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지난달 서울 강동구 도로 한복판에서 '땅 꺼짐' 사고가 발생하고,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라고 걱정하시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그런데 서울시가 지난해 각 자치구에 의뢰해 고위험지역 50곳을 정부에 보고한 사실이 MBC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어딜까요? 서울시는 불안감만 조성할 수 있다며 고위험 지역을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저희는 안전에 관한 정보는 미리 알고 대비해야 한다는 점과 관련법의 취지를 고려해 해당 지역을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원석진 기자가 단독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도로 한가운데 순식간에 커다란 구멍이 뚫리고, 달리던 오토바이가 그대로 추락합니다.

도로 아래에서 지하철 공사를 하던 노동자들은 물이 새는 걸 보고 대피했지만, 배달을 하던 30대 운전자는 피하지 못하고 숨졌습니다.

서울 연희동에서도 3차로를 달리던 차량이 갑자기 생긴 구멍 아래로 떨어지면서, 운전자 부부가 크게 다쳤습니다.

서울의 '땅 꺼짐' 신고는 2022년 67건에서 지난해 251건으로 2년 만에 4배 가까이 크게 늘었습니다.

'땅 꺼짐' 현상은 낡은 상하수도관에서 물이 새거나 지하 공사 도중 지하수가 유출돼, 주변 토사가 휩쓸려 빈 공간을 만들면서 주로 발생합니다.

그런데 서울시가 지난해 10월 각 자치구에 의뢰해 지반 침하 우려가 큰, '땅 꺼짐' 고위험지역 50곳을 정부에 보고한 사실이 MBC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광진구가 22곳으로 가장 많았고 종로구 9곳, 금천구 7곳, 성동구와 구로구가 3곳, 강남구와 노원구·마포구에서도 2곳이 포함됐습니다.

'땅 꺼짐' 고위험지역 전체 길이는 무려 45km에 달합니다.

현장을 전문가와 함께 찾아가 봤습니다.

제가 나와있는 이곳, 강남 압구정동을 관통하는 왕복 8차선 도로입니다.

이 도로도 서울시 지반 침하 고위험지역에 포함됐습니다.

언주로 6.7km 구간과 선릉로 6.3km 구간은 지반 침하 사고 발생 빈도가 높다는 이유로 선정됐는데, 한강을 매립해 만든 저지대일수록 지반이 약해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박창근/가톨리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충적층(하천 활동으로 굳지 않은 퇴적층)과 지하수가 잘 발달되어져 있는데 거기에 지하 공사를 하면, 관리를 잘못하면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겁니다."

침수 피해가 빈번했거나 취약한 곳,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가 진행 중인 도로도 고위험지역으로 꼽혔습니다.

하지만 서울시는 "자치구에서 자체 파악한 것으로 일부 사유지도 포함돼 있다"며 고위험지역 목록을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강의석]
"위험하다 그러면 당연히 공개를 하고 그런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경계를 해야 될 일이지 그걸 숨긴다는 게 말이 됩니까?"

충분히 조사했는지도 의문이 남습니다.

고위험지역을 서울시에 제출한 자치구는 고작 8곳뿐입니다.

최근 '땅 꺼짐' 현상으로 1명이 숨진 강동구는 아예 단 한 곳도 선정하지 않았습니다.

[김인제/서울시의회 부의장]
"고위험지역에 대한 전수조사를 다시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집값의 안정이라든지 시민들의 불안감 이전에 사고 예방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서울시는 자치구와 별개로 지난해 시내 181개 도로를 분석해 '땅 꺼짐' 위험도를 다섯 등급으로 나눈 지도도 만들었는데, 이 역시 "내부 참고용 자료로 불필요한 오해를 조성할 수 있다"며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은 "국가와 지자체가 재난이나 사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책무를 지고, 안전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원석진입니다.

영상취재 : 장영근, 최대환

① 〈서울시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 목록〉 (2024.10 각 자치구 취합 후 국토부 보고)
https://image.imnews.imbc.com/pdf/society/2025/04/20250408_1.pdf

② 〈서울시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 지도〉
https://image.imnews.imbc.com/pdf/society/2025/04/20250408_2.pdf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213 中, 자국 항공사에 "美보잉 항공기 인도 중단" 지시 랭크뉴스 2025.04.15
44212 용인 아파트서 부모·처자식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가장 체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4211 中, 자국 항공사에 "美보잉 항공기 인수 중단" 지시 랭크뉴스 2025.04.15
44210 홍준표, 유승민 행보 묻자 “몰상식한 질문”…또 기자 면박 주기 랭크뉴스 2025.04.15
44209 부모·아내·두 딸까지 5명 살해…용인 5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4.15
44208 “일베나 알까”…‘이재명 드럼통’ 극우 언어 퍼나르는 나경원 랭크뉴스 2025.04.15
44207 이국종 작심발언 "입만 터는 문과X들이 해먹는 나라…탈조선해라" 랭크뉴스 2025.04.15
44206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생고기 방치 의혹’도 경찰 고발 랭크뉴스 2025.04.15
44205 [이슈+] "판사가 직업이 전직 대통령이죠? 처음 봐"‥불신 자초한 지귀연 판사 랭크뉴스 2025.04.15
44204 사업 실패 비관... 부모·처자식 5명 살해한 50대 가장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4203 [속보]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등급 전망 '안정적' 랭크뉴스 2025.04.15
44202 [단독] 감사원, 검사 중간 발표한 금감원 비밀유지 위반 검토 랭크뉴스 2025.04.15
44201 [단독]‘주 4.5일’ 공약하면서 직원들에겐 법정 노동시간 넘겨 일하라는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4.15
44200 부모·아내·자녀까지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가장, 살해 원인은 ‘사업실패 비관’ 추정 랭크뉴스 2025.04.15
44199 용인에서 일가족 5명 숨진 채 발견‥50대 가장 '살인 혐의'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4198 “이재명 드럼통” 나경원에…‘극우의 언어로 공포 정치’ 비판 랭크뉴스 2025.04.15
44197 미국, 한국 포함 ‘민감국가 리스트’ 시행…정부 “언제 해제될지 몰라” 랭크뉴스 2025.04.15
44196 [속보] 김성훈 경호차장 “사퇴하겠다”…초유의 연판장에 백기 랭크뉴스 2025.04.15
44195 “테마주 조작”“어이없다”…국힘 주자들, 일제히 한덕수 때렸다 랭크뉴스 2025.04.15
44194 용인 아파트서 부모·처자식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가장 검거(종합)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