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경찰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경찰은 이날 헌재 앞 경계 강화와 헌법재판관에 대한 신변보호 조치를 당분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

" 막판 뒤집기 했다는데, 파묘가 필요하다 "
지난 5일 한 극우 성향 커뮤니티에서 한 누리꾼이 정형식 헌법재판관을 거론하며 올린 글이다. 헌법재판소가 전날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결정하자 일부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정형식·조한창·김복형 재판관을 디지털 ‘파묘’ 대상으로 지목했다. 파묘란 특정인의 개인정보나 과거 언동을 캐내 문제를 제기한단 의미로, 무덤을 고쳐 묻기 위해 묘를 판다는 본래 단어에서 유래했다. 앞서 헌재 심리가 진행되던 중엔 진보 성향으로 분류된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 정계선 재판관 등이 일부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 사이에서 파묘 대상에 올랐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정 재판관 등을 파묘 대상으로 지목한 건 헌재가 재판관 전원일치로 윤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정형식·조한창·김복형 재판관은 일부 보수 성향 층에서 한때 ‘보수의 희망’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보수 또는 중도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이들 재판관 3인이 윤 전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기각 내지 각하 판단을 내리란 근거 없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이 재판관 전원일치로 내려지자 헌재 자유게시판 등 온라인에선 “매국노들에게 양심이 있기는 한가”라는 등 재판관들을 대상으로 한 비방성 글들이 올라왔다.

지난 4일 오전 서울 한남동 윤석열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탄핵 발표 직후 슬퍼하고 있다. 최기웅 기자

헌재의 탄핵 심리는 약 4개월 만에 마무리됐지만 온라인을 중심으로 불신과 갈등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재판관을 향한 근거 없는 비방과 좌표 찍기는 물론 재판관들의 개인 휴대전화 번호로 협박성 문자를 보내거나 헌재 청사 및 재판관 자택 앞 등에서 시위를 벌이기도 한다.

일각에선 정치권이 이런 양상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4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한 의원은 “원래 5(인용) 대 3(기각 또는 각하)이 맞았다. 정 재판관이 마지막에 입장을 바꿔 전원 일치 판결로 이어졌다”고 주장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다. 이에 온라인에선 해당 의원 주장을 바탕으로 ‘인용 5명, 기각 3명’이라고 적힌 문 대행 명의의 가짜 대외비 문서가 퍼지기도 했다.

“인용 5명, 기각 3명”이라고 적힌 문 대행 명의의 가짜 대외비 문서가 온라인상에서 유포됐다. 헌법재판소 측은 “해당 문서는 작성된 적 없다”고 밝혔다. 페이스북 캡처



"재판관 공통 의견, 통합 추구 의지 담긴 것"
사법부 내에서도 사법체제 불신에 대한 우려가 크다. 재경지법의 한 판사는 “이번 탄핵 결정문을 살펴보면 재판관의 공통된 의견으로 통합을 추구하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며 “그런데도 일방적인 정치적 관점에 따라 판결을 불복하는 건 아닐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재경지법의 다른 판사도 “헌재 결정에 불만이 있는 건 이해할 수 있지만, 법관 개인을 향한 공격이 디폴트(기본값)가 된 듯한 상황은 염려스럽다”고 지적했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서로가 서로를 적으로 간주하고 있는 극단적 대립 상황이 파묘나 좌표 찍기 등의 잘못된 행동으로 번지고 있다”며 “시민 스스로 다른 의견을 포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정치권 및 사회 각계에서 대화와 타협을 통해 국민의 의사를 모으는 게 필요하다”며 “소수 의견을 존중하면서 다수를 아우를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631 24시간 스마트폰 없이 살아봤더니… 랭크뉴스 2025.04.16
44630 [단독] 개표소서 뜬 '화웨이 와이파이'는 자작극?…선관위 고발 검토 랭크뉴스 2025.04.16
44629 “만원으로 한 끼 해결?” 김밥이나 짜장면 정도...또 인상 랭크뉴스 2025.04.16
44628 경찰 사격훈련 중 총기 사고…20대 순경 머리 총상에 심정지 랭크뉴스 2025.04.16
44627 이재명 후원금, 첫날에 한도 29억원 다 채워…“99%가 소액후원” 랭크뉴스 2025.04.16
44626 출시 3개월만 1000만개 팔린 이 라면…추억·복고 전략 통했다 랭크뉴스 2025.04.16
44625 "미국에 714조원 투자" 안 통했다... 엔비디아, 중국용 AI 칩 수출 길 막혀 랭크뉴스 2025.04.16
44624 “생고기 트럭 상온에 방치”… 경찰, ‘위생 논란’ 더본코리아 내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16
44623 용인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사기 혐의로 수사받아…“목졸림 추정”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6
44622 ‘내가 20억? 손이 덜덜’… 1등 당첨자 버킷리스트 보니 랭크뉴스 2025.04.16
44621 부산경찰청 사격 훈련 중 오발 사고… 20대 순경 의식 불명 랭크뉴스 2025.04.16
44620 CCTV에 잡힌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직전 모습 랭크뉴스 2025.04.16
44619 경찰 실내사격장에서 총기 오발 사고…20대 순경 중상 랭크뉴스 2025.04.16
44618 ‘오세훈 시장’ 찾은 김·나·안·홍…한동훈 대구행 랭크뉴스 2025.04.16
44617 환율 급등에도 유가 내리니 …수입물가 두 달 연속 하락 랭크뉴스 2025.04.16
44616 피살된 용인 일가족 5명 사인 "전형적인 목 졸림사" 랭크뉴스 2025.04.16
44615 첫 흑자전환 성공한 토스뱅크, 이제 40대 공략 나선다 랭크뉴스 2025.04.16
44614 [단독] 삼성전자, HBM 두뇌 ‘로직 다이’ 테스트 수율 안정권… HBM4 12단 개발 탄력 랭크뉴스 2025.04.16
44613 '수천만 팔로워' 유명 인플루언서, 성폭행 혐의 징역형 확정 랭크뉴스 2025.04.16
44612 코스닥, 2거래일 만에 장중 700선 내줘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