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품수지 81.8억弗 흑자… 전월比 3배로 확대
수출 3.6% 늘어… 반도체 감소에도 IT품목 증가
수입 5개월만에 증가… 반도체장비 33.5% 급증
서비스 32.1억弗 적자·본원소득 26.2억弗 흑자

2월 경상수지가 71억달러가 넘는 흑자를 내면서 1년 10개월째 플러스(+)를 기록했다. 2000년대 들어 세 번째로 긴 흑자다. 반도체 수출 감소에도 컴퓨터 등 정보통신기기(IT) 품목의 수출이 늘면서 전체 수출이 증가로 전환된 영향이 컸다.

경상수지란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다. 한 나라의 기초체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크게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7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뉴스1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2월 경상수지는 71억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2개월 연속 흑자 행진으로, 그 규모는 전월(+29억4000만달러)과 비교해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작년 2월(+64억4000만달러)과 비교해도 7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상품수지(수출-수입)가 전체 흑자를 주도했다. 2월 상품수지 흑자는 81억8000만달러로 집계되면서 전월(25억달러)의 3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1년 전(69억2000만달러)과 비교해도 12억6000만달러 많다.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537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월에는 9.1% 줄면서 1년 4개월 만에 감소로 돌아섰는데, 한 달 만에 증가 전환됐다. 반도체 수출(통관 기준)이 1년 전보다 2.5% 줄면서 1년 4개월 만에 감소 전환됐지만, 컴퓨터(+28.5%), 의약품(+28.1%), 승용차(+18.8%) 등 나머지 품목의 수출이 일제히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수입은 5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2월 수입은 1년 전보다 1.3% 증가한 456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자본재(+9.3%)와 소비재(+11.7%)는 증가했지만 원자재(-9.1%)는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제조장비(+33.5%)와 직접소비재(+15.9%), 반도체(+5.0%), 석유제품(+4.1%) 등은 늘었지만 석탄(-32.7%), 가스(-26.7%), 승용차(-21.0%) 등은 줄었다.

여행·운송·지식재산권 사용료 등의 거래를 포괄한 서비스수지는 32억1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폭은 전월(-20억6000만달러)에서 대폭 확대됐다. 겨울방학 해외여행 성수기가 종료되고 전월의 설 장기연휴 효과가 사라지면서 여행수지 적자 폭(-16억8000만달러→-14억5000만달러)은 작아졌지만,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에 대한 연구개발 관련 지식재산권 사용료 지급이 늘어나면서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1000만달러→-5억8000만달러) 적자 폭이 확대됐다.

임금·배당·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는 26억2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흑자 폭은 전월과 같았다. 배당소득수지 흑자가 19억달러에서 16억8000만달러로 줄었지만, 이자소득수지가 8억8000만달러에서 12억달러로 증가한 영향이다. 배당소득수지는 증권투자 배당소득수입이 줄면서 흑자 폭이 축소됐고, 이자소득수지는 이자소득지급이 줄면서 흑자 폭이 확대됐다.

이전소득수지는 4억1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 폭은 전월(-1억2000만달러)보다 2억9000만달러 확대됐고, 1년 전(-4억1000만달러)과는 같았다. 이전소득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대가 없이 주고받은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의 차이를 의미한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49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는 36억3000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에서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45억5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9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109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132억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22억4000만달러 늘었다.

2월 경상수지. /한국은행 제공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53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랭크뉴스 2025.04.14
43852 고물가 시대, 식당 풍경 바꾼다… 중국산 김치 수입 급증 랭크뉴스 2025.04.14
43851 ‘내란 정권’ 2인자 한덕수로 단일화 드라마 꿈꾸는 국힘 랭크뉴스 2025.04.14
43850 한덕수, ‘관세 유예’ 자화자찬하며 ‘알래스카 LNG 개발’ 급발진 랭크뉴스 2025.04.14
43849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50대 실종자 수색 난항 랭크뉴스 2025.04.14
43848 홍준표 대권 도전 선언‥D-50 대권주자들 영남권 표심 공략 랭크뉴스 2025.04.14
43847 ‘경선룰’ 반발 불출마 잇따라…‘역선택 방지’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43846 “예외다” “아니다”… 혼선의 ‘트럼프 관세’ 랭크뉴스 2025.04.14
43845 김문수는 이문열 영입, 홍준표 캠프엔 배우 이정길…국힘 경선 스타트 랭크뉴스 2025.04.14
43844 광명사거리역서 상수도관 누수로 물 솟아…"지반침하 위험 없어" 랭크뉴스 2025.04.14
43843 반도체 상호관세 면한 애플...팀 쿡 ‘조용한’ 리더십 먹혔나 랭크뉴스 2025.04.14
43842 민주 대선 경선, 이재명·김경수·김동연 ‘3파전’ 구도…김두관 ‘거부’ 랭크뉴스 2025.04.14
43841 양자 대결서 '중도층 과반' 이재명 지지‥국민의힘, 한덕수 차출론 '시끌' 랭크뉴스 2025.04.14
43840 출마 첫 일정 ‘인공지능’ 챙긴 이재명 “100조 투자 ‘AI 기본사회’ 연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9 대선 변수로 떠오른 한덕수…‘반 이재명 연대’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5.04.14
43838 '계엄 정당' 주장 계속‥다음 재판은 21일 랭크뉴스 2025.04.14
43837 "그 돈이면 딴 데 가지"…아이들도 시시해 하던 '레고랜드'서 어른들 비명소리가? 랭크뉴스 2025.04.14
43836 도심 속 13m 여성 누드 조각상…"이런 게 예술? 눈살 찌푸려진다" 랭크뉴스 2025.04.14
43835 10대 소녀 37명 불타죽었다…사과궤짝 위 '악몽의 부검' 랭크뉴스 2025.04.14
43834 재택근무 중 일하는 척 키보드 '2100만번' 톡톡…'월급 루팡' 경찰의 최후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