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주식시장이 급등락을 이어가다가 혼조세로 마감하며 사흘 연속 폭락 장은 피했습니다.
주가는 관세가 유예될 거란 소식에 급등했지만 백악관이 아니라고 밝히자 하락했는데, 관세 정책에 대한 불안감을 그대로 드러냈습니다.
뉴욕 박일중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장 초반 나스닥 지수는 5%까지 하락했습니다.
그런데 채 한 시간도 되지 않아 급격히 오르더니 4% 넘게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부과를 90일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할 거라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한 반응이었습니다.
헤지펀드계의 거물 빌 애크먼이 9일 상호 관세의 부과는 전 세계에 경제적 핵전쟁을 시작하는 거라며 90일 간의 중단이 필요하다고 소셜 미디어에 쓴 게 시발점이었습니다.
하지만 곧바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백악관이 '가짜 뉴스' 즉 허위 정보라고 부인하면서부텁니다.
그래도 주요 주가지수는 아시아와 유럽 주식 시장의 폭락세에도 불구하고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사흘 연속 폭락세는 면했지만 하루 변동 폭이 10%에 가까운 건, 주식 시장이 관세 정책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그대로 보여줬습니다.
불안한 투자 심리에 미국 경기 하락에 대한 경고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경기 둔화 속에 물가는 오르는 스테그플레이션이 그나마 최선의 결과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입니다.
[래리 핑크/블랙록 최고경영자 : "제가 대화한 대부분의 최고경영자는 아마 지금이 침체 상황에 있다고 말할 겁니다. 여러 부분에 걸쳐 실제 상황이 꺾이는 걸 보고 있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미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또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연준의 한 인사는 지금은 물가를 잡는 게 우선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그래픽:서수민/자료조사:최유나 김나영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