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번 주말쯤 서초동 집으로 옮길 듯
경호상 이유 재이주 방안도 고려
신당 창당 제안 거절했다는 주장도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7일 관계자들이 검은색 차량 뒤로 이동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말 관저를 퇴거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말쯤 서울 한남동 관저를 퇴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윤 전 대통령이 9일을 전후해 관저를 떠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으나 이사할 사저에서의 경호계획 수립 문제, 자택 정비 등에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경호처 관계자는 7일 “윤 전 대통령이 이주할 장소가 결정되면 관련 법률과 규정 등에 따라 경호 활동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경호처는 윤 전 대통령 내외가 한남동 관저를 떠날 시기는 물론 사저의 장소도 외부에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사 시점은 이번 주말, 장소는 기존 거주지인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서초동 집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이주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향후 최장 10년간 대통령경호처의 경호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전직 대통령으로 신분이 바뀌면서 사저 인근에 배치될 경호 인력은 현직 대통령 때보다 그 규모가 줄어들게 된다. 일각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주상복합 건물인 아크로비스타로 옮길 경우 여러 반려동물을 키우기 쉽지 않다는 문제, 입주민들의 민원 및 경호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도 거론된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줄곧 관저에 머물면서 법률대리인단과 참모진, 국민의힘 의원들을 잇따라 만났다. 이 기간 두 차례에 걸쳐 국민과 ‘국민변호인단’을 향한 메시지를 냈다. 메시지는 국민과 지지층에 대한 미안함과 감사의 취지였으나 헌재 결정과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사과의 표현은 담기지 않았다. 이에 ‘승복이 없다’ ‘사저 정치를 준비한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윤 전 대통령은 신당을 창당하라는 제안을 받았으나 거절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파면 선고 이후 윤 전 대통령을 수차례 만난 사실을 밝히며 “사실 대통령 주변에 신당을 창당하라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대통령은 그런 말씀을 배격한다”고 전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1호 당원’인 윤 전 대통령에게 탈당을 요구하며 조기 대선 국면에서 확실히 선을 긋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다만 윤 의원은 “당이 대통령을 헌신짝처럼 버리려 하는 것은 문제”라며 “그분도 당의 부담을 원하겠느냐, 대통령은 그런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전직 대통령의 자산과 부채를 같이 짊어지고 갈 수밖에 없다”며 “절연보다 무서운 건 분열”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03 트럼프 또 오락가락…"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4002 국민의힘 해산은 왜 논의하지 않는가 [왜냐면] 랭크뉴스 2025.04.15
44001 구글, ‘트럼프 관세’ 등에 업고 韓 지도 데이터 요구하는데…“시장 잠식 우려”vs“세계 유일의 불허” 랭크뉴스 2025.04.15
44000 [속보] 최상목 "12조대 필수추경안 마련"…당초 발표보다 2조 증액 랭크뉴스 2025.04.15
43999 선배 가고 후배 오고…사외이사 ‘알박기’ 요지경 랭크뉴스 2025.04.15
43998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 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7 ‘테슬라 매장 방화·머스크 비난 낙서’ 40대 기소…미 법무부 “형량 협상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3996 트럼프 “자동차 회사들 시간 필요해”…관세 일시 유예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5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4 미 재무장관 “한국과 내주 무역협상 예정···빠르게 진행될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93 구글, ‘트럼프 관세’ 등에 업고 韓 지도 데이터 요구하는데…“시장 잠식 우려”vs“전 세계 유일의 불허” 랭크뉴스 2025.04.15
43992 "왜곡·조작됐다"‥헌재 판단도 모조리 '부정' 랭크뉴스 2025.04.15
43991 국회, 오늘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최상목 미국 국채 논란 다뤄질까 랭크뉴스 2025.04.15
43990 철 지난 장자승계, 법보다 앞설까…LG ‘2조 상속분쟁’ 판결 촉각 랭크뉴스 2025.04.15
43989 5개월 아기 뇌출혈에 온몸 멍 자국…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3988 "선거운동 해야하니 재판 빼달라"…대선 주자들 특권인가[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4.15
43987 [인터뷰] 홍준표 "정상적인 대선보다 쉬울 수도…이재명 잡을 사람은 나" 랭크뉴스 2025.04.15
43986 [투자노트] 트럼프 리스크 정점?… ‘종목 장세’는 이제 시작 랭크뉴스 2025.04.15
43985 “한 입 먹고 버리더라”…9,900원 빵 뷔페, 음식 낭비 논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3984 이재명 첫 공약은 '인공지능'‥김두관 경선 '이탈'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