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경제]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 시간)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관세가 만든 ‘죽음의 차트’… “S&P500, 2차 대전 이후 4번째 폭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패닉(공황)으로 내몰리는 모습입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를 두고 금융시장이 ‘죽음의 차트(Chart of Death)’를 그리고 있다고 진단합니다.

7일 일본 닛케이225지수(종가 3만 1136.58, -7.83%)는 장이 열리자마자 3만 1000선이 무너질 정도로 크게 후퇴했고 이에 일본 오사카 증권거래소는 닛케이평균선물 매매를 30분 동안 일시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거래 일시 중단)’가 발동됐습니다.

대만(-9.70%)과 홍콩(-13.22%), 중국 선전(-10.79%)과 상하이(-7.34%)는 물론 호주(-4.23%)와 인도(-3.53%) 할 것 없이 모두 이날 큰 폭의 하락을 나타냈습니다. 대만 TSMC(-10.1%)와 일본 도요타(-5.65%)를 비롯해 중국 BYD(-15.90%)와 알리바바(-17.98%) 등 아시아 각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주식 가치도 속절없이 떨어졌습니다.





美 역성장 우려 확산에…"연내 1.25%P 금리인하" 전망도


‘트럼프 관세 폭풍’에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기관들도 올해 경제 전망을 줄줄이 내리고 있습니다. 관세 전쟁에 방아쇠를 당긴 미국에도 올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경고가 잇따르는 모습입니다.

JP모건체이스는 최근 ‘피를 보게 될 것(There will be blood)’이라는 제목의 메모를 통해 올해 세계 경기 침체 가능성을 기존 40%에서 60%로 높였습니다. 브루스 카스만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를 1968년 이래 가계와 기업에 대한 최대 규모의 세금 인상이라고 규정하면서 “보복, 미국 기업의 심리 위축, 공급망 붕괴 등을 통해 이번 세금 인상의 영향이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바클레이스도 “현재 경제 신호는 미국 경제에 심각한 도전이 다가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9일까지 상호관세가 철회되지 않는다면 미국과 유럽연합(EU)은 경기 침체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합니다.

경기 침체 우려가 짙어지면서 시장에서는 향후 금리 인하 폭과 속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정책 발표 이후 주식시장이 폭락을 거듭하는 가운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게 금리를 내리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신규 데이터와 전망 변화, 위험 균형 등을 충분히 지켜본 뒤 통화정책을 고려하겠다”고 신중론을 드러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징후가 뚜렷해지는 만큼 연준이 예상보다 일찍 통화정책 조정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습니다.





최대 30% 조정 시나리오도 나왔다…中, 위안화 절하 카드 꺼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보복관세로 대응하고 있는 중국이 내수 경기 활성화와 공급망 확대를 위해 총알을 장전할 태세입니다. 중국 당국은 미국과의 관세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지급준비율·기준금리 등의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고 적절한 타이밍을 살피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또 중국이 대미 수출이 막힌 상황에서 다른 나라로의 수출을 늘리기 위해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것이라는 관측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웰스파고는 위안화 가치가 2개월간 최대 15% 하락할 시나리오를 제시했고 제프리스도 최대 30%의 위안화 절하 폭을 예상합니다. 다소 보수적인 견해를 가진 미즈호증권은 약 3% 수준의 위안화 조정을 전망했습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면 논평을 통해 중국이 미국에 맞서 승리할 수 있다며 네 가지 이유를 들었습니다. 미국의 무차별 관세가 중국에 영향을 주겠지만 “하늘이 무너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근거로 중국이 이미 시장 다각화에 힘쓴 결과 전체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8년 19.2%에서 지난해 14.7%로 낮아졌다며 “대미 수출 감소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헤지펀드 마진콜 압박 직면…MMF엔 '반세기 만에' 최대 뭉칫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 ‘공포’가 덮치고 있습니다. 미 증시의 하락장 속애서 원유·금·구리 등 주요 상품 시장에서도 매도세가 점차 확산하는 양상입니다. 주요 자산 값이 크게 떨어지자 글로벌 헤지펀드들은 추가 증거금이 요구되는 ‘마진콜’ 압박에 직면했으며 연기금 등 대형 기관투자가들은 보유한 펀드 등을 싼값에 팔아서라도 현금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는 기업들이 늘어나자 시장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을 떠올리게 한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17 이륙 직전 항공기에서 승객이 비상구 열어 ‘아찔’ 랭크뉴스 2025.04.15
44116 국민의힘 “민생만 생각할 때… 민주당, 12兆 추경안 협력해야” 랭크뉴스 2025.04.15
44115 [단독]이번엔 중랑구청 근처에 싱크홀…“정확한 원인 파악중” 랭크뉴스 2025.04.15
44114 용인 아파트서 ‘5명 살해’ 혐의 50대 남성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4113 "초코파이로 세계 정복"...오리온 '파격' 결정 랭크뉴스 2025.04.15
44112 “윤석열 500만원 캣타워, 국고손실 따지자…착복 의심 수사해야” 랭크뉴스 2025.04.15
44111 트럼프 vs 하버드 정면충돌…‘돈싸움’도 마다않겠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5
44110 '유창한 영어 실력' 北안내원…'김정은 후계자' 묻자 보인 반응 랭크뉴스 2025.04.15
44109 소방 "지하 20m까지 구조 진입로 확보 작업…구조견도 투입" 랭크뉴스 2025.04.15
44108 11년 만에 골프장만 겨우 개장…인천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민망한 현주소 랭크뉴스 2025.04.15
44107 한동훈 입에서 나온 단어 "주가조작"‥누구를 겨냥? 랭크뉴스 2025.04.15
44106 안철수 "조선제일검 한동훈, 이재명에 가장 쉬운 상대" 왜 랭크뉴스 2025.04.15
44105 대선 경선 레이스 돌입…주자들 각축전 속 잰걸음 랭크뉴스 2025.04.15
44104 ‘방첩사 계엄 문건’ 알고 보니 北해킹 메일…120명 털렸다 랭크뉴스 2025.04.15
44103 中 3월 수출 12.4%↑…”관세 부과 전 주문으로 일시적 급등” 랭크뉴스 2025.04.15
44102 '불출석 패소' 권경애 변호사 "기사화했으니 각서 무효"‥유족 측 "조건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4101 "미국에 700조 투자"...엔비디아 '반도체 1위' 굳힌다 랭크뉴스 2025.04.15
44100 美 민감국가 지정 못 피한 정부 "교섭 지속…시간 필요할 듯" 랭크뉴스 2025.04.15
44099 美 '韓 포함 민감국가 리스트' 발효…과학·산업협력 차질 우려 랭크뉴스 2025.04.15
44098 ‘이완규·함상훈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국회 운영위 통과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