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탠퍼드 AI 연구소 AI 인덱스 2025
"미국, 주목할 만한 모델 가장 많지만
중국과 성능 격차 크게 좁아져" 분석
3일 중국 베이징의 한 노점에 미국과 중국 국기가 걸려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세계 인공지능(AI) 시장에서 한국의 존재감은 미미하다는 냉정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공개된 한국산 AI 모델 가운데 주목할 만하다고 평가받은 모델은 단 한 개에 그쳤고, AI 인재마저 해외로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AI 패권 경쟁은 예상대로 미국이 이끌고 중국이 바짝 쫓는 2강 구도로 파악됐다. 미국의 지난해 AI 투자액은 중국보다 11배 이상 많았지만, 이른바 '딥시크 쇼크'가 증명했듯 미중 간 기술력 격차는 크게 좁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 주목할 만한 AI 모델. 그래픽=강준구 기자


한국, 조사 대상 포함에도 '1개'만 꼽혀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 중심 인공지능연구소(HAI)는 7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 인덱스 2025'를 발간했다. 올해로 8회째인 AI 인덱스는 세계 AI 발전 동향을 총망라한 보고서로, 전 세계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AI 업계 분석 자료로 평가된다. 미국·유럽연합(EU) 등의 정책 입안에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주목할 만한(notable) AI'를 최다 배출한 국가는 미국이었다. 주목할 만한 AI 모델은 △인상적인 발전을 보였거나 △AI 능력 평가에서 기존 모델을 압도했거나 △각종 연구 논문에 많이 이용된 모델 등을 기준으로 미국 AI 연구기관 에포크AI가 선별한다. 2003년 이후 줄곧 이 조사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미국은 지난해에도 40개의 주목할 만한 모델을 공개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15개로 뒤를 이었고, 프랑스는 3개였다. 한국과 캐나다, 이스라엘 등은 1개였다. 기업별로는 미국 구글과 오픈AI가 각각 7개로 공동 1위를 기록했고, 중국 알리바바가 6개로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한국은 이름조차 올리지 못했다. 이에 한국 정부와 일부 기업은 "조사 대상에서 한국이 사실상 누락됐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라며 HAI 측에 항의했다. 그 결과 올해 보고서에는 한국이 조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제대로 시행된 이번 조사에서도 주목할 만하다고 꼽힌 한국산 모델은 1개뿐이어서, 한국의 AI 경쟁력이 미국, 중국 등에 크게 밀린다는 평가를 뒤집지는 못했다.

한국 민간 AI 투자액, 10위권 밖으로



국가별 민간 AI 투자액. 그래픽=강준구 기자. 그래픽=강준구 기자


한국의 지난해 민간 부문 AI 투자액은 약 13억 달러(약 1조9,072억 원)로 국가별로는 11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2022년 조사 대상 중 6위를, 2023년에는 9위를 차지하는 등 매년 순위가 밀리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에만 1,091억 달러(159조9,620억 원)를 지출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약 93억 달러(약 13조6,356억 원)로 뒤를 이었으나 미국과는 약 11배 차이를 보였다.

인구 1만 명을 기준으로 AI 인재의 유입 혹은 유출 여부를 보여주는 AI 인재 이동 지표의 경우 한국은 -0.36을 기록했다. 마이너스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AI 인재가 더 많다는 의미다. 미국과 독일, 프랑스, 싱가포르 등이 플러스를 기록한 것과는 대비됐다.

다만 인구당 AI 특허 수는 한국이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지켰다. 2023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AI 특허 수는 한국이 약 17.3건으로, 룩셈부르크(15.3건), 중국(6.1건) 등보다 많았다.

중국과 미국이 인공지능 패권 다툼을 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챗GPT 생성 이미지. 챗GPT 캡처


AI 특허 10건 중 7건은 중국서 나와



HAI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출원된 AI 특허 10건 중 7건(69.7%)은 중국에서 나왔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보고서에서 중국의 비율은 61%였는데, 1년 사이 더 높아졌다. 중국은 2023년 출판된 AI 논문 수 역시 전체의 23.2%로 1위를 기록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는 올해 초 미국 기업들보다 훨씬 적은 돈으로 개발한 비슷한 성능의 추론형 모델을 공개했다. 이를 두고 테크업계에서는 '중국의 기술력이 미국을 턱밑까지 추격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보고서의 분석도 같았다. HAI는 실제로 중국의 모델 성능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면서 "미국과 중국의 주요 모델들은 2023년에는 주요 벤치마크(성능 측정)에서 두 자릿수 성능 차이를 보였지만 2024년에는 격차가 거의 없을 정도로 좁아졌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의 발전 속도가 유독 빠를 뿐 다른 국가의 모델들 역시 성능이 상향 평준화하는 추세에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HAI는 "AI 모델은 그러나 복잡한 추론을 요하는 벤치마크에서는 여전히 약한 모습을 보인다"며 추론 능력을 완벽하게 끌어올리는 게 업계의 과제라고 짚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62 배민 ‘포장 수수료 6.8%’ 첫날…“포장 안 받아” 반발도 랭크뉴스 2025.04.14
43861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 구역 인근 도로 일부 균열...구청, 통제 중 랭크뉴스 2025.04.14
43860 빠니보틀 "위고비 맞고 10㎏ 빠졌지만…나도 부작용 있다" 랭크뉴스 2025.04.14
43859 흩어진 비명계 모을까… 文 찾아간 김경수 랭크뉴스 2025.04.14
43858 국민의힘 '반탄만의 리그' 전락하나… 경선 첫날부터 '첩첩산중' 랭크뉴스 2025.04.14
43857 휴전 논의는 말뿐…러, 우크라 도심에 탄도미사일 ‘만원 버스 타격’ 랭크뉴스 2025.04.14
43856 "1분 일찍 퇴근했네? 해고할게요"…통보받은 직장인, 법적 투쟁 끝 '반전' 랭크뉴스 2025.04.14
43855 윤, 재판장 “직업은 전직 대통령” 발언에 ‘끄덕’…검찰 ‘군대 투입’ 언급에는 인상 쓰고 절레절레 랭크뉴스 2025.04.14
43854 박수영 "의원 54명 韓출마 촉구…지지율 뒷받침되면 결심할 것" 랭크뉴스 2025.04.14
43853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랭크뉴스 2025.04.14
43852 고물가 시대, 식당 풍경 바꾼다… 중국산 김치 수입 급증 랭크뉴스 2025.04.14
43851 ‘내란 정권’ 2인자 한덕수로 단일화 드라마 꿈꾸는 국힘 랭크뉴스 2025.04.14
43850 한덕수, ‘관세 유예’ 자화자찬하며 ‘알래스카 LNG 개발’ 급발진 랭크뉴스 2025.04.14
43849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50대 실종자 수색 난항 랭크뉴스 2025.04.14
43848 홍준표 대권 도전 선언‥D-50 대권주자들 영남권 표심 공략 랭크뉴스 2025.04.14
43847 ‘경선룰’ 반발 불출마 잇따라…‘역선택 방지’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4
43846 “예외다” “아니다”… 혼선의 ‘트럼프 관세’ 랭크뉴스 2025.04.14
43845 김문수는 이문열 영입, 홍준표 캠프엔 배우 이정길…국힘 경선 스타트 랭크뉴스 2025.04.14
43844 광명사거리역서 상수도관 누수로 물 솟아…"지반침하 위험 없어" 랭크뉴스 2025.04.14
43843 반도체 상호관세 면한 애플...팀 쿡 ‘조용한’ 리더십 먹혔나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