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5세 이상 입원 원인 1위 심부전이 차지
주요 암보다 생존율 더 낮을 정도로 위험
“좌심실 보조장치, 우심실에도 적용 필요”
지난 4일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만난 윤종찬 순환기내과 교수가 심부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제공


국내 65세 이상 인구의 입원 원인 1위가 ‘심장질환의 종착역’이라 불리는 심부전이다. 진단받은 환자 절반이 5년 안에 사망할 정도여서 심부전은 ‘암보다 위험한 병’으로도 불린다.

지난 4일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만난 윤종찬 순환기내과 교수는 “한국사회는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빨리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심부전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2002년 국내 인구 100명 중 1명 미만(0.77%)만 앓았던 심부전이 2020년엔 2.58%까지 3배 이상 뛴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윤 교수는 “심부전 진단을 받았다면 증상이 호전돼도 절대 환자 임의로 약 복용을 중단해선 안 되고, 중증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좌심실 보조장치(LVAD)를 우심실 기능이 약해진 환자에게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심부전이 암 보다 위험하다고 불리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주요 암 중 5년 생존율이 제일 낮은 건 폐암입니다. 이어 여성은 난소암·대장암, 남성은 대장암·전립선암 순으로 생존율이 낮아요. 심부전의 5년 생존율은 폐암보단 높지만 여성의 난소암, 남성의 대장암보다 낮은 편입니다. 서울성모병원을 포함해 국내 10개 대학병원에 20명의 환자가 심부전으로 입원한다고 할 때 그중 1명은 급성 심부전으로 퇴원하지 못하고 사망을 할 정도니까요.”

심부전은 심장의 기능적‧구조적 이상으로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몸 전체에 공급하지 못해 생기는 질환이다. 산소를 많이 가진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왼쪽 심장(좌심방‧좌심실)에 이상이 생기면 혈액순환에 장애가 나타나 체내 장기의 기능이 떨어진다. 오른쪽 심장(우심방‧우심실)은 전신에 산소를 공급한 후 돌아온 혈액을 폐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데, 오른쪽 심장에 이상이 생기면 정맥에 혈액이 정체돼 다리‧발이 붓는 증상이 나타난다. 전 세계적으로 약 6,400만 명의 심부전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요 증상이라면.

“누워 있을 때도 가슴이 답답해지고 호흡 곤란이 나타날 수 있어요. 심장이 혈액을 원활히 순환시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발목 등이 붓고 만성피로,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것도 주요 증상입니다. 이런 증상 때문에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으면 보통 C단계에 해당합니다.”

심부전은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한다. A단계는 고혈압과 당뇨병 등 심부전 위험인자만 있는 상태다. B단계는 심부전 증상이 없지만 심장 구조‧기능에 이상이 있는 단계다. 건강검진을 하다가 좌심실 비대, 판막 이상 등을 발견한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D단계는 약물치료나 시술에도 호전이 없는 중증 심부전 상태로, 심장 이식이나 LVAD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
LVAD 치료
란 무엇입니까.

“좌심실 기능을 돕는 펌프를
심장에 삽입해 혈액을 대동맥으로 내뿜는 역할
을 대신하게 하는 장치예요. 양수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사전 심사를 통과한 환자만 수술을 받을 수 있어요. 기기 가격(약 1억3,000만 원)을 포함해 2억 원 정도의 수술비용이 들지만 2018년부터 보험이 적용돼 환자가 부담하는 몫은 5% 안팎입니다.”

중증 심부전 환자의 1년 생존율은 약물 치료의 경우 25%, LVAD는 68%, 심장 이식은 88%
다. 심장 이식은 70세를 넘어서면 수술하는 데 무리가 갈 수 있으나, LVAD는 80세까지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우심실 치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좌심실 기능만 안 좋으면 LVAD 치료를 받고, 우심실 기능까지 나쁘면 심장 이식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좌심실 기능이 안 좋으면서 우심실 기능도 저하된 환자가 있거든요. LVAD 치료를 받은 환자
5%는 오른쪽 심장도 많이 약해진 상태여서 이 장치를 우심실에도 적용하는 게 필요한데, 지금은 그게 허용이 안 됩니다
. 이런 환자는 약해진 오른쪽 심장을 그대로 두면서 심장 이식을 기다릴 방법밖에 없는 거예요. 심장 이식을 받는 게 어려우니 이런 환자들에겐 심사를 통해 예외적으로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윤 교수에 따르면 국내 심장 이식 대기자 수는 2022년 1,000명을 돌파(1,034명)한 뒤 지난해 1,210명까지 늘었다. 반면 심장이식 건수는 2023년(245건) 처음으로 200명을 넘어섰다가 지난해 다시 194건으로 떨어졌다. 그는 “LVAD를 하고 있다가 심장 이식을 받을 수도 있고, 아니면 심장 이식 없이 LVAD 기기를 10~20년 쓸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심부전 환자가 주의할 점이라면 무엇이 있습니까.

심부전 환자 중에서 짬뽕을 먹고 며칠 동안 계속 숨이 차서 병원을 찾는 경우
가 흔해요. 국물‧찌개 요리를 먹으면 체내 염분이 높아지는데
염분이 수분을 붙잡아두거든요. 그러니 몸이 붓고 숨이 차는 등 심부전 증상
이 심해집니다. 짠 음식을 반드시 멀리해야 합니다.”

-증상이 호전되면 약을 중단해도 됩니까.

“약을 먹었는데 소변을 너무 자주 본다,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 어지럽다 등의 증상이 있으면 담당 의사와 소통을 통해 복용량을 조절하는 게 필요해요. 생활하는 데 불편해서, 증세가 좀 호전됐으니까 환자가 임의로 생각해 약을 끊으면 증세가 급격히 나빠집니다. 미끄럼틀에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22 정작 본인은 손사래치는데…물밑서 끓는 '한덕수 대망론'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21 구미 도개면 산불, 헬기 16대 띄워 주불 진화…"인명피해 없어"(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20 한남2구역, 대우건설과 ‘헤어질 결심’…이번에는 통할까?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9 검찰, ‘사드 기밀 유출 의혹’ 정의용·정경두·서주석 불구속 기소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8 트럼프, 관세 협상에 번번이 어깃장…관세 책사는 '비관세 장벽' 정조준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7 [단독] 민주당, 최상목 탄핵 재추진…증인채택 의사일정 공지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6 홍준표 “용산은 불통·주술의 상징... 대통령 되면 청와대로”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5 반려견 죽인 아버지, 딸이 흉기로 찔러… 징역 3년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4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 재판관 지명할 수 있나···법조계 “위헌적 월권행위”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3 “의제강간 19세로 상향” 국민 청원…국회 논의된다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2 우원식, 한덕수에 “헌법재판관 인사청문 요청 안 받겠다”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1 美부통령 “중국 촌놈들” 비하 발언… 中관영지 “충격적이고 무례” 반발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10 [포커스] 김상욱 "한덕수, 이완규 지명은 월권‥철회해야"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09 '성남도개공 조례 청탁 혐의' 김만배 1심 실형→2심 무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08 입법조사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권한대행 임명 어려워"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07 “이준석, 하버드대 졸업 맞다”…경찰, 대학 통해 공식확인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06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 재판관 지명할 수 있나’···법조계 “월권, 헌법 파괴”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05 롯데웰푸드, 희망퇴직 단행… 근속 10년 이상 대상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04 [단독] 메리츠, 홈플러스 대출금리 8% 아닌 14%... 타 채권자들은 금리 조정폭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4.08
45603 ‘성남도개공 조례 통과 청탁’ 김만배 1심 뒤집고 2심서 무죄 new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