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욕증시, 7일 급락세로 개장
뉴욕증시가 급락한 지난 4일 월스트리트 주식 트레이더가 인상을 찌푸린 채 화면을 바라보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증시가 요동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강행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고조되면서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급락세로 개장했다. 하지만 약 1시간 만에 낙폭을 되돌리며 한때 3%대의 급등세로 돌아서며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기도 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4% 하락한 4868.2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36% 급락한 1만4907.51에 각각 거래됐다.

하지만 오전 11시 S&P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11% 상승한 5079.90을 회복했고, 나스닥 역시 전 거래일보다 0.42% 상승한 1만5653.83을 기록하며 하락분을 되돌렸다.

미국 증시는 미국의 관세 부과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지난 3일부터 3거래일 연속 급락했다. 지난 4일 나스닥이 정점 대비 20% 이상 떨어지는 '약세장(베어마켓)'에 진입한 데 이어 7일 장에서는 S&P지수도 지난 2월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며 약세장 구간에 접어들었다.


백악관이 운영하는 X 계정이 "관세 90일 유예" 관련 뉴스는 가짜라고 밝혔다./X캡처

하지만 곧 백악관이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한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할 수 있다는 추측성 보도가 나온 후 급반등했다. 한때 장중 나스닥 지수는 1만6285선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 보도의 신빙성이 문제되자 주가는 다시 하락세로 반전했다.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것은 주가 하락이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다.
주가가 하락하면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을 수 있다는 것이다.

주식이 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니라 미국인의 핵심 자산이기 때문이다. 2023년 4월 갤럽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61%가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다.

특히 2023~2024년 미국 증시가 글로벌 자금의 피난처 역할을 하며 상승장을 이끌었던 기간 동안 가계 자산에서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확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시장 변동성은 미국 가계 경제 전반에 직접적인 충격을 줄 수 있는 요소라는 점에서 더 큰 파장을 예고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정책의 정당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그는 이날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오랜 기간 잘못된 대우를 받아온 미국은 이미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 가해국들로부터 한 주에 수십억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는 최대 가해국인 중국이 '보복하지 말라'는 나의 경고를 수용하지 않고 터무니없이 높은 관세에 더해 추가로 34%나 올렸음에도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고도 했다.

하지만 세계 증시가 급락하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를 압박하고 나섰다. 그는 "유가가 내려가고 금리가 내려가며 식품 가격도 내려간다"며 "인플레이션은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금리가 내려간다'는 말 뒤에 괄호를 치고는 "느리게 움직이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도 썼다.

미국인들이 우려했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았으니, 금리를 서둘러 인하하라고 공개 압박한 것이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69 우크라, 생포 중국인 기자회견…트럼프 “곧 좋은 제안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8 당신의 걸음걸이는 안녕하십니까… 느려졌다면 파킨슨 의심 랭크뉴스 2025.04.15
43967 자동차 부품도 유예 조치?‥"나는 유연한 사람" 랭크뉴스 2025.04.15
43966 [단독] 20년 믿고 맡긴 경리의 배신... "회삿돈 22억으로 명품 사고 호화 여행" 랭크뉴스 2025.04.15
43965 구글, '유튜브 뮤직' 뺀 새 요금제 韓에도 출시하나…공정위와 협의 중 랭크뉴스 2025.04.15
43964 오락가락 반도체 관세 '일단 유예'에 美 증시 상승 마감 [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5
43963 [단독]단순 예산 편성착오에…지자체 수십억 예산 날아갈판 랭크뉴스 2025.04.15
43962 "한국 가면 무조건 사야 돼"…일본인들 우르르 몰려와 사간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1 양당 경선 무용론에 '반명 빅텐트' 솔솔... 범보수 단일화냐, 제3지대 연대냐 랭크뉴스 2025.04.15
43960 [단독] 방사청, 한화오션 ‘부정당업자 제재’ 검토…이달 30일 방추위서 KDDX ‘최종 결론’ 가닥[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15
43959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사고 닷새째…실종자 밤샘 수색 랭크뉴스 2025.04.15
43958 수도권 1분기 분양 70%↓… 건설사 진퇴양난 랭크뉴스 2025.04.15
43957 "메시지 계엄"‥사과·반성 없는 82분의 '강변' 랭크뉴스 2025.04.15
43956 오락가락 트럼프 또 '관세 변덕'…"반도체 일부기업에 유연성"[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15
43955 K-스타트업에 쏠린 표심…대선판 흔드는 AI·반도체 공약 랭크뉴스 2025.04.15
43954 [속보] 美, 반도체·의약품 안보 영향 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15
43953 "AI 고급인재에 軍 면제"…韓 AI 특허, 中 8% 수준[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15
43952 한은 "정치 불확실성 여전히 계엄 전보다 월등히 높아" 랭크뉴스 2025.04.15
43951 “몇시간 사건이 내란? 법리에 안 맞아”… 尹, 기존입장 되풀이 랭크뉴스 2025.04.15
43950 트럼프, 차 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반도체 등 관세 부과 수순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