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상호관세 대상서 뺐지만 ‘별도 관세’ 예고
물가상승, 고금리로 자금시장 악화될 수도
업계 “바이오 육성 정책, 외교 리더십 절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차트를 들고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로이터연합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가 7일 일제히 급락했다. 의약품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빠졌음에도 전 세계 증시 하락 추세를 피하지 못했다. 트럼프 정부가 언제든지 추가 관세 공격을 할 수 있고, 인허가 지연과 자금 조달 악화 등 불확실성이 늘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 시각)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고, 60여개 교역국에는 징벌적 관세를 추가로 얹는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의약품은 제외됐지만 전문가들은 의약품에도 언제든 추가 관세 부과가 가능하다고 본다.

의약품, 별도 관세 가능…자금 압박도 우려
백악관공동취재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취재진에 “지금 의약품 분야를 살펴보고 있는데, 이것은 (기존 관세와) 별도의 카테고리”라며 “가까운 미래에 발표할 예정이며, 현재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의약품은 미국 입장에서도 관세를 높이기가 쉽지 않다. 생명과 직결되는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자국민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입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제조 비용이 급증해 의약품 가격이 오르고 환자에 피해가 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의약품은 오랫동안 무역전쟁에서 제외됐다.

그럼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을 세분화해 관세를 매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대상 의약품 범위와 관세율에 따라 국내 바이오 기업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의약품에 매기는 관세율에 변화가 없더라도 미국의 전방위적 관세 정책이 한국 바이오 기업의 자금 조달을 어렵게 하는 ‘나비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전반적인 관세 정책 영향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이어지면 고금리 기조를 지속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결국 바이오텍의 어려운 자금 조달 상황이 지속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정부 구조조정 정책도 미국 시장에 진출했거나 추진 중인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보건복지부 직원 약 1만명을 해고하기로 했다. 구조조정 대상엔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식품의약국(FDA), 국립보건원(NIH)이 포함됐다. 허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구조조정 영향으로 FDA의 신약 허가 관문이 좁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약 공동 연구개발(R&D)도 위축될 수 있다.

한미일 3국 외교수장이 4월 3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약 두 달 만에 진행된 회동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태열 외교부 장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외교·통상 지원 절실…리더십 부재가 악재
사정이 이렇지만 정부와 국회가 트럼프 정부에 제대로 대처하기 힘들어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결정 이후 정치권이 ‘조기 대선’ 모드로 전환하고 있어 국회는 법안 심사와 정책 논의를 사실상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관계자는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서 복지위 소관 법안 심사도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원래 국회는 4월 중 법안 심사소위원회와 전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이를 열지 않고 후속 일정과 절차들이 줄줄이 밀릴 수 있다는 의미다.

산업계는 제약·바이오 산업 지원·육성 정책과 함께 외교·통상 분야의 리더십을 촉구하고 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현재 바이오업계가 의약품에 대한 상호 관세는 면제됐지만, 아직 별도 관세 조치가 남아 있다”며 “다른 국가처럼 난맥상으로 남아 있는 관세 문제를 세부 산업별로, 범정부적으로 풀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도 빨리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 부회장은 “미국이 의료비 감축을 위해 약가 인하 정책을 쓸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 의약품 복제약)와 제네릭(합성의약품 복제약) 사업 기회는 더 커질 수 있다”며 “한국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만큼, 이런 기회를 잘 잡으려면 정부 차원의 외교·통상 힘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244 대선 경선 스타트... 민주당 27일, 국민의힘 늦어도 내달 3일 후보 확정 랭크뉴스 2025.04.15
44243 "100달러 룰루레몬 레깅스, 원가는 5달러" 미국 브랜드 원가 폭로 나선 중국 인플루언서 랭크뉴스 2025.04.15
44242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11명 후보 등록…韓대행 불참 확정 랭크뉴스 2025.04.15
44241 S&P, 한국 신용 등급 ‘AA’ 유지…“정치 분열로 경제회복은 우려” 랭크뉴스 2025.04.15
44240 "전주서 출산하면 쓰레기봉투 100장만 준다?"... 가짜뉴스 퍼져 랭크뉴스 2025.04.15
44239 김성훈 경호처 차장 "이달 말 사퇴"‥직원들 "당장 물러나라" 랭크뉴스 2025.04.15
44238 "한국 어쩌나"...미국서 날아든 '비보' 랭크뉴스 2025.04.15
44237 이재명 “인생에서 보복한 적 없다... 대통령 돼 보여줄 것” 랭크뉴스 2025.04.15
44236 '드럼통'에 들어간 나경원‥민주 "우린 영현백 들어갈 뻔" 랭크뉴스 2025.04.15
44235 “한숨 돌렸다”...韓, 비상계엄 ‘충격’에도 국가신용등급 유지 랭크뉴스 2025.04.15
44234 [단독] 홍준표 쪽-명태균 1억원 돈거래 정황…“김영선 선거비용 5천” 랭크뉴스 2025.04.15
44233 대낮부터 난동 부린 남성…대마초 통 집어던져 [이슈클릭] 랭크뉴스 2025.04.15
44232 “남직원들은 나가라” 의원님의 공무원 폭행 공방…그날의 진실은? 랭크뉴스 2025.04.15
44231 건강 챙기는 Z세대, 술 대신 ‘버섯’ 먹는다 랭크뉴스 2025.04.15
44230 9호선 출근 열차 바닥서 '인분' 발견 소동…민원 10여건 랭크뉴스 2025.04.15
44229 이재명 "내란 사범에 분명히 책임 물어야…공수처는 대폭 강화"(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4228 '신입생 뽑지 마라' 의대생들 "새 정부와 협상"···교육부 "협상 여지 없어" 랭크뉴스 2025.04.15
44227 "한국 가면 무조건 사야 해"…일본인들 우르르 몰려와 사간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15
44226 [단독] 현대차 美관세 TF 신설…'공화당 4선' 전 의원도 영입 랭크뉴스 2025.04.15
44225 ‘노아의 방주’ 찾을까…튀르키예 아라라트산서 발굴 추진 랭크뉴스 2025.04.15