤형·원스톱' 랭크뉴스 2025.04.09
46005 ‘마스크 대란’ 50억 원대 사기범…5년 만에 처벌 랭크뉴스 2025.04.09
46004 우원식 “대선 동시투표 개헌 어려워져…대선 후 논의하자” 랭크뉴스 2025.04.09
46003 이철우 경북지사, 대선 출마선언…“새로운 박정희 될 것”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