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탠퍼드 AI 연구소 AI 인덱스 2025
"미국, 주목할 만한 모델 가장 많지만
중국과 성능 격차 크게 좁아져" 분석
3일 중국 베이징의 한 노점에 미국과 중국 국기가 걸려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세계 인공지능(AI) 시장에서 한국의 존재감은 미미하다는 냉정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공개된 한국산 AI 모델 가운데 주목할 만하다고 평가받은 모델은 단 한 개에 그쳤고, AI 인재마저 해외로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AI 패권 경쟁은 예상대로 미국이 이끌고 중국이 바짝 쫓는 2강 구도로 파악됐다. 미국의 지난해 AI 투자액은 중국보다 11배 이상 많았지만, 이른바 '딥시크 쇼크'가 증명했듯 미중 간 기술력 격차는 크게 좁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 주목할 만한 AI 모델. 그래픽=강준구 기자


한국, 조사 대상 포함에도 '1개'만 꼽혀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 중심 인공지능연구소(HAI)는 7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 인덱스 2025'를 발간했다. 올해로 8회째인 AI 인덱스는 세계 AI 발전 동향을 총망라한 보고서로, 전 세계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AI 업계 분석 자료로 평가된다. 미국·유럽연합(EU) 등의 정책 입안에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주목할 만한(notable) AI'를 최다 배출한 국가는 미국이었다. 주목할 만한 AI 모델은 △인상적인 발전을 보였거나 △AI 능력 평가에서 기존 모델을 압도했거나 △각종 연구 논문에 많이 이용된 모델 등을 기준으로 미국 AI 연구기관 에포크AI가 선별한다. 2003년 이후 줄곧 이 조사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미국은 지난해에도 40개의 주목할 만한 모델을 공개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15개로 뒤를 이었고, 프랑스는 3개였다. 한국과 캐나다, 이스라엘 등은 1개였다. 기업별로는 미국 구글과 오픈AI가 각각 7개로 공동 1위를 기록했고, 중국 알리바바가 6개로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한국은 이름조차 올리지 못했다. 이에 한국 정부와 일부 기업은 "조사 대상에서 한국이 사실상 누락됐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라며 HAI 측에 항의했다. 그 결과 올해 보고서에는 한국이 조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제대로 시행된 이번 조사에서도 주목할 만하다고 꼽힌 한국산 모델은 1개뿐이어서, 한국의 AI 경쟁력이 미국, 중국 등에 크게 밀린다는 평가를 뒤집지는 못했다.

한국 민간 AI 투자액, 10위권 밖으로



국가별 민간 AI 투자액. 그래픽=강준구 기자. 그래픽=강준구 기자


한국의 지난해 민간 부문 AI 투자액은 약 13억 달러(약 1조9,072억 원)로 국가별로는 11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2022년 조사 대상 중 6위를, 2023년에는 9위를 차지하는 등 매년 순위가 밀리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에만 1,091억 달러(159조9,620억 원)를 지출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약 93억 달러(약 13조6,356억 원)로 뒤를 이었으나 미국과는 약 11배 차이를 보였다.

인구 1만 명을 기준으로 AI 인재의 유입 혹은 유출 여부를 보여주는 AI 인재 이동 지표의 경우 한국은 -0.36을 기록했다. 마이너스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AI 인재가 더 많다는 의미다. 미국과 독일, 프랑스, 싱가포르 등이 플러스를 기록한 것과는 대비됐다.

다만 인구당 AI 특허 수는 한국이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지켰다. 2023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AI 특허 수는 한국이 약 17.3건으로, 룩셈부르크(15.3건), 중국(6.1건) 등보다 많았다.

중국과 미국이 인공지능 패권 다툼을 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챗GPT 생성 이미지. 챗GPT 캡처


AI 특허 10건 중 7건은 중국서 나와



HAI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출원된 AI 특허 10건 중 7건(69.7%)은 중국에서 나왔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보고서에서 중국의 비율은 61%였는데, 1년 사이 더 높아졌다. 중국은 2023년 출판된 AI 논문 수 역시 전체의 23.2%로 1위를 기록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는 올해 초 미국 기업들보다 훨씬 적은 돈으로 개발한 비슷한 성능의 추론형 모델을 공개했다. 이를 두고 테크업계에서는 '중국의 기술력이 미국을 턱밑까지 추격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보고서의 분석도 같았다. HAI는 실제로 중국의 모델 성능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면서 "미국과 중국의 주요 모델들은 2023년에는 주요 벤치마크(성능 측정)에서 두 자릿수 성능 차이를 보였지만 2024년에는 격차가 거의 없을 정도로 좁아졌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의 발전 속도가 유독 빠를 뿐 다른 국가의 모델들 역시 성능이 상향 평준화하는 추세에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HAI는 "AI 모델은 그러나 복잡한 추론을 요하는 벤치마크에서는 여전히 약한 모습을 보인다"며 추론 능력을 완벽하게 끌어올리는 게 업계의 과제라고 짚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49 [단독] 공수처, '尹 석방 지휘' 심우정 총장 사건 고발인 조사 랭크뉴스 2025.04.15
44048 日 "한반도+동·남중국해, 하나의 전쟁구역으로 보자" 美에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4047 출근길 서울지하철 4호선 출입문·안전문 고장···승객 하차 후 회송 랭크뉴스 2025.04.15
44046 1주당 11억원… 세상에서 가장 비싼 지주사 랭크뉴스 2025.04.15
44045 [속보] 국회 운영위, 이완규·함상훈 지명 철회 촉구 결의안 가결…국민의힘 불참 랭크뉴스 2025.04.15
44044 [속보] 국회 운영위, 이완규·함상훈 지명 철회 촉구 결의안 가결 랭크뉴스 2025.04.15
44043 [속보] 권성동 “한덕수 경선 안 나와… 출마설 언급 도움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4.15
44042 경찰 '근로자 사망' 아워홈 압수수색… 한 달 전 하청직원 끼임 사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4041 시신 지문으로 대출 '김천 오피스텔 살인범'에 무기징역 선고 랭크뉴스 2025.04.15
44040 김문수·홍준표도 '반명 빅텐트'…"이재명 이기기 위해 힘 합쳐야" 랭크뉴스 2025.04.15
44039 한동훈 “국민 관심 없는 ‘한덕수 차출론’, 테마주 주가조작 같아” 랭크뉴스 2025.04.15
44038 “이게 여진이 맞나요?”…만달레이 교민들은 지금 [미얀마 강진②/취재후] 랭크뉴스 2025.04.15
44037 최상목 “12조대 필수추경안 마련”…당초 발표보다 2조 증액 랭크뉴스 2025.04.15
44036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안해…출마설 언급 도움 안된다" 랭크뉴스 2025.04.15
44035 제주공항 활주로서 승객이 비상문 열어…에어서울 이륙포기(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4034 박찬대 "韓대행, 국회 무시·거부권 남발…안하무인격 전횡" 랭크뉴스 2025.04.15
44033 권성동 “한덕수 대행, 경선 출마 안해…출마설 언급 도움 안돼” 랭크뉴스 2025.04.15
44032 정치인 위 '상왕' 노릇 여론조작 브로커...고발해도 변한 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4031 정부, 12조원대 ‘필수추경’ 편성…AI 분야에만 1.8조 투입 랭크뉴스 2025.04.15
44030 국힘 경선, 이대로면 국민과 더 멀어지는 길로 [4월15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