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기업 피해 경감 稅 공제 두고
경제팀 "관세 탓 인정하냐" 분열
머스크, 관세설계자 나바로 설전
"헛소리" 당 후원 기업인도 비판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정책에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가운데 미국 내부에서도 균열이 감지되고 있다.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뜻을 굽히지 않고 오히려 ‘보복에는 더 센 관세’로 맞서며 상황을 악화시키자 트럼프 지지 기반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 안팎에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행정부 내부는 물론 트럼프의 ‘충성스러운 지지자’였던 기업인들과 인플루언서, 심지어 공화당 의원들까지 이례적으로 관세정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나섰다.

7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는 관세로 인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수출 업체 세금 공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는 미국 제조 업체들이 해외시장에서 상품을 판매할 때 보복관세에 따른 피해를 줄여주기 위한 것이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 경제팀 내에서 이 안건을 두고 의견이 갈린 것으로 알려졌다. 세금 공제를 도입하는 것 자체가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미국 기업들에 해를 끼칠 수 있음을 암묵적으로 인정하는 모양새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해당 아이디어가 트럼프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공식 브리핑되지 않았다는 점도 논란을 키우고 있다. 블룸버그는 “행정부 내에서 이 안건을 두고 벌이는 갈등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고문 중 일부가 그의 무역정책 건전성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짚었다.

트럼프와 최강 브로맨스를 자랑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관세 문제를 놓고 연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머스크 CEO가 주말 동안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관세정책 수정을 설득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한 불만으로 자신의 X(옛 트위터)에 트럼프 관세정책의 설계자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판하는 글을 썼다는 해석도 덧붙였다. 그는 최근 한 네티즌이 ‘나바로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그의 X에 쓰자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는 좋은 게 아니라 나쁜 것”이라며 “자아(ego)가 두뇌(brains)보다 큰 문제로 귀결된다”고 비꼬았다.

‘집 안’ 못지않게 ‘집 밖’도 시끄럽다. 그동안 참아왔던 월가의 기업인·금융인, 그리고 그의 승리에 한 몫을 톡톡히 한 인플루언서들이 관세정책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그동안 많은 기업인들은 소송, 예산 삭감 등 트럼프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공개적인 정책 비판을 삼가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반감이 그만큼 크다는 방증으로 읽힌다.

인테리어 업체인 홈디포의 공동창립자이자 오랜 공화당 후원자인 켄 랭곤은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대통령이 잘못된 조언을 받고 있다”며 “베트남 상호관세 46%는 헛소리”라고 작심 발언을 했다. 이어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 34%도 너무 공격적이고 성급했다”며 “그 빌어먹을 관세 계산법을 이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베선트 재무장관의 멘토인 억만장자 투자자 스탠리 드러켄밀러도 X에 “10%를 초과하는 관세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글을 올리며 의견을 표명했다. 이 밖에도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CEO, 행동주의 투자자 빌 애크먼 등이 반대 입장을 공식적으로 드러냈다.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 미 최대 우파 팟캐스트 운영자 벤 셔피로 역시 “대통령의 국제무역에 대한 비전은 유감스럽게도 잘못됐다”며 “이것은 미국 소비자에 대한 대규모 증세, 역사상 소비자에 대한 가장 큰 증세 중 하나”라고 비판했다.

WP는 최근의 ‘팀 트럼프’ 안팎의 갈등과 불만 폭발 상황을 두고 “트럼프 치어리더들 사이의 균열”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이는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제 혼란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지속적인 정치적 상처를 남길 수 있다는 전조”라고 해석했다. 경제적 타격이 클 경우 단기적인 영향을 넘어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 기반 및 향후 선거 등에도 손상을 줄 수 있어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96 입만 열면 '약점' 노출…트럼프 "농부 버티라" "이민자 재입국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6
44595 ‘일가족 살해’ 50대 남성, 혐의 인정…“부동산 분양 실패로 수사받아” 랭크뉴스 2025.04.16
44594 최상목, 다음 주 워싱턴행‥관세 협상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16
44593 美, 엔비디아 저사양 AI칩까지 '中수출 무기한 제한' 랭크뉴스 2025.04.16
44592 까만 래커로 '내란' 낙인 찍혔다…'尹 친필 휘호석' 존치 골머리 랭크뉴스 2025.04.16
44591 침몰 66일 만에···서경호 조타실서 6번째 실종자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590 “박정훈 대령 영장에 허위사실 쓴 군검사, 국방부가 ‘불기소’ 송치” 군인권센터 밝혀 랭크뉴스 2025.04.16
44589 ‘내란’ 칠해진 尹 친필 휘호석, 창원시 존치 여부 고심 랭크뉴스 2025.04.16
44588 국민의힘, 대선 1차 경선 진출자 8명 발표…“경쟁력·부적합 여부 등 심사” 랭크뉴스 2025.04.16
44587 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체포영장 저지 혐의 랭크뉴스 2025.04.16
44586 "이제는 정말 끊어야 하나"…라면·맥주 이어 담배도 가격 인상 랭크뉴스 2025.04.16
44585 “들어가보니 박나래 자택이었다? 거짓말일 것”... 프로파일러의 경고 랭크뉴스 2025.04.16
44584 국힘 ‘1차 경선행’ 김문수·나경원·안철수·양향자·유정복·이철우·한동훈·홍준표 랭크뉴스 2025.04.16
44583 국민의힘 의원 4명, 김문수 지지 선언‥박수영 "정권재창출 적임자" 랭크뉴스 2025.04.16
44582 용인서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사기 분양으로 큰 채무 졌다" 랭크뉴스 2025.04.16
44581 상처만 남은 의대 증원...결국 백지화? 랭크뉴스 2025.04.16
44580 백종원 더본코리아 “다 바꾸겠다”…잇단 논란에 전면 쇄신 선언 랭크뉴스 2025.04.16
44579 무역전쟁 속 中 1분기 성장률 5.4%…시장 전망치 웃돌아 랭크뉴스 2025.04.16
44578 최상목 청문회…"마은혁 미임명 헌법 형해화"·"스토킹 탄핵" 랭크뉴스 2025.04.16
44577 ‘초고속 산불’ 피해 재발 막는다···화선도달 5시간 이내 위험구역 즉시 대피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